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의 문제점 분석: 관련 규정에 따른 학교현장 실천의 관점에서 = Analysis of problems in cross-curricular learning in Korea: Focusing on practice in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687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0년대 말부터 서양 국가들에서 ‘범교육과정’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 제1차 교육과정부터 범교과 성격의 주제들이 제시되기 시작했다. ‘범교과’가 여러 교과를 가로지르는 통합적인 영역으로서 학교교육의 실제성과 적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범교과 본래의 의미가 퇴색된 상황에서, 실제 학교현장에서 범교과 교육을 실천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우리나라의 범교과 주제와 관련하여 법적인 규정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의거하여 학교현장의 실천 맥락에서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국가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 교육 관련 특별법, 시·도교육청 지침 간의 관계 속에서 애매한 위계의 문제, 중복의 문제, 제대론 된 지침의 부족 문제 등으로 학교현장에서 시수 채우기 식으로 범교과 주제가 다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범교과와 관련된 지침은 국가 교육과정에서만 다루고, 여러 교과에 걸쳐서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범교과 주제가 각 교과 내에서 어떻게 다루어질 수 있는지, 교과 교육과정 개발 시 포함해야 하며, 이 교과 교육과정이 다루어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범교과 주제와 관련된 수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1980년대 말부터 서양 국가들에서 ‘범교육과정’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 제1차 교육과정부터 범교과 성격의 주제들이 제시되기 시작했다. ‘범교과’가 여러 교과...

      1980년대 말부터 서양 국가들에서 ‘범교육과정’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 제1차 교육과정부터 범교과 성격의 주제들이 제시되기 시작했다. ‘범교과’가 여러 교과를 가로지르는 통합적인 영역으로서 학교교육의 실제성과 적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범교과 본래의 의미가 퇴색된 상황에서, 실제 학교현장에서 범교과 교육을 실천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우리나라의 범교과 주제와 관련하여 법적인 규정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의거하여 학교현장의 실천 맥락에서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국가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 교육 관련 특별법, 시·도교육청 지침 간의 관계 속에서 애매한 위계의 문제, 중복의 문제, 제대론 된 지침의 부족 문제 등으로 학교현장에서 시수 채우기 식으로 범교과 주제가 다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범교과와 관련된 지침은 국가 교육과정에서만 다루고, 여러 교과에 걸쳐서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범교과 주제가 각 교과 내에서 어떻게 다루어질 수 있는지, 교과 교육과정 개발 시 포함해야 하며, 이 교과 교육과정이 다루어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범교과 주제와 관련된 수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late 1980s, the term ‘cross-curricular’ has been widely used in Western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 cross-curricular topics began to be presented from the first curriculum. This is because ‘cross-curricular topics’ is an integrated area across multiple subjects and can increase the practicality and suitability of school education.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as the original meaning of cross-curricular topics has faded, we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in practicing cross-curricular topics education in school. With this critical awareness,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with legal regulations related to cross-curricular topics in Korea. Based on this, we looked at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context of practice in scho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laws and guidelines, cross-curricular topics are being dealt with in schools in a time-filling manner due to problems of ambiguous hierarchy, problems of duplication, and lack of well-established guidelines. To solve this problem, guidelines related to all cross-curricular topics should be covered only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how cross-curricular topics that can be taught and learned across multiple subjects can be handled within each subject should be included when developing subject curriculum. Also it should be judged that classes related to cross-curricular topics are naturally conducted.
      번역하기

      Since the late 1980s, the term ‘cross-curricular’ has been widely used in Western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 cross-curricular topics began to be presented from the first curriculum. This is because ‘cross-curricular topics’ is an integra...

      Since the late 1980s, the term ‘cross-curricular’ has been widely used in Western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 cross-curricular topics began to be presented from the first curriculum. This is because ‘cross-curricular topics’ is an integrated area across multiple subjects and can increase the practicality and suitability of school education.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as the original meaning of cross-curricular topics has faded, we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in practicing cross-curricular topics education in school. With this critical awareness,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with legal regulations related to cross-curricular topics in Korea. Based on this, we looked at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context of practice in scho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laws and guidelines, cross-curricular topics are being dealt with in schools in a time-filling manner due to problems of ambiguous hierarchy, problems of duplication, and lack of well-established guidelines. To solve this problem, guidelines related to all cross-curricular topics should be covered only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how cross-curricular topics that can be taught and learned across multiple subjects can be handled within each subject should be included when developing subject curriculum. Also it should be judged that classes related to cross-curricular topics are naturally conduct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