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동초 김연수의 <흥보가> 사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특징은 어떠한가 하는 점을 김연수 명창의 판소리 지향점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그 결과를 간추려 보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05442
2013
Korean
동초제 ; <흥보가> ; 김연수 ; 송만갑 바디 <흥보가> ; 신재효본 <박타령> ; 사설 ; 명창 ; Dongcho-je ; Heungbo-ga ; Kim Yeon-su ; Song Man-gap Version Heungbo-ga ; Shin Jae-hyo Version Bak-taryeong ; saseol ; an Honored Singer
KCI등재
학술저널
131-164(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동초 김연수의 <흥보가> 사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특징은 어떠한가 하는 점을 김연수 명창의 판소리 지향점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그 결과를 간추려 보면 ...
이 글은 동초 김연수의 <흥보가> 사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특징은 어떠한가 하는 점을 김연수 명창의 판소리 지향점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그 결과를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흥보가>의 흐름 속에서 볼 때 김연수의 <흥보가>도 唱으로 전승되는 여타 <흥보가>와 유사한 설정을 지니고 있다. 곧 흥보가 쫓겨나 여기저기를 떠돌다 복덕촌이라는 곳에 정착하고 있으며, 매품팔이 삽화에 이어 형에게 구걸하러 가는 삽화가 그 뒤에 놓여 있고, 그 후 서로 자결을 하려 하는 등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을 때 도승이 등장하는 점 등이 현전 <흥보가>의 것과 같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적지 않다. 김연수는 여러 선생들로부터 소리를 배운 후 그 나름대로 사설을 짰기 때문에 그의 소리는 독특한 소리가 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사설은 그가 배웠다고 한 바 있는 송만갑 바디 <흥보가> 외에 신재효본 <박타령> 사설도 함께 참조하여 근간으로 삼으면서 여타 이본들도 부분적으로 참조하여 재구성한 결과물이었다. 송만갑 바디의 사설과 신재효본 사설을 이어붙이기도 하며 나란히 놓기도 했고, 이들 사설을 해체한 후 그 사이에 자신이 마련한 듯한 사설을 끼워 넣기도 했다. 어떤 경우에는 아예 새로운 사설을 마련하여 몇 개의 소리 대목들을 그 나름대로 새로이 구성하기도 했다. 이렇게 재구성한 결과 그의 <흥보가>는 여타 바디에 비해 상대적으로 흥보에게는 선인의 형상이, 놀보에게는 악인의 형상이 조금 더 강화되었다. 또한 서술 방식면에서 볼 때 그의 <흥보가>는 큰 틀에서는 서사적 합리성을 지향했다고 볼 수 있지만, 치밀한 서사 논리 고려 및 이에 따른 서사 세부 확충의 양상도 주목되었다. 서사 세부 확충은 김연수가 기존 판소리 문법을 자기 식으로 수용한 데 말미암은 것이었다. 이와 함께 골계적 재미 추구, 유식한 한시문구를 통한 사설 품격 부여 등도 그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그는 창자로서 대중의 취향을 고려하면서도 명창으로서의 품격은 유지하려 했던 것이다. 근현대의 판소리가 우선적으로 정비해야 할 점을 `사설`에 있다고 본 것은 김연수 나름대로의 고민과 진단의 소산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고민을 자신의 판소리 속에 담아내고 양질의 전통을 세워 후속 세대에 이어주려 했다는 점에서 김연수는 명창이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text that tries to explore how his Heungbo-ga saseol `narration` for is organized and what are its characteristics, in tandem with the great singer, Dongcho Kim Yeon-su`s consciousness about Pansori.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is a text that tries to explore how his Heungbo-ga saseol `narration` for is organized and what are its characteristics, in tandem with the great singer, Dongcho Kim Yeon-su`s consciousness about Pansori.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consideration of the stream of Heungbo-ga, Kim Yeon-su`s Heungbo-ga has a similar conception to those of other Heungbo-ga`s that have been transmitted in singing. This is because Kim`s Heungbo-ga is like other current transmitted Heungbo-ga`s in that Heungbo settles in a town called Bokdeok-chon after wandering here and there, the episode of him begging for foods to his brother is put after the episode of him being a surrogate convict for bastinado, and a enlightened Buddist monk appears when Heungbo is in a serious situation like suicide. However,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Kim`s and others` Heungbo-ga`s in detail. This is because Kim`s song and saseol are reputed to be unique as he created his saseol on his own based on the lessons he had received from various teachers. His saseol is an outcome resulted from his reorganization with partial reference to various versions while basing it on Song Man-gap version Heungbo-ga, which he said he had learned, as well as Shin Jae-hyo`s saseol in Bak-taryeong. He connected and paralleled Song Man-gap version saseol and Shin Jae-hyo`s saseol, and he also deconstructed their saseol`s to put the saseol that seems to be made by him between them. In some cases, he created completely new saseol to organize a part. As a result of this reorganization, his Heungbo-ga can be regarded as being oriented toward a narrative rationality in general, but he especially intended to reflect a neat narrative logic and consequently extend the details of the narrative. In addition to thi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 include pursuit of comic fun, and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his saseol in terms of phrases from classic Chinese poems. He not only considered popular tastes as a singer, but also tried to maintain his dignity as an honored singer. His conclusion that what should be first improved in early modern and modern Pansori was saseol was a product of Kim Yeon-su`s own reflection and diagnostics. Moreover, Kim Yeon-su can be said to be an honored singer in that he contained his reflections in his Pansori, and made efforts to establish quality tradition and hand it to next generation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충권, "흥부전연구" 월인 2003
2 김진영, "흥부전 전집" 박이정 1997
3 김종철, "판소리문학의 미적 운용 원리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08) : 12-372, 2002
4 이경엽, "판소리 명창 김연수론" 판소리학회 (17) : 209-237, 2004
5 문화재관리국, "창본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삼화인쇄주식회사 1974
6 강한영, "신재효 판소리 사설집(全)" 보성문화사 1978
7 이유진, "라디오방송을 위한 판소리 다섯 바탕: 김연수 판소리의 특질과 지향" 한국구비문학회 (35) : 105-149, 2012
8 최동현, "동초 김연수 창 판소리 다섯바탕 흥보가 해설집" 신나라 2007
9 최동현, "동초 김연수 바디 오정숙 창 오가전집" 민속원 2001
10 김석배, "김창환제 <흥보가>에 끼친 신재효의 영향" 판소리학회 15 : 31-57, 2003
1 정충권, "흥부전연구" 월인 2003
2 김진영, "흥부전 전집" 박이정 1997
3 김종철, "판소리문학의 미적 운용 원리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08) : 12-372, 2002
4 이경엽, "판소리 명창 김연수론" 판소리학회 (17) : 209-237, 2004
5 문화재관리국, "창본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삼화인쇄주식회사 1974
6 강한영, "신재효 판소리 사설집(全)" 보성문화사 1978
7 이유진, "라디오방송을 위한 판소리 다섯 바탕: 김연수 판소리의 특질과 지향" 한국구비문학회 (35) : 105-149, 2012
8 최동현, "동초 김연수 창 판소리 다섯바탕 흥보가 해설집" 신나라 2007
9 최동현, "동초 김연수 바디 오정숙 창 오가전집" 민속원 2001
10 김석배, "김창환제 <흥보가>에 끼친 신재효의 영향" 판소리학회 15 : 31-57, 2003
11 김경희, "김연수제 춘향가의 소설 옥중화 수용과 의미" 한국전통음악학회 6 : 2005
12 배연형, "김연수의 판소리 사설, 그 생명력의 원천" 판소리학회 (24) : 109-132, 2007
13 김혜정, "김연수와 임방울의 선택과 지향―수궁가를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20) : 167-216, 2005
14 전상경, "김연수본 「심청가」의 성격 고찰 - 신재효본 「심청가」와의 비교를중심으로 -" 문학과 언어연구회 15 : 1994
15 김경희, "김연수 판소리 음악론" 민속원 2008
16 최혜진, "김연수 바디 <수궁가>, In 판소리 유파의 전승 연구" 민속원 2012
17 서대석, "구비서사시인의 작시전략"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8 : 1996
18 김기형, "강도근 5가 전집" 박이정 1998
치유적 관점에서 본 사마천(司馬遷)의 글쓰기 - 「태사공자서(太史公自序)」와 「보임안서(報任安書)」를 중심으로 -
상사뱀 설화와 영화 <페인티드 베일>의 비교를 통해 본 일방적 사랑의 문제
설화 <뒤주 태운 남편과 간부 제사 지낸 아내>에 나타난 아내의 문제의식과 그 의미-영화<아내가 결혼했다>와의 서사 비교를 통해-
설화 <구복여행>과 영화 <내 이름은 칸>의 서사 비교를 통해 본 복 구하기와 인연 맺기의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1 | 1.231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