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주의적 교육이론의 대표적인 주창자 존 듀이는 전통적 교육에서 발생하는 ‘앎과 삶의 분리’ 문제를 비판하였다. 듀이가 보기에 이 문제의 원인은 전통적 교육이 인간의 삶과 동떨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00520
2019
Korean
학술저널
17-36(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실용주의적 교육이론의 대표적인 주창자 존 듀이는 전통적 교육에서 발생하는 ‘앎과 삶의 분리’ 문제를 비판하였다. 듀이가 보기에 이 문제의 원인은 전통적 교육이 인간의 삶과 동떨어...
실용주의적 교육이론의 대표적인 주창자 존 듀이는 전통적 교육에서 발생하는 ‘앎과 삶의 분리’ 문제를 비판하였다. 듀이가 보기에 이 문제의 원인은 전통적 교육이 인간의 삶과 동떨어져 있는 ‘외적 목적’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는다는 것에 있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듀이는 인간 활동의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내적목적’을 바람직한 교육목적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마이클 오우크쇼트의 이론에 비추어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오우크쇼트의 이론에 기대어 삶을 총체적 관점에서 온전하게 파악한다면 실용주의적 교육관의 한계가 드러나게 된다. 오우크쇼트는 인간의 활동을 이미지 만들기 방식에 따라 실제적 활동, 과학적 활동, 시적 활동 등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각각의 활동이 인간 삶의 상이한 측면을 보여주는 고유한 양상들이라는 점을 드러낸다. 반면 듀이는 인간의 모든 활동을 오직 실제적 활동으로 환원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이 한계로 인해 그는 전통적 교육에서의 앎과 삶을 분리된 것으로 잘못 파악하게 되었다. 이러한 듀이의 한계가 밝혀짐과 동시에 전통적 교육을 향한 오해는 해소될 수 있다. 이제 전통적 교육에서의 ‘앎과 삶의 분리’ 문제는 다른 방식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문제의 적극적인 해결은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을 통해 가능하다. 전통적 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관조적 삶의 태도’의 함양에 있다. 관조적 삶의 태도는 끊임없이 목적을 설정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단을 강구하는 ‘도구적 태도’에서 벗어나 ‘이미지 만들기 활동’ 그 자체를 향유하는 태도이다. 이러한 태도를 통해 학생들은 끝없는 지적 모험으로서의 인류의 ‘대화’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전통적 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삶과 무관한 ‘외적 목적’이 아닌, 삶 그 자체를 충만하게 살아가기 위해 활동의 내재적 가치를 중시하는 ‘내재적 목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때의 내재적 목적은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에 비추어 역동적 의미가 더해진 생생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안)"
2 구리나, "로티의 철학에 함의된 교육관 고찰: 대화로서의 교육" 한국도덕교육학회 28 (28): 133-155, 2016
3 교육부, "교육과정 다양화로 고교 교육혁신을 시작한다.-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 발표"
1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안)"
2 구리나, "로티의 철학에 함의된 교육관 고찰: 대화로서의 교육" 한국도덕교육학회 28 (28): 133-155, 2016
3 교육부, "교육과정 다양화로 고교 교육혁신을 시작한다.-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 발표"
‘레토릭의 관용표현’과 ‘대항레토릭’전략의 토론 교육 활용 가능성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학생평가전문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신입직원의 멘토링을 통한 조직 적응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