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 친구라고 하더라도 정치적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거론할 수 있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 애써 삼가 하는 신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긴다.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가치를 공유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4277
-
2014년
Korean
예의 ; 인간적 예의 ; politeness ; civility ; political civility ; civility education ; democratic Bildung education ; 정중한 예의 ; 정치적 예의 ; 시민적 예의 ; 시민적 무례 ; 시민적 예의 교육 ; 문명화 ; 시민성 ; 시민적 미덕 ; 착한 시민 ; 정의로운 시민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친한 친구라고 하더라도 정치적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거론할 수 있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 애써 삼가 하는 신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긴다.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가치를 공유하...
친한 친구라고 하더라도 정치적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거론할 수 있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 애써 삼가 하는 신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긴다.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가치를 공유하는 완전한 우정으로 성숙된 것이 아니라, 정서적 친밀성만을 유지하는 도구적 우정 수준에 머물도록 하였다. 이런 수준의 우정을 친구간의 인간적 예의로 여기며 살고 있는 것이 한국사회의 ‘정(情)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정치적 문제를 애써 꺼내 거론하는 것을 가능한 자제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며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한국사회의 ‘예(禮) 문화’라고 여겼다. 결국 이러한 굴절은 궁극적으로 성숙한 정치적 시민으로의 발전을 어렵게 하였다. 실제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진 정치적 사안을 공론의 장에 등장시켜 자유롭게 합당하게 논의하지 않고 애써 피하려는 태도에서 이를 잘 보여준다. 특히, 민주주의의 과도기 상황에 놓여 있는 우리나라는 시민으로서의 예의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여 성숙한 정치문화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시민적 예의의 부재는 정치문화 또는 시민문화의 미성숙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렇게 한국의 시민사회는 현재 국가와 시장을 합당하게 견제해야 할 시민적 예의 등 주체의 교양문화가 취약함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항상 삶 속에서 겪는 일로서 정중한 예의를 선호하는 사람이 있는 있는가 하면, 정치적 예의를 중시하는 사람이 있다. 이 문제를 정치적 상황으로 끌고 들어가면 더욱 예민해진다. 이 문제는 결국 개인적 차원의 정중한 예의와 시민적 차원의 정치적 예의를 둘러싼 철학이나 가치관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정치적 예의 논의가 때로는 친밀한 인간관계의 유지를 침해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언급을 삼가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정중한 예의와 정치적 예의를 두루 갖춘 교양시민의 탄생을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기에 우리가 당면한 정중한 예의와 정치적 예의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착한 시민’과 ‘정의로운 시민’을 동시적으로 공존시켜 융합시키는 시민적 예의교육을 더욱 필요로 한다. 그런데 우리의 시민교육은 그동안 정중한 예의를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국가의 명령에 순종하는 ‘착한 시민’ 기르기에 머무르게 하였다. 그래서 정치적 예의를 지닌 ‘정의로운 시민’ 기르기에 소홀히 하였다. 우리의 시민교육은 착한 시민만을 양성하는 협소한 ‘예절교육’으로 전락하여 옳고 그름을 판별할 수 있는 정의로운 시민의 형성을 어렵게 한 것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이제 순종적인 착한 인간을 길러내는 예절교육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문해력을 함양하는 시민교육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물론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ivility is a complicated notion that requires more careful. Generally, civility is defined as courteous behaviour or politeness. But, civility is not simply or principally about manners or etiquette, polite behavior and also is more than just manners...
Civility is a complicated notion that requires more careful. Generally, civility is defined as courteous behaviour or politeness. But, civility is not simply or principally about manners or etiquette, polite behavior and also is more than just manners, politeness. While manners focus on the exchanges between and among individuals, civility also includes the exchanges between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Good manners and polite interactions with others foster a sense of community that strengthens the community as a whole. However, the concept of civility has sparked confusion. Civility interweaves humane/polite civility and political civility. Being polite is certainly not sufficient for political civility and may not even be necessary. Humane/Polite civility imposes much greater restrict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than political civility. We must not commit the civility the reductionist mistake of restricting civility to polite behaviour or etiquette.
Broadly understood, civility concerns communication about and within the political sphere. Political civility is a form of reciprocity and recognition between citizens regarding the kind of reasons and the standards used within argumentation on public issues and affairs. Political civility, considered as a democratic civic/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