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V드라마 <내 딸 서영이> : 결연구조와 사랑의 스펙트럼 - `겹사돈 구조에서 전환하는 삼각혼 구조`의 창출을 중심으로 - = On the Structure of Marriage and the Spectrum of Love between Male and Female in < My daughter, Seyung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054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TV드라마 <내 딸 서영이>의 결연구조는 겹사돈 구조에 기대다가 삼각혼 구조로 전환하는 양상을 띤다. 이러한 결연구조는 선행하는 TV드라마의 겹사돈 구조와, 그보다 훨씬 오래 전에 출현한 고전대하소설의 겹사돈 구조 및 삼각혼 구조의 토양 위에서 새롭게 창출되었다. 겹사돈 구조나 삼각혼 구조를 지니는 TV드라마 작품들은 최고 시청률이 25.1%에서 57.3% 사이에 달할 정도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는데, <내 딸 서영이> 또한 최고 시청률 48.5%를 달성했을 정도다. 이로 보건대 겹사돈 구조와 삼각혼 구조는 장편 분량의 작품세계를 지탱하고, 복잡하고 번거로울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시청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서사구조이며, 시청률을 반영하고 상업성을 띠는 서사구조이기도 하다. 과연 TV드라마의 작품세계 자체와 작품 외부 세계를 포괄하는 대중문화의 구조라 할 만하다. <내 딸 서영이>는 겹사돈에서 삼각혼으로 전환하는 결연구조 위에 다양한 커플들의 사랑 이야기를 병렬적ㆍ교차적으로 담아냄으로써, 그리고 그 이야기를 `반복`과 `변이`의 형태로 담아냄으로써 통속성을 확보한다. 각 커플이 맺는 사랑은 `하나가 되고자 하는 사랑의 열정`을 수반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쉽게 만나고 `쿨(cool)하게` 헤어지는 양상을 띠는바, 현대 대중의 사랑을 담아낸다. 그런데 사랑의 성취 과정이 겉보기에는 `쿨(cool)`한 듯 보여도, 힘들고 고민스러우며 괴로운 내면 풍경을 담아내고, 나아가 그러한 사랑이 이해와 동정, 관용과 인내를 통해 비로소 온전해질 수 있음 보여주되, 극적 장치를 통한 감동과 흥미를 확보한다. 요컨대 <내 딸 서영이>는 고전대하소설과 TV드라마의 토양 위에서 `겹사돈에서 삼각혼으로 전환하는` 결연구조를 창출하여 남녀 커플의 다채로운 사랑을 담아내되, `바람직한 관계 맺기`를 통한 진실한 사랑을 추구하고, 어떤 커플의 사랑에서든지 이해, 관용, 인내 등 덕목 구비의 중요성을 예술적으로 형상화하되 그 결말을 해피엔딩으로 처리함으로써, 대중문화로서 확고한 자리를 차지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그 사랑이 혈연 차원의 `가정`으로 수렴되는바, 혈연을 넘어서는 형제애(brotherhood)나 세계로 향하는 인류애(humanity)를 담아내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향후 TV드라마가 한국과 동아시아, 한국과 세계를 잇는 차원의 인류애 그리고 혈연을 뛰어넘는 형제애를 보다 적극적으로 담아냄으로써 대중문화의 지평을 확대해보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TV드라마 <내 딸 서영이>의 결연구조는 겹사돈 구조에 기대다가 삼각혼 구조로 전환하는 양상을 띤다. 이러한 결연구조는 선행하는 TV드라마의 겹사돈 구조와, 그보다 훨씬 오래 전에 출...

      TV드라마 <내 딸 서영이>의 결연구조는 겹사돈 구조에 기대다가 삼각혼 구조로 전환하는 양상을 띤다. 이러한 결연구조는 선행하는 TV드라마의 겹사돈 구조와, 그보다 훨씬 오래 전에 출현한 고전대하소설의 겹사돈 구조 및 삼각혼 구조의 토양 위에서 새롭게 창출되었다. 겹사돈 구조나 삼각혼 구조를 지니는 TV드라마 작품들은 최고 시청률이 25.1%에서 57.3% 사이에 달할 정도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는데, <내 딸 서영이> 또한 최고 시청률 48.5%를 달성했을 정도다. 이로 보건대 겹사돈 구조와 삼각혼 구조는 장편 분량의 작품세계를 지탱하고, 복잡하고 번거로울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시청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서사구조이며, 시청률을 반영하고 상업성을 띠는 서사구조이기도 하다. 과연 TV드라마의 작품세계 자체와 작품 외부 세계를 포괄하는 대중문화의 구조라 할 만하다. <내 딸 서영이>는 겹사돈에서 삼각혼으로 전환하는 결연구조 위에 다양한 커플들의 사랑 이야기를 병렬적ㆍ교차적으로 담아냄으로써, 그리고 그 이야기를 `반복`과 `변이`의 형태로 담아냄으로써 통속성을 확보한다. 각 커플이 맺는 사랑은 `하나가 되고자 하는 사랑의 열정`을 수반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쉽게 만나고 `쿨(cool)하게` 헤어지는 양상을 띠는바, 현대 대중의 사랑을 담아낸다. 그런데 사랑의 성취 과정이 겉보기에는 `쿨(cool)`한 듯 보여도, 힘들고 고민스러우며 괴로운 내면 풍경을 담아내고, 나아가 그러한 사랑이 이해와 동정, 관용과 인내를 통해 비로소 온전해질 수 있음 보여주되, 극적 장치를 통한 감동과 흥미를 확보한다. 요컨대 <내 딸 서영이>는 고전대하소설과 TV드라마의 토양 위에서 `겹사돈에서 삼각혼으로 전환하는` 결연구조를 창출하여 남녀 커플의 다채로운 사랑을 담아내되, `바람직한 관계 맺기`를 통한 진실한 사랑을 추구하고, 어떤 커플의 사랑에서든지 이해, 관용, 인내 등 덕목 구비의 중요성을 예술적으로 형상화하되 그 결말을 해피엔딩으로 처리함으로써, 대중문화로서 확고한 자리를 차지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그 사랑이 혈연 차원의 `가정`으로 수렴되는바, 혈연을 넘어서는 형제애(brotherhood)나 세계로 향하는 인류애(humanity)를 담아내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향후 TV드라마가 한국과 동아시아, 한국과 세계를 잇는 차원의 인류애 그리고 혈연을 뛰어넘는 형제애를 보다 적극적으로 담아냄으로써 대중문화의 지평을 확대해보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My daughter, Seyung > is a work of korean television drama which has the structure of marriage, with being changed from the structure of double marriage between tow families to the structure of triangle marriage among three families. This structure of marriage has created newly based on the above the structure of double marriage between tow families in the preceding koean television dramas and the structure of triangle marriage among three families in Korean sagas. Each korean television drama which has the structure of double marriage or the triangle marriage gained high rate of watching television program in the range from 25.i% to 57.3%. < My daughter, Seyung > gained the highest rate, 48.5%. So, the structure of double marriage or the triangle marriage affirms the long amount of contents of television drama, and makes the viewers easy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elevision drama, and reflects the rate of watching television program, so gains the commercial tendency. indeed that structure of marriage is the structure of mass culture which oversees the work of korean television drama of itself and the real world. < My daughter, Seyung > could gain the commonness by evolving various love stories based on the above the structure of marriage, with being changed from the structure of double marriage to the structure of triangle marriage, alternately or in parallel, and in repetition and variation. Each love story has the passion of love on the one hand, and has pattern of saying goodbye coolly on the other hand. Nevertheless each love story reveals inner psychological scenery which is hard and worry, and gains inspiring and interesting dramatically through virtues such as understanding, compassion, tolerance and patience. In short < My daughter, Seyung > gains one place In Popular culture. However, In < My daughter, Seyung > all loves reach `Family love` based on the above the kinship, so has not the brotherhood or humanity that transcends the kinship. Forward, the brotherhood or humanity that transcends the kinship should be acquired In the works of television drama, so the horizons of in Popular culture be widen.
      번역하기

      < My daughter, Seyung > is a work of korean television drama which has the structure of marriage, with being changed from the structure of double marriage between tow families to the structure of triangle marriage among three families. This stru...

      < My daughter, Seyung > is a work of korean television drama which has the structure of marriage, with being changed from the structure of double marriage between tow families to the structure of triangle marriage among three families. This structure of marriage has created newly based on the above the structure of double marriage between tow families in the preceding koean television dramas and the structure of triangle marriage among three families in Korean sagas. Each korean television drama which has the structure of double marriage or the triangle marriage gained high rate of watching television program in the range from 25.i% to 57.3%. < My daughter, Seyung > gained the highest rate, 48.5%. So, the structure of double marriage or the triangle marriage affirms the long amount of contents of television drama, and makes the viewers easy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elevision drama, and reflects the rate of watching television program, so gains the commercial tendency. indeed that structure of marriage is the structure of mass culture which oversees the work of korean television drama of itself and the real world. < My daughter, Seyung > could gain the commonness by evolving various love stories based on the above the structure of marriage, with being changed from the structure of double marriage to the structure of triangle marriage, alternately or in parallel, and in repetition and variation. Each love story has the passion of love on the one hand, and has pattern of saying goodbye coolly on the other hand. Nevertheless each love story reveals inner psychological scenery which is hard and worry, and gains inspiring and interesting dramatically through virtues such as understanding, compassion, tolerance and patience. In short < My daughter, Seyung > gains one place In Popular culture. However, In < My daughter, Seyung > all loves reach `Family love` based on the above the kinship, so has not the brotherhood or humanity that transcends the kinship. Forward, the brotherhood or humanity that transcends the kinship should be acquired In the works of television drama, so the horizons of in Popular culture be wid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군일, "황금신부"

      2 정준영, "텔레비전 보기-시청에서 비평으로" 책세상 2002

      3 조이뉴스, "충격결말’ 보석비빔밥, 25.1%자체최고시청률로종영"

      4 한국일보, "인기행진 SBS ‘황금신부’ 연장방송 결정"

      5 Robert D. Enright, "용서는 선택이다" 학지사 2004

      6 뉴스엔, "오작교 마저겹사돈? ‘가족드라마에너무해’ 비판봇물"

      7 윤선희, "신데렐라 콤플렉스의 역전이와 코라: 페미니즘 정신분석학의 시각에서 텔레비전 드라마 다시 읽기" 한국언론학회 49 (49): 84-109, 2005

      8 뉴스엔, "서영이박해진-박정아이뤄져VS 겹사돈지긋의견분분"

      9 강미정, "상사뱀 설화와 영화 <페인티드 베일>의 비교를 통해 본 일방적 사랑의 문제" 한국문학치료학회 28 : 165-197, 2013

      10 백호민, "보석비빔밥"

      1 윤군일, "황금신부"

      2 정준영, "텔레비전 보기-시청에서 비평으로" 책세상 2002

      3 조이뉴스, "충격결말’ 보석비빔밥, 25.1%자체최고시청률로종영"

      4 한국일보, "인기행진 SBS ‘황금신부’ 연장방송 결정"

      5 Robert D. Enright, "용서는 선택이다" 학지사 2004

      6 뉴스엔, "오작교 마저겹사돈? ‘가족드라마에너무해’ 비판봇물"

      7 윤선희, "신데렐라 콤플렉스의 역전이와 코라: 페미니즘 정신분석학의 시각에서 텔레비전 드라마 다시 읽기" 한국언론학회 49 (49): 84-109, 2005

      8 뉴스엔, "서영이박해진-박정아이뤄져VS 겹사돈지긋의견분분"

      9 강미정, "상사뱀 설화와 영화 <페인티드 베일>의 비교를 통해 본 일방적 사랑의 문제" 한국문학치료학회 28 : 165-197, 2013

      10 백호민, "보석비빔밥"

      11 동아일보, "보고또 보고’여파 9시 뉴스 판도 뒤바뀌어"

      12 경향신문, "보고 또 보고’ 최고 시청률행진 속 막 내려"

      13 정해룡, "며느리전성시대"

      14 연합뉴스, "며느리 전성시대’, 자체 최고 시청률로 종영"

      15 조광국, "다중결연구조의 양상과 의미- <창란호연록> <청백운> <임화정연>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21) : 17-17, 2006

      16 김형석, "넝쿨째굴러온당신"

      17 유현기, "내딸서영이"

      18 송성욱, "고전소설과 TV드라마" 국어국문학회 137 (137): 91-108, 2004

      19 조광국, "고전대하소설과의 연계성을 통해 본 TV드라마의 서사 전략과 주제- 겹사돈 구성을 지닌 <며느리전성시대>와 <황금신부>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389-411, 2008

      20 정병설, "고소설과 텔레비전드라마의 비교" 한국고소설학회 (18) : 221-246, 2004

      21 허버트 J. 갠스,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현대미학사 1996

      22 박덕춘, "TV드라마의 장르와 영상표현기법의 상관성" 한국콘텐츠학회 7-1 : 2009

      23 이화진, "TV드라마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내용변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492-535, 2007

      24 "TNmS"

      25 연합뉴스, "SBS ‘황금신부’ 시청률 30.2% 기록하며 종영"

      26 조광국, "<화정선행록>에 나타난 多重結緣의 複合 構造" 한국문학회 (45) : 91-115, 2007

      27 조광국, "<유이양문록>의 작품 세계 -서사구조와 결연장애를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26) : 179-208, 2008

      28 정운채, "<남백월 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과 문학치료" 한국문학치료학회 28 : 283-307,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1 1.23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