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2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기반 관점을 2015 개정 <독일어Ⅰ>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역량기반 관점을 진술하는 데 있어서 2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8690
성지혜 (부산대학교)
2025
Korean
교육과정 ; 역량기반 교육과정 ; 핵심역량 ; 성취기준 ; 교과서 ; curriculum ; competency-based curriculum ; core competencies ; achievement standards ; textbooks
KCI등재
학술저널
292-304(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2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기반 관점을 2015 개정 <독일어Ⅰ>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역량기반 관점을 진술하는 데 있어서 20...
본 연구는 2022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역량기반 관점을 2015 개정 <독일어Ⅰ>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역량기반 관점을 진술하는 데 있어서 2015 개정 <독일어Ⅰ> 교육과정 의 한계점이 어떻게 개선되었는지 살펴보고, 향후 교육과정 설계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교과 수준의 핵심역량을 별도로 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총 론 수준의 6가지 범교과 핵심역량(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협 력적 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토대로 <독일어>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 습 및 평가 항목에서 역량기반 관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22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은 2015 개정 <독일 어Ⅰ>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목차 구성에 변화를 주었고, 대부분 항목에서 역량기반 관점을 적극 적으로 반영하였다. 나아가 미래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여 더욱 개별화, 디지털화, 지속 가능성 중심으로 설계되 었다는 점에서 새로운 변화를 엿볼 수 있다. 다만, 향후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후속 문서라고 할 수 있는 <독일 어> 교과서 집필과 독일어 수업 실행에서 역량기반 관점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교과 수준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petency-based perspective shown in the 2022 revised German I curriculum with the 2015 revised German I curriculum. Through this, we examined how the limitations of the 2015 revised Ger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petency-based perspective shown in the 2022 revised German I curriculum with the 2015 revised German I curriculum. Through this, we examined how the limitations of the 2015 revised German I curriculum had improved from the competency-based perspective, and sought directions for future curriculum design. Lik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oes not separately present core competencies at the subject level. Therefore, based on the six cross-curricular core competencies,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curriculum,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2022 revised German I curriculum changed the table of contents, which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the 2015 revised German I curriculum, and reflected a competency-based perspective in most items. Furthermore, new changes can be seen in that it is designed to reflect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and focus on more individualized, digitized, and sustainability. In order to reflect the competency-based perspective in writing the textbook, which can be said to be a follow-up document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 in-depth discussion on the design o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expected at the subject level.
중학생의 수련활동 참여태도가 도전정신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12주간 골프 운동이 남자 중학생의 뇌 성장 인자 및 뇌 인지 관련 물질에 미치는 영향
초등 및 중등 체육교사의 스포츠인성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