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35개월 유아의 가상놀이 발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changes in pretend play from 20 to 35 months of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376232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183.2 판사항(3)

      • DDC

        136.7 판사항(15)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84p. : 삽도, 챠트 ; 27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35개월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이 단독놀이와 또래와의 놀이에서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어머니와의 놀이에서 어머니의 참여정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후에 어머니 상호작용놀이에서 어머니의 놀이 유도행동과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모든 연구대상 유아는 한 번은 단독으로 놀이를 하고 또 다시 한 번은 다른 유아와 함께 놀이를 하게 되며 그리고 어머니와 함께 두 번의 놀이에 반복 참여하게 된다. 각 놀이 상황은 비디오 레코더로 10분간 녹화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은평구 구립 어린이집 5곳과 용산구 구립 어린이집 1곳의 영아 반에 등록되어 있는 연령이 20-35개월에 해당하는 유아 45명과 그들의 어머니들 이었다. 그들 중 최종 분석대상이 된 유아는 총 18명이었는데, 그들이 참여한 놀이상황에 따라서 최종 분석대상을 살펴보면 유아와 어머니 18쌍과 유아 12쌍이 되었다. 연구대상 유아들은 연구 측정일을 기준으로 3개의 연령집단(20-26개월, 27-30개월, 31-35개월)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단독 놀이에서 유아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가상놀이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었다. 유아들은 성숙함 따라 가상놀이의 에피소드가 더욱 정교하여졌고 순서적으로 통합 되어졌다. 즉, 20개월-30개월 유아들은 수준 2와 수준 4단계 사이의 가상놀이를 주로 하고 있었으며, 이는 그들이 초보적 가상놀이 수준인 자신에 대하여 가상행동을 해 보이는 1수준을 넘어서서 수동적 타인에 대하여 가상행동을 해 보이거나 능동적 타인에 대하여 가상 행동을 해 보이는 가상놀이를 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행동들을 순서적으로 통합하여 가상의 에피소드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유아 단독놀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연령과 성에 관한 상호작용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20-26개월의 여아가 남아에 비해 높은 수준의 가상놀이를 해 보였으나 그 이후 그러한 추세를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또래와의 놀이에서 또래쌍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가상놀이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20-35개월 또래쌍들은 수준 1과 수준 3단계 사이의 가상놀이를 주로 하고 있었으며, 이는 놀이상대 유아를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가상행동에 몰두하는 수준 1단계의 가상행동에서부터 놀이상대 유아를 잠재적인 상호작용의 대상으로 의식하여 동일한 가상행동을 해 보이는 수준 2단계를 거쳐 놀이상대 유아와 사회적 교환을 동반한 유사한 가상행동을 보여 주는 3단계까지의 가상놀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또래와의 놀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연령과 성에 관한 상호작용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20-26개월의 여아 쌍이 남아 쌍에 비해 높은 수준의 가상놀이를 해 보였으나 그 이후 그러한 추세를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어머니와의 놀이에서 설정된 어머니의 참여정도에 따른 3가지 놀이상황에서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유아는 단독놀이의 경우에 비해 어머니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놀이를 할 때 더 높은 수준의 가상놀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어머니와 같은 공간에 존재하지만 어머니가 자신의 작업에 몰두하여 유아에게 최소한의 반응만을 보일때에 비해 유아는 어머니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때 더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을 보여주었다. 이는 20-35개월 유아는 단독으로 놀이를 할 때에 비해 친숙한 성인과 함께 놀이를 하거나 지도되어질 때에 더 높은 수준의 가상놀이를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친숙한 성인이 같은 공간안에 있는 것만으로는 유아의 가상놀이를 촉진시키는 것에 충분치 못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넷째, 어머니 상호작용놀이에서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과 어머니의 질문과 지시를 사용한 언어적 놀이유도 행동은 정적 상관이 있으며 어머니의 직접적인 놀이시범 및 장난감의 제시를 통한 신체적 놀이 유도행동과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20-35개월 유아들은 단독 가상놀이의 출현에서 절정에 이르기 직전 까지 발달의 가속화시기에 해당하며, 또래와 함께 초보적인 수준의 가상놀이가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어머니와 함께 하는 놀이상황에서도 어머니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시도하면서 지시와 질문을 통한 언어적 놀이유도 행동을 할 때 유아는 가장 높은 수준의 가장놀이를 해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머니가 유아와 의도적으로 상호작용을 해보이고 적절한 놀이유도 행동으로 가상놀이를 이끌어낼 때 유아가 보다 높은 수준의 가상놀이를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20-35개월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이 단독놀이와 또래와의 놀이에서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어머니와의 놀이에서 어머니의 참여정도에 따른 차이가 있...

      본 연구의 목적은 20-35개월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이 단독놀이와 또래와의 놀이에서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어머니와의 놀이에서 어머니의 참여정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후에 어머니 상호작용놀이에서 어머니의 놀이 유도행동과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모든 연구대상 유아는 한 번은 단독으로 놀이를 하고 또 다시 한 번은 다른 유아와 함께 놀이를 하게 되며 그리고 어머니와 함께 두 번의 놀이에 반복 참여하게 된다. 각 놀이 상황은 비디오 레코더로 10분간 녹화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은평구 구립 어린이집 5곳과 용산구 구립 어린이집 1곳의 영아 반에 등록되어 있는 연령이 20-35개월에 해당하는 유아 45명과 그들의 어머니들 이었다. 그들 중 최종 분석대상이 된 유아는 총 18명이었는데, 그들이 참여한 놀이상황에 따라서 최종 분석대상을 살펴보면 유아와 어머니 18쌍과 유아 12쌍이 되었다. 연구대상 유아들은 연구 측정일을 기준으로 3개의 연령집단(20-26개월, 27-30개월, 31-35개월)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단독 놀이에서 유아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가상놀이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었다. 유아들은 성숙함 따라 가상놀이의 에피소드가 더욱 정교하여졌고 순서적으로 통합 되어졌다. 즉, 20개월-30개월 유아들은 수준 2와 수준 4단계 사이의 가상놀이를 주로 하고 있었으며, 이는 그들이 초보적 가상놀이 수준인 자신에 대하여 가상행동을 해 보이는 1수준을 넘어서서 수동적 타인에 대하여 가상행동을 해 보이거나 능동적 타인에 대하여 가상 행동을 해 보이는 가상놀이를 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행동들을 순서적으로 통합하여 가상의 에피소드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유아 단독놀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연령과 성에 관한 상호작용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20-26개월의 여아가 남아에 비해 높은 수준의 가상놀이를 해 보였으나 그 이후 그러한 추세를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또래와의 놀이에서 또래쌍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가상놀이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20-35개월 또래쌍들은 수준 1과 수준 3단계 사이의 가상놀이를 주로 하고 있었으며, 이는 놀이상대 유아를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가상행동에 몰두하는 수준 1단계의 가상행동에서부터 놀이상대 유아를 잠재적인 상호작용의 대상으로 의식하여 동일한 가상행동을 해 보이는 수준 2단계를 거쳐 놀이상대 유아와 사회적 교환을 동반한 유사한 가상행동을 보여 주는 3단계까지의 가상놀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또래와의 놀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연령과 성에 관한 상호작용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20-26개월의 여아 쌍이 남아 쌍에 비해 높은 수준의 가상놀이를 해 보였으나 그 이후 그러한 추세를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어머니와의 놀이에서 설정된 어머니의 참여정도에 따른 3가지 놀이상황에서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유아는 단독놀이의 경우에 비해 어머니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놀이를 할 때 더 높은 수준의 가상놀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어머니와 같은 공간에 존재하지만 어머니가 자신의 작업에 몰두하여 유아에게 최소한의 반응만을 보일때에 비해 유아는 어머니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때 더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을 보여주었다. 이는 20-35개월 유아는 단독으로 놀이를 할 때에 비해 친숙한 성인과 함께 놀이를 하거나 지도되어질 때에 더 높은 수준의 가상놀이를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친숙한 성인이 같은 공간안에 있는 것만으로는 유아의 가상놀이를 촉진시키는 것에 충분치 못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넷째, 어머니 상호작용놀이에서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과 어머니의 질문과 지시를 사용한 언어적 놀이유도 행동은 정적 상관이 있으며 어머니의 직접적인 놀이시범 및 장난감의 제시를 통한 신체적 놀이 유도행동과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20-35개월 유아들은 단독 가상놀이의 출현에서 절정에 이르기 직전 까지 발달의 가속화시기에 해당하며, 또래와 함께 초보적인 수준의 가상놀이가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어머니와 함께 하는 놀이상황에서도 어머니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시도하면서 지시와 질문을 통한 언어적 놀이유도 행동을 할 때 유아는 가장 높은 수준의 가장놀이를 해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머니가 유아와 의도적으로 상호작용을 해보이고 적절한 놀이유도 행동으로 가상놀이를 이끌어낼 때 유아가 보다 높은 수준의 가상놀이를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retend play in 20-35 month old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in solitary play, to the age and sex in with-peer play, to mother availability(child only, mother interaction, mother present) in with-mother play, and then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retend play of the children and mother's play elicit strategies in mother interaction play.
      Six child-mother dyads and four child-child dyads in each of three age intervals(20-26, 27-30, 31-35 months) participated in the study. Boy and girl ratios were similar across all age intervals. Each children was videotaped in 10 minutes sessions one while playing alone, one while playing with peer, two while playing with mother. The order of play sessions was counter balanced.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pretend play increased with age in solitary play. 20-35 month old children engaged in from level 2 to level 4 of pretend play. The older children became able to engage in more complicated and involved pretend sequence in which actions are linked meaningfully. Some of the children capable of outer-directed pretend play. And Only a few of them could make a mother or a doll pretend to drink from a cup or talk on the phone.
      2. The level of pretend play increased with age in with-peer play situation. 20-35 month old children engaged in from level 1 to level 3 of pretend play. The older child-child dyads became able to engage in more within-pair social exchanges. Some of the children performed pretend acts proximally and in eye contact with peer elicit no response or performed similar/identical pretend acts accompained by eye contact. And at 3 level of pretend play, only a few of them engaged in similar pretend activities were accompained by social exchanges.
      3. The children engaged more higher level of pretend play in mother interaction play than in child only play. They were engaged more higher level of pretend play in mother interaction play than mother presence play.
      4.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level of pretend play and mother linguistic play elicit strategies skill.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level of pretend play and mother physical play elicit strateg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retend play in 20-35 month old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in solitary play, to the age and sex in with-peer play, to mother availability(child only, mother interaction, m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retend play in 20-35 month old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in solitary play, to the age and sex in with-peer play, to mother availability(child only, mother interaction, mother present) in with-mother play, and then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retend play of the children and mother's play elicit strategies in mother interaction play.
      Six child-mother dyads and four child-child dyads in each of three age intervals(20-26, 27-30, 31-35 months) participated in the study. Boy and girl ratios were similar across all age intervals. Each children was videotaped in 10 minutes sessions one while playing alone, one while playing with peer, two while playing with mother. The order of play sessions was counter balanced.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pretend play increased with age in solitary play. 20-35 month old children engaged in from level 2 to level 4 of pretend play. The older children became able to engage in more complicated and involved pretend sequence in which actions are linked meaningfully. Some of the children capable of outer-directed pretend play. And Only a few of them could make a mother or a doll pretend to drink from a cup or talk on the phone.
      2. The level of pretend play increased with age in with-peer play situation. 20-35 month old children engaged in from level 1 to level 3 of pretend play. The older child-child dyads became able to engage in more within-pair social exchanges. Some of the children performed pretend acts proximally and in eye contact with peer elicit no response or performed similar/identical pretend acts accompained by eye contact. And at 3 level of pretend play, only a few of them engaged in similar pretend activities were accompained by social exchanges.
      3. The children engaged more higher level of pretend play in mother interaction play than in child only play. They were engaged more higher level of pretend play in mother interaction play than mother presence play.
      4.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level of pretend play and mother linguistic play elicit strategies skill.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level of pretend play and mother physical play elicit strateg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요약 = v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 2. 연구 문제 = 6
      • 목차
      • 국문요약 = v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 2. 연구 문제 = 6
      • 3. 용어의 정의 = 6
      • II. 이론적 배경 = 9
      • 1. 가상놀이의 발달 = 12
      • 2. 관련된 선행연구의 고찰 = 13
      •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22
      • 1. 연구대상 = 22
      • 2. 측정도구 = 24
      • 3. 연구절차 = 31
      • 4. 자료분석 = 36
      • IV. 연구결과 = 37
      • 1. 유아 단독놀이에서 연령과 성에 따른 가상놀이의 수준 = 37
      • 2. 또래와의 놀이에서 연령과 성에 따른 가상놀이의 수준 = 42
      • 3. 어머니와의 놀이에서 어머니의 참여정도에 따른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 = 46
      • 4. 어머니의 놀이 유도행동과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과의 관계 = 48
      • V. 논의 및 결론 = 55
      • 1. 논의 = 56
      • 2. 결론 = 63
      • 참고문헌 = 65
      • 부록 = 77
      • 영문요약 =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