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Molecular epidemiological analysis of viscerotropic velogenic Newcastle disease viruses = Molecular epidemiological analysis of viscerotropic velogenic Newcastle disease viru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902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뉴캣슬병 바이러스 한국분리주의 유전자 염기서열과 아미노산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미국, 유럽, 일본, 대만과 중국 등지에서 보고된 뉴캣슬병 바이러스의 유전자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1949, 1982-1984, 1988-1997, 1995-2002년도에 분리된 뉴캣슬병 바이러스 한국분리주들은 각각 유전자형 Ⅲ, Ⅴ, Ⅵ, Ⅶ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섯번의 한국 뉴캣슬병 유행기에 분리된 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이 시대순으로 차례대로 Ⅲ, Ⅴ, Ⅵ, Ⅶ형으로 교체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뉴캣슬병 바이러스 한국분리주중 Ⅴ유전자형에 속하는 바이러스는 1970년대의 유럽 유행주와 관련성이 있는 반면, 1988년 이후 분리된 Ⅵ과 Ⅶ 유전자형의 바이러스는 일본, 대만, 중국과 같은 극동아시아의 뉴캣슬병 발생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에는 극동아시아 유래의 Ⅵ과 Ⅶ유전자형이 한국분리주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극동아시아 국가들간의 축산물과 사람의 교역 및 교류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뉴캣슬병 바이러스 한국분리주의 유전자 염기서열과 아미노산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미국, 유럽, 일본, 대만과 중국 등지에서 보고된 뉴캣슬병 바이러스의 유전자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뉴캣슬병 바이러스 한국분리주의 유전자 염기서열과 아미노산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미국, 유럽, 일본, 대만과 중국 등지에서 보고된 뉴캣슬병 바이러스의 유전자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1949, 1982-1984, 1988-1997, 1995-2002년도에 분리된 뉴캣슬병 바이러스 한국분리주들은 각각 유전자형 Ⅲ, Ⅴ, Ⅵ, Ⅶ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섯번의 한국 뉴캣슬병 유행기에 분리된 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이 시대순으로 차례대로 Ⅲ, Ⅴ, Ⅵ, Ⅶ형으로 교체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뉴캣슬병 바이러스 한국분리주중 Ⅴ유전자형에 속하는 바이러스는 1970년대의 유럽 유행주와 관련성이 있는 반면, 1988년 이후 분리된 Ⅵ과 Ⅶ 유전자형의 바이러스는 일본, 대만, 중국과 같은 극동아시아의 뉴캣슬병 발생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에는 극동아시아 유래의 Ⅵ과 Ⅶ유전자형이 한국분리주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극동아시아 국가들간의 축산물과 사람의 교역 및 교류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using sequence analysi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fusion protein gene, divided the Korean epizootic isolates of Newcastle disease virus (NDV) into several lineages to determine the molecular epidemiology of the virus. A 695 base pair fragment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between matrix protein gene and fusion protein gene of 30 Korean NDV isolates, which were isolated from field outbreaks of Newcastle disease between 1949 and 2002. All isolates showed the amino acid sequence 112 R-R-Q/R-K-R116 at the C-terminus of the F2 protein and phenylalanine (F) at the N-terminus of the F1 protein, residue 117. These amino acid sequences were identical to a known virulent motif. The region of the F gene between nucleotides 47 and 435 was compared by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nucleotide sequence, the Korean NDV isolates belonged to genotype Ⅲ, Ⅴ, Ⅵ and Ⅶ corresponding to isolates in 1949, 1982 to 1984, 1988 to 1997, and 1995 to 2002, respectively. These data showed that genotypes of five Korean Newcastle disease epizootics had replaced each other serially (Ⅲ, Ⅴ, Ⅵ and Ⅶ) in chronological order. Further, the five Korean Newcastle disease epizootics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Necastle disease panzootics or Newcastle disease epizootics in other countries.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Korean genotype Ⅴ isolated before 1984 was related with European Newcastle diseaseepizootics in the 1970s, whereas the Korean genotype Ⅵ and Ⅶ isolated after 1988 were more closely related with Far East Newcastle disease epizootics, especially Newcastle disease3 epizootics in Japan, Taiwan and China. Since 1988, the genotype Ⅵ and Ⅶ of Far East origin were dominant in South Korea. That might be due to the increased trade of agricultural roducts including poultry among Far East Asian countries.
      번역하기

      The study, using sequence analysi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fusion protein gene, divided the Korean epizootic isolates of Newcastle disease virus (NDV) into several lineages to determine the molecular epidemiology of the virus. A 695 base ...

      The study, using sequence analysi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fusion protein gene, divided the Korean epizootic isolates of Newcastle disease virus (NDV) into several lineages to determine the molecular epidemiology of the virus. A 695 base pair fragment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between matrix protein gene and fusion protein gene of 30 Korean NDV isolates, which were isolated from field outbreaks of Newcastle disease between 1949 and 2002. All isolates showed the amino acid sequence 112 R-R-Q/R-K-R116 at the C-terminus of the F2 protein and phenylalanine (F) at the N-terminus of the F1 protein, residue 117. These amino acid sequences were identical to a known virulent motif. The region of the F gene between nucleotides 47 and 435 was compared by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nucleotide sequence, the Korean NDV isolates belonged to genotype Ⅲ, Ⅴ, Ⅵ and Ⅶ corresponding to isolates in 1949, 1982 to 1984, 1988 to 1997, and 1995 to 2002, respectively. These data showed that genotypes of five Korean Newcastle disease epizootics had replaced each other serially (Ⅲ, Ⅴ, Ⅵ and Ⅶ) in chronological order. Further, the five Korean Newcastle disease epizootics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Necastle disease panzootics or Newcastle disease epizootics in other countries.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Korean genotype Ⅴ isolated before 1984 was related with European Newcastle diseaseepizootics in the 1970s, whereas the Korean genotype Ⅵ and Ⅶ isolated after 1988 were more closely related with Far East Newcastle disease epizootics, especially Newcastle disease3 epizootics in Japan, Taiwan and China. Since 1988, the genotype Ⅵ and Ⅶ of Far East origin were dominant in South Korea. That might be due to the increased trade of agricultural roducts including poultry among Far East Asian coun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Abstract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적요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