이시환의 13권 시집을 다 읽고 각 시집들의 주제 기법 등 특징을 분석 탐구한 심종숙 문학박사의 저서이다. 이 책 속에는 30편의 평문을 주 몸통으로, 저자의 '머리말'과 '후기'가, 그리고 분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67816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시환의 13권 시집을 다 읽고 각 시집들의 주제 기법 등 특징을 분석 탐구한 심종숙 문학박사의 저서이다. 이 책 속에는 30편의 평문을 주 몸통으로, 저자의 '머리말'과 '후기'가, 그리고 분석...
이시환의 13권 시집을 다 읽고 각 시집들의 주제 기법 등 특징을 분석 탐구한 심종숙 문학박사의 저서이다. 이 책 속에는 30편의 평문을 주 몸통으로, 저자의 '머리말'과 '후기'가, 그리고 분석대상이 된 시작품들을 창작한 이시환의 '시인의 말'과 그의 시세계를 간접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나의 내면적 풍경', '나는 누구인가', '내 가치관의 핵' 등 기 공개된 자필 원고가 부록으로 편집되어 '작가연보'를 대신하고 있다.
국문 초록 (Abstract)
총서사항: 영성의 시인 이시환 시문학 읽기 ; 2 영성의 시인 이시환 시문학 읽기 ; 2
총서사항: 영성의 시인 이시환 시문학 읽기 ; 2 영성의 시인 이시환 시문학 읽기 ; 2
국문 초록 (Abstract)
일러두기 = 4 머리말 / 심종숙 = 6 시인의 말 / 이시환 = 14 1. '어둠'과 '물' 이미지를 통한 위무(慰撫)의 시학 - 제1시집『안암동日記』에 대하여 = 20 2. 슬픔을 기쁨으로 전이시키는 미학: '...
일러두기 = 4
머리말 / 심종숙 = 6
시인의 말 / 이시환 = 14
1. '어둠'과 '물' 이미지를 통한 위무(慰撫)의 시학 - 제1시집『안암동日記』에 대하여 = 20
2. 슬픔을 기쁨으로 전이시키는 미학: '타령조'시 - 제2시집『白雲臺에 올라서서』에 대하여= 31
3. 바람의 밀어 : 너와 나 - 제3시집『바람序說』에 대하여 = 43
4. 제4시집『숯』과 색즉시공의 세계 - 역설적 진리의 형상화= 56
5. 부재(不在)의 시학 : 죽음에 관한 묵상 - 제5시집『追伸』을 중심으로 = 72
6. 사랑의 시학 :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자기 던지기 - 제6시집『바람에 귀를 묻고』에 대하여 = 93
7. 사막의 여정 : 내 안의 '여래'를 찾아 - 시집『상선암 가는 길』에 대하여 = 115
8. 당신과 살며 사랑하며 이루는 관상(觀想)의 향기 - 제11시집『애인여래』에 대하여 = 141
9. '자아(自我)'의 불확실성을 넘어서 - 시집『상선암 가는 길』과 『애인여래』를 중심으로 = 163
10. 당신의 품속에서 완상(玩賞)하는 것들과…1 - 시집『백년완주를 마시며』에 대하여 = 181
11. 당신의 품속에서 완상하는 것들과…2 - 시집『백년완주를 마시며』에 대하여 = 202
12. 시의 리얼리티 : 빼앗긴 이들에게 바치는 노래 = 217
13. 당근과 채찍의 역학 - 제7시집『우는 여자』에 대하여 = 234
14. 여행하는 문학 : 풍경을 넘어 1 - 인디아 기행시집『눈물 모순』에 대하여 = 250
15. 여행하는 문학 : 풍경을 넘어 2 - 인디아 기생시집『눈물 노순』에 대하여 = 262
16. 사막의 시학 : 그 두 개의 얼굴 1 - 제12시집『몽산포 밤바다』에 대하여 = 285
17. 사막의 시학 : 그 두 개의 얼굴 2 - 제12시집『몽산포 밤바다』에 대하여 = 300
18. 되새김질의 미학 : 소를 생각하며 - 산문시집『대공(大空)』에 대하여 = 313
19. '텅 빈 것'과 '없음'을 노래하기 = 329
20. 문학과 명상 - 아포리즘을 중심으로 = 345
21. 모순된 세계의 진리를 불러오는 역설 =359
22. 부드럽게 생동하는 이미지들 - ① 물 이미지 =377
23. 부드럽게 생동하는 이미지들 - ② 바람 이미지 = 394
24. 부드럽게 생동하는 이미지들 - ③ 대지 이미지 = 408
25. 부드럽게 생동하는 이미지들 - ④ 광물 이미지 = 424
26. 부드럽게 생동하는 이미지들 - ⑤ 식물 이미지 = 438
27. 주체의 소멸과 목인(牧人)을 기다리며 = 464
28. 반복의 미학 - 지향하는 세계의 도래를 위하여 = 489
29. 만유에 내재하는 물활성 - 생명의 표현 활유법 = 516
30. 물질화된 시간을 넘어서 = 532
후기 : 생명의 씨를 뿌리는 시인 - 그 무렵 이시환 시인과의 인연, 그의 전 시집을 완독 후 평문 쓰기를 마칠 즈음에 / 심종욱 = 549
부록
1. 나의 내면적 풍경 / 이시환 = 563
2. 나는 누구인가? / 이시환 = 569
3. 내 가치관의 핵 / 이시환 = 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