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남서부해역은 대마난류나 연안 용승에 의한 영양염 공급 등으로 동해 북부나 동부에 비해 일차생산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해역의 생물 펌프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68728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3(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동해 남서부해역은 대마난류나 연안 용승에 의한 영양염 공급 등으로 동해 북부나 동부에 비해 일차생산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해역의 생물 펌프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
동해 남서부해역은 대마난류나 연안 용승에 의한 영양염 공급 등으로 동해 북부나 동부에 비해 일차생산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해역의 생물 펌프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O2/Ar 측정으로 산출한 고해상도 순군집생산 현장 관측 결과와 기계학습 모형을 결합하여 시공간 해상도가 8일 간격, 4 km인 봄과 여름 순군집생산 시계열 자료를 추정하였다. 기계 모형의 예측과 실측의 평균 제곱근 오차는 6 mmol O2 m-2 d-1로 관측값 평균의 15%에 해당했다. 울릉분지 중앙부의 순군집생산은 3월에 49 mmol O2 m-2 d-1로 가장 높았고, 6월과 7월에 18 mmol O2 m-2 d-1로 가장 낮았다. 이 같은 계절 변화는 3He 기체교환율로 추정한 질산염 공급률이나 234Th 비평형법으로 추정한 입자유기탄소 방출률과 유사하였다. 봄과 여름의 순군집생산 추정으로 한정된 이 연구방법을 가을과 겨울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아표층수의 표층 혼입에 따른 O2/Ar 순군집생산의 오차를 보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is known to have a high primary productivity compared to those in the northern and eastern parts, which is attributed to nutrients supplies either by Tsushima Warm Current or by coastal upwelling. However, researc...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is known to have a high primary productivity compared to those in the northern and eastern parts, which is attributed to nutrients supplies either by Tsushima Warm Current or by coastal upwelling. However, research on the biological pump in this area is limited. We developed machine learning models to estimate net community production (NCP), a measure of biological pump, with high spatial and time scales of 4 km and 8 days, respectively. The models were fed with the input parameters of sea surface temperature, chlorophyll-a, mixed layer depths, an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and trained with observed NCP derived from high resolution measurements of surface O2/Ar. The root mean square error between the predicted values by the best performing machine model and the observed NCP was 6 mmol O2 m-2 d-1, corresponding to 15% of the average of observed NCP. The NCP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leung Basin was highest in March at 49 mmol O2 m-2 d-1 and lowest in June and July at 18 mmol O2 m-2 d-1. These seasonal variations were similar to the vertical nitrate flux based on the 3He gas exchange rate and to the particulate organic carbon flux estimated by the 234Th disequilibrium method. To expand this method, which produces NCP estimate for spring and summer, to autumn and winter, it is necessary to devise a way to correct bias in NCP by the entrainment of subsurface waters during the seasons.
서해 중부 태안반도 북부 해역의 장안사퇴 표층퇴적물 분포 특성
수중글라이더를 활용한 동해 최초 연속 물성 단면 관측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