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스끄리뜨로 쓰여진 까우띨리야의 『아르타샤스뜨라』는 고대 인도의 가장 중요한 정치학서다. 이 글은 『아르타샤스뜨라』가 강조하고 있고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국가의 7대 구성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44460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9(1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산스끄리뜨로 쓰여진 까우띨리야의 『아르타샤스뜨라』는 고대 인도의 가장 중요한 정치학서다. 이 글은 『아르타샤스뜨라』가 강조하고 있고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국가의 7대 구성요...
산스끄리뜨로 쓰여진 까우띨리야의 『아르타샤스뜨라』는 고대 인도의 가장 중요한 정치학서다. 이 글은 『아르타샤스뜨라』가 강조하고 있고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국가의 7대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정치학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분석결과 얼핏 보기에 오늘날 일반적으로 믿고 있는 국가의 3요소, 즉 영토, 국민 주권과 『아르타샤스뜨라』의 7대 구성요소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면밀히 관찰하면 비록 『아르타샤스뜨라』가 주권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두 개념사이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르타샤스뜨라』의 핵심 구성요소인 국왕이 곧 주권자체를 대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까우띨리야는 왕을 국가의 존립과 멸망의 핵심요소로 간주하였다. 『아르타샤스뜨라』의 특이한 점은 동맹국을 국가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르타샤스뜨라』는 이미 기원전 4-3세기에 철학의 영역으로부터 정치학의 영역을 도출해 냈다는데 가치가 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주도한 이상주의 정치철학과는 달리 까우띨리야는 국가를 어떻게 통치하고 정부를 어떻게 운영해야 할 것인지 대한 실질적인 목적을 가지고 『아르타샤스뜨라』를 집필한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thashastra of Kautilya written in Sanskrit is the most important work on politics in ancient India.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7 constituent elements of a state which Arthashastra lays emphasis on and explains in detail. And then, it trie...
The Arthashastra of Kautilya written in Sanskrit is the most important work on politics in ancient India.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7 constituent elements of a state which Arthashastra lays emphasis on and explains in detail. And then, it tries to find out its significance for political science.
The analysis shows that at first glanc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hree-element of a state’ which is generally believed in today, namely, territory, people and sovereignty, and the 7 constituent elements of a state in Arthashastra. If one has a clost aexamination, however, there is hardly any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cepts although Arthashastra does not mention sovereignty directly. Iecaust the Kist(Sv?min), which is the core constituent element of a sate in Arthashastraand pd sents sovereignty itself. Kautilya concerns that the kist is central to the life and death of the state.
One of unique features of Arthashastra is that the allies is regarded as an important constituent elements of a state. It is also worth to note that in the 4th or 3rd century B. C. Arthashastra already shifted attention from political philosophy to political science. Unlike idealism of political philosophy of Platon and Aristoteles, Kautilya wrote the Arthashastra with the practical aim of showing how a sate ought to be ruled and how the government ought to be ru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고홍근, "힌두문명권의 외교: 까우띨리-야의 시각" 남아시아연구소 13 (13): 1-24, 2007
2 백좌흠, "힌두-무슬림 갈등의 구조적 성격과 동태 분석:아요디야 사태를중으로" 8 (8): 2003
3 백좌흠, "힌두-무슬림 갈등의 구조적 성격과 동태 분석 : 구자라뜨 사태를 중심으로" 한국인도학회 9 (9): 1-52, 2004
4 홍성방, "헌법학" 현암사 2007
5 김찬완, "자와하랄 네루. in: 인도의 사상가" 한국외국어 대학교 2007
6 고홍근, "까우띨리야와 한비: 인도와 중국의 정치사상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인도학회 12 (12): 1-59, 2007
7 마키아벨리, 니콜로, "군주론" 을유문화사 2008
8 "http://en.wikipedia.org/wiki/Arthashastra"
9 "http://100.naver.com/100.nhn?docid=21636"
10 Kangle, R. P, "The Kautiliya Arthashastra, An English translation with critical and explanatory notes" Motilal Banarasidass 1972
1 고홍근, "힌두문명권의 외교: 까우띨리-야의 시각" 남아시아연구소 13 (13): 1-24, 2007
2 백좌흠, "힌두-무슬림 갈등의 구조적 성격과 동태 분석:아요디야 사태를중으로" 8 (8): 2003
3 백좌흠, "힌두-무슬림 갈등의 구조적 성격과 동태 분석 : 구자라뜨 사태를 중심으로" 한국인도학회 9 (9): 1-52, 2004
4 홍성방, "헌법학" 현암사 2007
5 김찬완, "자와하랄 네루. in: 인도의 사상가" 한국외국어 대학교 2007
6 고홍근, "까우띨리야와 한비: 인도와 중국의 정치사상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인도학회 12 (12): 1-59, 2007
7 마키아벨리, 니콜로, "군주론" 을유문화사 2008
8 "http://en.wikipedia.org/wiki/Arthashastra"
9 "http://100.naver.com/100.nhn?docid=21636"
10 Kangle, R. P, "The Kautiliya Arthashastra, An English translation with critical and explanatory notes" Motilal Banarasidass 1972
11 Hinsley, F. H, "Sovereignty,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2 Aiyangar, K, "Some Aspects of Ancient Indian Polity" Eastern Book House 1988
13 Varma, V. P, "Modern Indian Political Thought" Lakshmi Narain Agarwal 1993
14 Rangarajan. L. N, "Kautilya: The Arthashastra, edited, rearranged, translated and introduced" Penguin Book 1992
15 Mital, Surendra Nath, "Kautiliya Arthashastra Revisited" Center for Studies in Civilizations 2004
16 Arora, Ramesh K, "Indian Public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Issues" Wishwa Prakashan 1996
17 Fadia, B. L, "Indian Administration" Sahitya Bhawan Publications 2008
18 Sensarma, Priyadarsan, "Ethnobiological Information in Kautiliya Arthasastra" Naya Prakash 1998
베다문헌 형성과정에서 비(非)아리야(Ārya)적 요소의 유입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5-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outh Asian Studies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2-12-3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남아시아연구소 -> 인도연구소영문명 : Institute of South Asian Studies -> Institute of Indi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7 | 0.84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