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성리학에서 영남학파의 큰 흐름은 退溪 李滉-葛庵 李玄逸-大山 李象靖을 거쳐 寒洲 李震相에 이르러 理發一途를 주장, 主理論의 절정에 이른다. 이 글에서는 성리학의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66945
2006
-
81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49-274(2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조 성리학에서 영남학파의 큰 흐름은 退溪 李滉-葛庵 李玄逸-大山 李象靖을 거쳐 寒洲 李震相에 이르러 理發一途를 주장, 主理論의 절정에 이른다. 이 글에서는 성리학의 인...
조선조 성리학에서 영남학파의 큰 흐름은 退溪 李滉-葛庵 李玄逸-大山 李象靖을 거쳐 寒洲 李震相에 이르러 理發一途를 주장, 主理論의 절정에 이른다. 이 글에서는 성리학의 인식논리와 관련하여 영남학파 主理論의 발전의 과정과 한주가 자기 학설의 논거로 사용한 대산의 설들을 살펴봄으로써 영남학파 주리론의 발전 上에서의 대산의 위상을 究明하였다.<BR> 退溪는 高峯 奇大升과의 四七論辨에서 자신이 四端·七情을 理發·氣發로 나누어 규정하는 논리적 근거로 渾淪看과 分開看이란 용어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용어는 이미 주자가 理·氣의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한 것이다.<BR> 寒洲 李震相는 위 혼륜간과 분개간을 竪看·橫看·倒看으로 더욱 나누었다. 그리하여 그는 주로 수간에 의하여 心의 本然은 理임을 주장하였는데 이것이 영남학파 주리론의 절정이라 할 心卽理說이다.<BR>퇴계와 고봉에게서 비롯한 사칠논변은 栗谷 李珥가 氣發一途說을 주장하여 퇴계의 互發說을 비판하면서 영남·기호 양학파간의 첨예한 論戰으로 전개된다. 영남학파에서 율곡의 학설을 본격적으로 비판하고 나선 학자는 갈암이다. 갈암은 율곡의 氣發一途說을 비판, 分開看을 강조하여 理·氣는 二物이므로 사단과 칠정도 그 근저에서 구별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이에 더 나아가서 사단과 칠정의 구별은 그것이 발하기 전에 이미 心中의 근본에서 다르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BR> 대산은 갈암 이후로 주로 분개간 쪽에만 치중한 영남학파의 四七說의 단점을 보완, 혼륜간을 함께 중시하였다. 그는 사단과 칠정이 각각 다른 길로 발하는 것이 아니라 한 길로 발하되 발할 때 각각 主가 되는 바를 가리켜 理發·氣發이라 한 것일 뿐이며 칠정도 그 本然은 性이 발한 것이라 했다. 칠정도 性이 발한 것이라는 설은 혼륜간에 의한 것으로 퇴계의『聖學十圖』중 心統性情中圖의 설에 부합한다.<BR> 한주는 자신의 학설이 퇴계의 정설에 어긋나지 않음을 힘써 증명해야 했는데 이 때 한주는 주로 대산의 설을 많이 인용했다. 그래서 한주의 저술에 朱子·퇴계 외에 가장 많이 논거로 인용된 것이 대산의 설이다.<BR> 한주는 대산도 七情理發을 인정했다는 증거가 분명히 있고, 그의 제자인 立齋 鄭宗老도 대산의 설을 이어 七情理發을 분명히 주장했다고 했다. 그리고 한주는 당시 영남학파를 대표하는 학자인 定齋 柳致明과 토론에서도 대산의 설을 근거로 들어 반박하였다.<BR> 한국 성리학 주리론의 발전 상에서 대산은 갈암 이후 분개간에 치우친 영남학파 성리설의 치우친 점을 바로잡고, 퇴계의 心統性情中圖에서 발원한 七情理發說을 복원, 발전시켜 한주에게로 이어지게 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argest trend of Youngnam School in Korean Confucianism reached to the peak when Hanjoo Lee Jin-Sang suggested Lee-bal-il-do through Toigye Lee Hwang, Galam Lee Hyeon-Il and Daesan Lee Sang-Jung. This study speculates the developmental...
The largest trend of Youngnam School in Korean Confucianism reached to the peak when Hanjoo Lee Jin-Sang suggested Lee-bal-il-do through Toigye Lee Hwang, Galam Lee Hyeon-Il and Daesan Lee Sang-Jung. This study speculat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huli in respect to the cognitive logic of Confucianism and Daesan"s theories used by Hanjoo as a base of his theory to identify Daesan"s status in the development of Chuli.<BR> The Sachil originated by Toigye and Gobongwas developed into sharp debates between Yongnam School and Kiho School when Yoolgok Lee Yi criticized Toigye"s Ho-bal-seol suggesting Ki-bal-il-do. It was Galam in Youngnam School who criticized Yoolgok"s theory. He criticized the Ki-bal-il-do and emphasized Bun-gae-gan that the bases of Sadan and Chiljung should be differentiated as Ri and Ki are two different matters. He further suggested that the bases of Sadan and Chiljung are different even before they are differentiated. Daesan complemented disadvantages of Sachilseol of Youngnam School which was inclined to Bungaegan after Galam and focused on Honryungan, too. He suggested that Lee-bal and Kee-bal are created when Sadan and Chiljung are united into one way rather than two different ways and the origin of Chiljung is Sung. The theory that Chiljung is originated from Sung is originated from Honryungan which meets Sim-tong-sung-jung-joong-do of the Sung-hak-sip-do by Toigye.<BR> Hanjoo had to demonstrate that his theory was not against the theory of Toigye when he usually cited Daesan"s theory. So in addition to Jooja and Toigye, Daesan"s theory was cited in Hanjoo"s books.<BR> Daesan in the development of Chuli in Korean Confucianism corrected inclined Confucianism in Youngnam School which focused on only Bungaegan after Galam, rehabilitated Chil-jung-il-bal-seol originated from Sim-tong-sungjung-joong-do by Toigye and inherited it to Hanjoo.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로, "立齋集"
2 현상윤, "조선유학사" 현암사 359-360, 1982
3 后山書堂, "葛庵集"
4 오하마 아끼라(大濱晧), "朱子の철학" 東京大學校出判會 3-4, 1983
5 이진상, "寒洲全書" 아세아문화사 1980
6 이상정, "大山先生文集"
7 허유, "后山集" 后山書堂 1999
1 정종로, "立齋集"
2 현상윤, "조선유학사" 현암사 359-360, 1982
3 后山書堂, "葛庵集"
4 오하마 아끼라(大濱晧), "朱子の철학" 東京大學校出判會 3-4, 1983
5 이진상, "寒洲全書" 아세아문화사 1980
6 이상정, "大山先生文集"
7 허유, "后山集" 后山書堂 1999
釋 息影庵의 正體에 대한 再論 - 南原梁氏, 法名 淵鑑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1 | 1.492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