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 Language Based Reading Abilities of Korean School-Aged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644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초등 저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기반 읽기능력을비다문화가정 아동의 수행력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발달을 살피고, 언어읽기평가에 ...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초등 저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기반 읽기능력을비다문화가정 아동의 수행력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발달을 살피고, 언어읽기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어머니로 둔 초등 1-3학년에 재학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34명과 학년과 지역이 일치하는 비다문화가정 아동 34명의 언어기반 읽기능력을 비교하였다. 읽기의 경우 낱말재인력과 덩이글이해력을 측정하였고, 관련언어요소로서 덩이말이해력과 음운인식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다문화가정아동은 비다문화가정아동처럼 1학년에서부터 3학년으로 갈수록 언어와 읽기능력이 발달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아동의 낱말재인과 덩이글이해력은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고, 언어능력인 덩이말이해 면에서도 비다문화가정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다. 한편 음운인식력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은 읽기와 언어가 발달하고 있지만, 읽기와 언어에 대한 선별평가 및 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텍스트를중심으로 한 말과 글에 대한 평가가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Reading is an important area of language use in school activities.study aimed to compare reading and related languag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MC) with those of non-multicultural backgroun...

      Background and Objectives: Reading is an important area of language use in school activities.study aimed to compare reading and related languag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MC) with those of non-multicultural backgrounds (NMC) and to discus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oles for multicultural children. Method: Thirty-four school-aged children (mean age of 8 years old) with MC and 34 NMC pee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Readingabilities were measured on word recognition and text comprehension while reading-related language abilities were tapped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text and phonological awareness. Results: Both MC children and NMC children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reading and language as their grade level increased. However, children with MC showed lower abilities in word recognition, text comprehension, and listening comprehension, compared to children with NMC.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C children and NMC children in the area of phonological awareness. Discussion and Conclusion: School-aged Korean children with MC appeared to develop their reading and related language abilities, although their overall performance of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lagged behind their NMC pee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need to screen and assess NMC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s well as language 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등재유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13-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2-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06-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8 1.62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