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주식분할과 무상증자 = 결정요인과 공시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04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식분할은 고액의 액면가를 일정비율로 분할하는 재무정책이며, 무상증자는 법정적립금 등을 재원으로 활용한 증자정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식분할과 무상증자가 경제적 실체의 측면에서는 유사한 재무정책임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반응이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의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정책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기업의 무상주 발행공시가 해당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08년 9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우리나라의 KOSPI 유가증권시장과 KOSDAQ 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주식분할과 무상증자를 공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부채비율이 큰 기업일수록 주식분할을 선호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수익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무상증자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식분할과 무상증자를 선택하는 기업들의 재무적 특성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주식분할과 무상증자 모두 공시일에 양(+)의 누적초과수익률이 나타났지만, 주식분할 이후 시장반응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무상증자의 공시효과가 공시일 전후로 주식분할의 효과보다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주식분할과 무상증자 모두 기업의 의도가 반영된 긍정적 신호전달기능의 결과임을 암시하지만, 액면가 분할이 수반되는 주식분할과는 달리, 무상증자의 경우 액면가가 유지되는 특수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미래 현금배당 증가에 대한 기대를 내포하고 있어서, 시장에서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각 증자방법을 선택하여 시장에서로 상이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시장의 반응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주식분할은 고액의 액면가를 일정비율로 분할하는 재무정책이며, 무상증자는 법정적립금 등을 재원으로 활용한 증자정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식분할과 무상증자가 경제적 실체의 측면에...

      주식분할은 고액의 액면가를 일정비율로 분할하는 재무정책이며, 무상증자는 법정적립금 등을 재원으로 활용한 증자정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식분할과 무상증자가 경제적 실체의 측면에서는 유사한 재무정책임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반응이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의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정책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기업의 무상주 발행공시가 해당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08년 9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우리나라의 KOSPI 유가증권시장과 KOSDAQ 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주식분할과 무상증자를 공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부채비율이 큰 기업일수록 주식분할을 선호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수익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무상증자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식분할과 무상증자를 선택하는 기업들의 재무적 특성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주식분할과 무상증자 모두 공시일에 양(+)의 누적초과수익률이 나타났지만, 주식분할 이후 시장반응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무상증자의 공시효과가 공시일 전후로 주식분할의 효과보다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주식분할과 무상증자 모두 기업의 의도가 반영된 긍정적 신호전달기능의 결과임을 암시하지만, 액면가 분할이 수반되는 주식분할과는 달리, 무상증자의 경우 액면가가 유지되는 특수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미래 현금배당 증가에 대한 기대를 내포하고 있어서, 시장에서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각 증자방법을 선택하여 시장에서로 상이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시장의 반응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he sample firms listed in the KOSPI and KOSDAQ from September 2008 to December 2015, this study examines the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capital increase without consideration) in the Korean stock market.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the market positively reacts to both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but the positive reactions are more evident in the free-bonus issues.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 that the firms with a higher financial leverage are more likely to split their stocks. However, the firms with a higher return on equity (ROE) are more likely to adopt the free-bonus issu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determinants of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could be dissimilar. In particular, we find that the positive market reactions to bonus issues are magnified in the firms with a higher ROE. The finding seems to reflect the market’s expectation of an increase in future dividend payments from the issuing firms because face value does not change after issuing bonus shares, and cash dividends are paid on face value in the Korean stock market. Overall, our findings reveal the heterogeneity of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although they are seemingly alike.
      번역하기

      Using the sample firms listed in the KOSPI and KOSDAQ from September 2008 to December 2015, this study examines the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capital increase without consideration) in the Korean stock market.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

      Using the sample firms listed in the KOSPI and KOSDAQ from September 2008 to December 2015, this study examines the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capital increase without consideration) in the Korean stock market.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the market positively reacts to both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but the positive reactions are more evident in the free-bonus issues.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 that the firms with a higher financial leverage are more likely to split their stocks. However, the firms with a higher return on equity (ROE) are more likely to adopt the free-bonus issu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determinants of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could be dissimilar. In particular, we find that the positive market reactions to bonus issues are magnified in the firms with a higher ROE. The finding seems to reflect the market’s expectation of an increase in future dividend payments from the issuing firms because face value does not change after issuing bonus shares, and cash dividends are paid on face value in the Korean stock market. Overall, our findings reveal the heterogeneity of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although they are seemingly alik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선행연구
      • 3. 표본선정 및 연구방법
      • 4. 실증분석
      • 요약
      • 1. 서론
      • 2. 선행연구
      • 3. 표본선정 및 연구방법
      • 4. 실증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지인, "환경회계정보, 환경성과, 재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 22 (22): 433-454, 2009

      2 최효순, "한국기업의 부채유형선택요인과 기업가치영향" 한국증권학회 34 (34): 79-121, 2005

      3 변종국, "주식분할의 장기성과" 한국재무관리학회 24 (24): 1-27, 2007

      4 김선호, "주식분할의 유동성가설 및 최적거래가격범위가설 실증분석" 대한경영학회 21 (21): 2293-2311, 2008

      5 김경순, "주식분할의 시장반응과 내부자지분율의 변화: 단일사건과 복합사건 주식분할의 비교" 1749-1775, 2011

      6 장옥화, "주식분할에 따른 시장반응과 기업재무구조와의 관계" 한국산업경영학회 25 (25): 61-92, 2010

      7 박진우, "주식분할 후 변동성 증가와 거래행태의 변화" 한국증권학회 39 (39): 545-571, 2010

      8 박주현, "주식분할 공시의 정보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 17 (17): 1625-1651, 2004

      9 류두진, "제품시장경쟁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한-미 FTA를 통한 증거" 한국재무학회 28 (28): 487-512, 2015

      10 류두원, "정부기관의 중소기업 포상이 나아가야할 방향: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증권학회 43 (43): 47-69, 2014

      1 장지인, "환경회계정보, 환경성과, 재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 22 (22): 433-454, 2009

      2 최효순, "한국기업의 부채유형선택요인과 기업가치영향" 한국증권학회 34 (34): 79-121, 2005

      3 변종국, "주식분할의 장기성과" 한국재무관리학회 24 (24): 1-27, 2007

      4 김선호, "주식분할의 유동성가설 및 최적거래가격범위가설 실증분석" 대한경영학회 21 (21): 2293-2311, 2008

      5 김경순, "주식분할의 시장반응과 내부자지분율의 변화: 단일사건과 복합사건 주식분할의 비교" 1749-1775, 2011

      6 장옥화, "주식분할에 따른 시장반응과 기업재무구조와의 관계" 한국산업경영학회 25 (25): 61-92, 2010

      7 박진우, "주식분할 후 변동성 증가와 거래행태의 변화" 한국증권학회 39 (39): 545-571, 2010

      8 박주현, "주식분할 공시의 정보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 17 (17): 1625-1651, 2004

      9 류두진, "제품시장경쟁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한-미 FTA를 통한 증거" 한국재무학회 28 (28): 487-512, 2015

      10 류두원, "정부기관의 중소기업 포상이 나아가야할 방향: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증권학회 43 (43): 47-69, 2014

      11 최영문, "의제배당과세여부에 따른 무상주배분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세무학회 23 (23): 105-130, 2006

      12 황선웅, "우리나라에서 주식분할에 따른 시장반응과 유동성효과" 한국재무관리학회 24 (24): 201-232, 2007

      13 류두원, "서로 다른 성장기회 하에서 재무정책과소유구조는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미치는가?" 예금보험공사 14 (14): 1-32, 2013

      14 김병기, "무상증자의 실시동기, 증자비율 및 시점에 관한 연구" 20 (20): 35-69, 1997

      15 이현석, "무상증자와 주식분할, 주식병합 실시기업의 시장반응에 관한 연구" 1 (1): 17-41, 2008

      16 양철원, "무상증자에 대한 유동성 가설 검증" 한국증권학회 46 (46): 423-458, 2017

      17 임웅기, "무상증자 실시기업의 재무적 특성과 투자자 인식에 관한 연구" 6 (6): 77-107, 1993

      18 김병기, "무상증자 실시기업의 장기성과" 6 (6): 23-45, 2000

      19 조준희, "무상증자 기업의 공시 정보효과" 35-45, 2007

      20 김철교, "무상주발행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9 (9): 209-242, 1992

      21 윤태화, "무상주 배분에 대한 의제배당 과세여부와 암묵적 조세" 한국세무학회 24 (24): 179-210, 2007

      22 박광우, "기업지배구조와 주주부의 배분에 관한 연구" 한국증권학회 34 (34): 149-188, 2005

      23 황진수, "기업의 재무적특성과 무상증자간의 관련성에 관한연구" 8 (8): 315-332, 1995

      24 정운오, "권리락일과 배당락일의 주가조정에 반영된 세금효과: 무상증자와 주식배당을 중심으로" 한국회계학회 27 (27): 137-162, 2002

      25 박경서, "국내기업의 배당형태와 투자자의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재무학회 16 (16): 195-229, 2003

      26 D’Mello, R., "Why do firms issue equity after splitting stocks?" 38 (38): 323-350, 2003

      27 Ohlson, J. A, "Volatility increases subsequent to stock splits: An empirical aberration" 14 (14): 251-266, 1985

      28 Grinblatt, M., "The valuation effects of stock split and stock dividends" 13 (13): 461-490, 1984

      29 Fama, E., "The adjustment of stock prices to new information" 10 (10): 1-21, 1969

      30 Guo, S., "Stock splits as a manipulation tool: Evidence form mergers and acquisitions" 37 (37): 695-712, 2008

      31 Lakonishok, J, "Stock splits and stock dividends: Why, who, and when" 42 (42): 913-932, 1987

      32 Chung, C. Y., "Stock split, unseasoned equity offering, and firm value: Evidence from the Korean stock market" 13 (13): 105-109, 2016

      33 Schultz, P., "Stock split, tick size and sponsorship" 55 (55): 429-450, 2000

      34 Brennan, M. J, "Stock split, stock prices, and transaction costs" 22 (22): 83-101, 1988

      35 Brennan, M. J, "Stock prices and the supply of information" 46 (46): 1665-1691, 1991

      36 McNichols, M., "Stock dividends, stock splits, and signalling" 45 (45): 857-879, 1990

      37 Ball, R., "Share capitalization changes, information, and the australian equity market" 2 (2): 105-125, 1977

      38 Johnson, S, "News and noise: Do investors react to stock split announcement differently during periods of high and low market volatility?" 35 (35): 71-78, 2011

      39 Ray, K. K., "Market reaction to bonus issues and stock splits in India: An empirical study" 17 (17): 54-69, 2011

      40 김경순, "Is Stock Split a Manipulation Tool? Evidence from the Korean Stock Market" 한국증권학회 41 (41): 637-663, 2012

      41 Park, T. J., "Informed trading before positive vs. negative earnings surprises" 49 : 228-241, 2014

      42 Elgers, P. T, "Financi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managements’ stock split and stock dividend decisions" 12 (12): 543-551, 1985

      43 Raja, M, "An empirical test of Indian stock market efficiency in respect of bonus announcement" 4 (4): 1-1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학술지 분리 (기타) KCI등재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22 2.13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