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문대 입학생의 일반대학 진학 여부에 따른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 차이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문대학 진학 경험이 있는 학생 중 전문대학 최종 졸업생과 편입 또는 신입학을 통해 일반대학을 최종적으로 졸업한 학생들의 장...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문대학 진학 경험이 있는 학생 중 전문대학 최종 졸업생과 편입 또는 신입학을 통해 일반대학을 최종적으로 졸업한 학생들의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를 비교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에 입학한 적이 있는 KEEP의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805명, 중학교 3학년 코호트 669명을 합친 1,474명을 분석에 포함하였으며, 일반최소자승모형(Ordinary Least Square)과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 경향점수매칭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12차년도 시점에서의 전문대학 진학 후 일반대학 최종 졸업자 집단과 전문대학 졸업자 집단의 취업여부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월평균 임금에 있어서는 일반대학을 최종 졸업을 한 사람일수록 전문대학만을 졸업한 사람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전공 일치도에 있어서도 일반대학 최종 졸업자가 전문대학 졸업자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직업 만족도로 살펴본 일자리의 질은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계열별 차이 분석에서는 일반대학 진학자들의 계열 간 월평균 임금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long-term labor market performance of 2-year college graduates differ from students who had entered a 2-year college, eventually graduating from a 4-year college. For this study, the KEEP(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This study examines how the long-term labor market performance of 2-year college graduates differ from students who had entered a 2-year college, eventually graduating from a 4-year college. For this study, the KEEP(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data, collected by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was utilized. This study includes the 9th grade cohort and the 12th grade cohort in the KEEP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s follow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status between 2-year college graduates and their counterparts, but 4-year college graduates are shown to earn more than 2-year college graduates in the labor market. In terms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measured by job & major alignment and job satisfaction, 4-year college graduates tend to show a higher level of job & major alignment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 방안"

      2 이애화, "전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의 구조적 관계" 교육연구소 38 (38): 59-79, 2017

      3 최선미, "전문대학생 편입학의 취업 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203-223, 2016

      4 "전문대학교 학생변동 상황"

      5 윤영미,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의 현황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265-274, 2015

      6 교육통계서비스, "전문대학 학과계열별 개황"

      7 최수정, "전문대학 졸업생의 경력경로 유형과 실태: 1960년대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7 (47): 27-48, 2015

      8 이병화, "전문대학 졸업생 역량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방향성 제고"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448-5454, 2013

      9 양회창, "전문대학 신입생의 개인특성이 대학적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기대수준의 매개효과와 오리엔테이션 만족도 및 학습관리의 조절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297-309, 2018

      10 구성우, "전문대학 기관변인이 지역별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7 (27): 27-51, 2018

      1 교육부,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 방안"

      2 이애화, "전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의 구조적 관계" 교육연구소 38 (38): 59-79, 2017

      3 최선미, "전문대학생 편입학의 취업 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203-223, 2016

      4 "전문대학교 학생변동 상황"

      5 윤영미,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의 현황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265-274, 2015

      6 교육통계서비스, "전문대학 학과계열별 개황"

      7 최수정, "전문대학 졸업생의 경력경로 유형과 실태: 1960년대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7 (47): 27-48, 2015

      8 이병화, "전문대학 졸업생 역량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방향성 제고"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448-5454, 2013

      9 양회창, "전문대학 신입생의 개인특성이 대학적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기대수준의 매개효과와 오리엔테이션 만족도 및 학습관리의 조절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297-309, 2018

      10 구성우, "전문대학 기관변인이 지역별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7 (27): 27-51, 2018

      11 김재현, "전문대학 교육서비스와 여대생의 고용가능성의 관계" 11 (11): 33-62, 2012

      12 최선미, "전문대 졸업자 편입학의 노동시장 성과와 직업훈련, 자격, 재직기간의 조절효과" 이화사회과학원 33 (33): 441-470, 2017

      13 이승윤, "여성은 왜 외부자로 남아 있는가?: 한국과 일본의 여성노동시장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3 (23): 201-237, 2016

      14 이재성, "사교육의 장기효과는 존재하는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를 이용한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19): 57-84, 2016

      15 김연아, "비정규직의 세대 간 전승: 부모세대의 직업적 지위가 자녀세대의 비정규직 여부에 미치는 영향"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0) : 334-377, 2016

      16 김종성, "부모의 사회계층이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과학연구회 (90) : 296-330, 2014

      17 나혜원, "대학편입과 노동시장 불평등: 고용안정 만족도와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9 (29): 61-91, 2019

      18 김민선, "대학생 취업사교육의 취업 및 임금효과 분석" 26 (26): 21-42, 2013

      19 한유경, "대학 편입학 여부가 교육성과 및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4 (24): 151-171, 2017

      20 남기곤, "대학 편입의 성과: 대학의 관점과 개인의 관점" 한국경제발전학회 21 (21): 57-76, 2015

      21 배상훈, "대학 편입생의 학습 참여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41-66, 2016

      22 유동형, "대학 전공계열과 졸업 후 첫 일자리의 성과분석- 예체능 계열과 다른 계열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화사회과학원 27 : 149-182, 2012

      23 이필남, "대학 복수전공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135-164, 2013

      24 조인숙, "대졸자의 초기 노동시장 경험에 있어서 남녀차이" 한국여성경제학회 12 (12): 123-162, 2015

      25 황여정,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23, 2008

      26 이규용,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3 (3): 69-93, 2003

      27 방하남, "기회와 불평등 : 고등교육 기회에 있어서 사회계층간 불평등의 분석" 한국사회학회 36 (36): 193-222, 2002

      28 박철인,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전문대학 수업 연한 다양화에 대한 인식조사 - 보건계열학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186-196, 2018

      29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30 교육통계연보, "고등교육규모"

      31 Rosenbaum, P. R.,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70 (70): 41-55, 1983

      32 김동연, "NCS 기반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평가 체계 및 평가 도구 개발" 교육연구원 34 (34): 1-16, 2018

      33 강인주, "NCS 교육과정이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계획의 매개효과"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9 (9): 87-106, 2018

      34 Becker, G. S., "Investment in human capital : a theoretical analysis" 70 (70): 9-49, 1962

      35 Schafer, J. L., "Average causal effects from nonrandomized studies : a practical guide and simulated example" 13 (13): 279-313,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4-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2 1.3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