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물을 주제로 조성한 문화의 거리 공간 특성 분석 = An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reets Designed with Theme of Charac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11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물을 주제로 조성한 문화의 거리는 인물의 업적을 기리고 지역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인물을 주제로 한 문화 거리의 공간 특성 분석을 통해거리의 문제점과 특징들을 정리함으로써 향후 문화의거리 조성에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인물을 주제로 조성한 문화 거리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고자 허준테마거리, 신해철거리, 나혜석거리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와현장조사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5가지공간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만들었으며 현장답사를 통해 거리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로 허준테마거리는 허준을 상징화한 공간 요소로 거리의 정체성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하지만 거리 내 문화⋅예술 행위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이 부재하였다. 또한 보도와 자전거 도로의 중앙에 벤치를 설치하여 이용자가 소통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로 신해철거리는 신해철 관련 조형물과 신해철의 음악 작업실 운영으로 신해철을 추모할 수 있는 거리였다. 다만 안내판은 부재하였고, 바닥 포장은 신해철의 특색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또한 몇몇의 조형물이 동일한 디자인으로 설치되어 시각적 다양성을 느끼기에 부족하였다. 세 번째로 나혜석거리에 조성된 조형물과 포장의 디자인, 거리의 위치가 나혜석의 특성을 표현하지 못하였다. 거리에서 개최되는 문화 행사는 나혜석과 관련이 없었다. 또한조형물이 관리가 되지 않았고, 거리가 청결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인물을 주제로 한 문화의 거리가이드라인 조성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인물을 주제로 조성한 문화의 거리는 인물의 업적을 기리고 지역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인물을 주제로 한 문화 거리의 공간 특성 분석을 통해거리의 문제점과 특징들을 정리함으...

      인물을 주제로 조성한 문화의 거리는 인물의 업적을 기리고 지역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인물을 주제로 한 문화 거리의 공간 특성 분석을 통해거리의 문제점과 특징들을 정리함으로써 향후 문화의거리 조성에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인물을 주제로 조성한 문화 거리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고자 허준테마거리, 신해철거리, 나혜석거리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와현장조사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5가지공간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만들었으며 현장답사를 통해 거리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로 허준테마거리는 허준을 상징화한 공간 요소로 거리의 정체성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하지만 거리 내 문화⋅예술 행위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이 부재하였다. 또한 보도와 자전거 도로의 중앙에 벤치를 설치하여 이용자가 소통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로 신해철거리는 신해철 관련 조형물과 신해철의 음악 작업실 운영으로 신해철을 추모할 수 있는 거리였다. 다만 안내판은 부재하였고, 바닥 포장은 신해철의 특색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또한 몇몇의 조형물이 동일한 디자인으로 설치되어 시각적 다양성을 느끼기에 부족하였다. 세 번째로 나혜석거리에 조성된 조형물과 포장의 디자인, 거리의 위치가 나혜석의 특성을 표현하지 못하였다. 거리에서 개최되는 문화 행사는 나혜석과 관련이 없었다. 또한조형물이 관리가 되지 않았고, 거리가 청결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인물을 주제로 한 문화의 거리가이드라인 조성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우정 ; 정진우, "특화가로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환경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인사동 전통문화의 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139-148, 2010

      2 김도연, "여수(구) 도심권 문화지구 조성에 관한 연구" 여수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3 김하나, "부산시 문화거리 조성을 위한 디자인 전략 연구 : 피프(PIFF)거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4 김주영, "문화의 거리 활성화를 위한 축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학로지역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3

      5 김태일, "문화의 거리 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설정과 기존 지정거리의 개선에 관한 기초 연구-제주도내 문화의 거리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30 (30): 205-221, 2017

      6 여화선 ; 서주환 ; 황지희, "문화의 거리 가로경관의 색채 현황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수원 나혜석거리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309-319, 2012

      7 이선미 ; 장영호, "문화예술특화거리의 디자인 특성 분석과 방문자 반응에 관한 연구 - 문래동 철강거리, 이화동 벽화마을, 강풀만화거리를 사례로 -" 디자인연구소 15 (15): 45-57, 2016

      8 이형복, "도시경관 향상을 위한 가로환경 테마·특화시범거리 연구" 대전세종연구원 2018

      9 김미영, "도시 재생 관점에서 문화의 거리 공간특성 분석 : 국내 문화의 거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19 (19): 2010

      10 심수연, "국내 여성 예술인 기념공간의 스토리텔링 요소분석" 건국대학교 2020

      1 현우정 ; 정진우, "특화가로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환경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인사동 전통문화의 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139-148, 2010

      2 김도연, "여수(구) 도심권 문화지구 조성에 관한 연구" 여수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3 김하나, "부산시 문화거리 조성을 위한 디자인 전략 연구 : 피프(PIFF)거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4 김주영, "문화의 거리 활성화를 위한 축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학로지역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3

      5 김태일, "문화의 거리 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설정과 기존 지정거리의 개선에 관한 기초 연구-제주도내 문화의 거리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30 (30): 205-221, 2017

      6 여화선 ; 서주환 ; 황지희, "문화의 거리 가로경관의 색채 현황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수원 나혜석거리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309-319, 2012

      7 이선미 ; 장영호, "문화예술특화거리의 디자인 특성 분석과 방문자 반응에 관한 연구 - 문래동 철강거리, 이화동 벽화마을, 강풀만화거리를 사례로 -" 디자인연구소 15 (15): 45-57, 2016

      8 이형복, "도시경관 향상을 위한 가로환경 테마·특화시범거리 연구" 대전세종연구원 2018

      9 김미영, "도시 재생 관점에서 문화의 거리 공간특성 분석 : 국내 문화의 거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19 (19): 2010

      10 심수연, "국내 여성 예술인 기념공간의 스토리텔링 요소분석" 건국대학교 2020

      11 김규철, "공공디자인을 위한 이미지텔링 의미생성과정 연구 - 허준테마거리 이미지텔링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 (23): 79-91, 2017

      12 권선영, "고양시 문화의 거리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고양시정연구원 2021

      13 김정동, "‘나혜석거리’ 근대이미지 조성에 관한 연구" 11 : 2003

      14 "https://www.data.go.kr/data/15017322/standard.do#"

      15 "https://www.asiae.co.kr/article/2014061008382756369"

      16 "https://gnews.gg.go.kr/news/news_detail.do?number=201601190053087055C049&printChk=news_detail"

      17 "http://www.mt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 o=2054"

      18 "http://www.heojunfestival.com/default.asp"

      19 "http://cromst.seongnam.go.k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