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법과학을 적용한 형사사법의 선진화방안 . 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286030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64.704 판사항(5)

      • DDC

        345.05 판사항(22)

      • ISBN

        9788973669103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법과학을 적용한 형사사법의 선진화방안. 2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편] ; 강지현 [외 연구]

      • 기타서명

        Strengthening the forensic science in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 형태사항

        642 p. : 삽화, 도표 ; 25 cm

      • 총서사항

        연구총서 ; 11-22-01 연구총서(한국형사정책연구원) ; 11-22-01

      • 일반주기명

        연구자: 김민지, 김성규, Jane Goodman-Delahunty, Paula Saunders, Mandeep Dhami, Yvette Tinsley
        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599-610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법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경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요약 = 23
      • 제1부 법과학 증거와 판단의 오류 / 강지현 ; 김성규 ; 김민지
      • 제1장 연구의 목적 / 강지현 = 3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33
      • 목차
      • 국문요약 = 23
      • 제1부 법과학 증거와 판단의 오류 / 강지현 ; 김성규 ; 김민지
      • 제1장 연구의 목적 / 강지현 = 3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33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보고서의 구성 = 35
      • 제2장 과학적 증거의 허용성 및 신용성 여부의 법적 판단기준 / 김성규 = 41
      • 제1절 문제제기 = 43
      • 1. 주요논점 = 43
      • 2. 과학적 증거의 형사법적 의의와 한계성에 관한 시각 = 44
      • 3. 과학적 증거의 유형 및 특징 = 48
      • 제2절 과학적 증거의 감식(鑑識)ㆍ감정(鑑定) 및 감정인의 역할 = 51
      • 1. 일본의 사례 = 51
      • 가. 감식(鑑識) 및 감정(鑑定)의 의의와 그 기관 = 51
      • 나. 감정인의 지위 및 역할 = 51
      • 다. 공판단계에서의 감정(鑑定) 및 감정(鑑定)의 평가 = 54
      • 2. 독일의 사례 = 56
      • 가. 감정인의 지위 및 역할 = 56
      • 나. 감정인에 관한 법적 규율 = 57
      • 다. 감정인심문의 각하사유 및 재감정인(再鑑定人)심문 = 59
      • 라. 과학적 증거의 조사에 있어서 요구되는 감정인의 역할 = 60
      • 제3절 과학적 증거의 허용성 및 신용성에 관한 논의와 판례 = 63
      • 1. 증거의 허용성에 관한 척도개념으로서의 증거능력 및 증거의 관련성 = 63
      • 가. 증거능력 = 63
      • 나. 증거의 관련성 = 67
      • 2. 과학적 증거의 허용성 및 신용성에 관한 논의와 판례 = 74
      • 가. 일본의 사례 = 74
      • 나. 독일의 사례 = 93
      • 제4절 소결 = 125
      • 1. 과학적 증거의 허용성 및 신용성에 관한 국내의 판례 및 학설 = 125
      • 2. 비교법적 검토의 의의 및 시사점 = 126
      • 가. 과학적 증거의 허용성 및 신용성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의 의의 = 126
      • 나. 과학적 증거의 허용성 및 신용성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의 시사점 = 130
      • 제3장 법정에서의 과학적 증거의 이해 / 강지현 = 133
      • 제1절 문제제기 = 135
      • 제2절 판사 및 변호사를 위한 확률적 추론 교육 프로그램 = 137
      • 1. 법과학 영역에서의 확률과 통계의 기본 개념 및 구분 = 138
      • 2. 확률적 추론과 증거의 기본 개념 = 139
      • 3. 추론적 오류의 형태 = 140
      • 가. 명제에서의 조건의 전환으로 인한 오류 = 141
      • 나. 근원 확률의 오류 = 144
      • 다. 추론적 증거 가치의 과소평가 = 145
      • 라. 확률적 오류 = 146
      • 마. 수의 전환 오류 = 147
      • 바. 긍정오류로 인한 실수 = 147
      • 사. 확실성/특정성에 대한 잘못된 추론 = 150
      • 아. 부적절한 독립성의 추론 = 151
      • 제3절 연방사법센터의 "과학적 증거에 관한 참고 매뉴얼" = 153
      • 1. DNA 증거 = 154
      • 2. DNA 실험실 결과의 해석 = 155
      • 가. 배제(exclusion), 포함(inclusion), 그리고, 결론을 내릴 수 없는 결과 = 156
      • 나. 대립 가설(Alternative Hypotheses) = 157
      • 3. 증거 가치(probative value)의 측정 = 161
      • 가. 우도비(likelihood) = 161
      • 나. 사후 확률(posterior probabilities) = 162
      • 4. 법정에서 제시되어야 하는 확률/통계의 종류 = 163
      • 가. 일치 확률(match probabilities)의 제시 여부 논의 = 164
      • 나. 우도비(likelihood ratios)의 제시 여부 논의 = 166
      • 다. 사후확률(posterior probabilities)의 제시 여부 문제 = 166
      • 5. 증거 가치(probative value)의 구술적 표현의 허용 여부에 대한 논의 = 168
      • 제4장 법과학 증거 분석 기관 및 활용 실태 / 강지현 ; 김민지 = 171
      • 제1절 국내 법과학 증거 분석 기관 = 174
      • 1. 국립과학수사연구원 = 174
      • 2. 국방조사본부 산하 과학수사연구소 = 176
      • 3. 대검찰청 디지털 포렌식 센터 = 177
      • 4. 경찰청 과학수사센터 = 177
      • 5. 해양경찰연구소 = 178
      • 제2절 법과학 증거 활용 실태 = 180
      • 제3절 외국의 법과학 분석 기관 = 184
      • 1. 유럽 법과학 연구소 네트워크(ENFSI) = 185
      • 가. 설립 목적 = 185
      • 나. 조직 구성 = 186
      • 다. ENFSI의 모노폴리 프로그램 = 188
      • 라. 교육 및 훈련 = 190
      • 2. 네덜란드 법과학 연구소(NFI) = 190
      • 가. 설립 목적 = 190
      • 나. 조직 구성 = 191
      • 다. 결과에 대한 품질 관리 = 192
      • 라. 교육 및 훈련 = 192
      • 3. 프랑스 헌병대 과학수사연구소(IRCGN) = 193
      • 가. 설립목적 = 193
      • 나. 조직 구성 = 194
      • 다. 결과에 대한 품질 관리 = 196
      • 라. 교육 및 훈련 = 196
      • 4. 로잔 대학교 형사사법학과 = 197
      • 제5장 과학적 증거와 판단의 오류 : 증거 분석 과정을 중심으로 / 김민지 = 203
      • 제1절 의사결정과 인지적 방략 = 205
      • 제2절 법과학 증거의 오류 가능성과 인지적 방략 = 208
      • 1. 확증 편향 = 208
      • 2. 맥락 효과 = 210
      • 3. 편향 및 오류 최소화 방안 = 213
      • 제3절 법과학 증거관련 오판사례 = 214
      • 1. 미국사례:브랜든 메이필드(Brandon Mayfield)사건 = 214
      • 가. 사건 배경 = 215
      • 나. OIG의 후속 검토 내용 = 216
      • 2. 영국 사례:R.v. Dallagher 사건 = 221
      • 가. 사건 배경 = 221
      • 나. 귀지문 분석 = 221
      • 다. DNA 분석 = 222
      • 3. 영국 사례: R.v. Michael Shirley 사건 = 222
      • 가. 사건 배경 = 222
      • 나. 새로운 DNA 증거 = 223
      • 제4절 오판방지를 위한 자구노력 : 증거분석결과에 대한 품질인증절차 = 224
      • 1. 한국교정시험기관인정기구(KOLAS) 제도 = 224
      • 가. KOLAS소개 = 224
      • 나. ISO/IEC 17025 요구사항 = 226
      • 다. 공인시험기관 인정 절차 = 226
      • 라. 숙련도시험 인정 절차 = 228
      • 마. 법과학 인정분야 = 232
      • 바. 법과학시험기관을 위한 KOLAS 지침서 = 242
      • 사. KOLAS의 개선 방향 = 248
      • 2. 유럽의 국제표준화기구(ISO) = 250
      • 3. 미국의 범죄실험실 책임자/실험인정원 (ASCLD/LAB) = 251
      • 제6장 과학적 증거와 판단의 오류:증거 분석관을 중심으로 / 강지현 ; 김민지 = 255
      • 제1절 조사의 의의 = 257
      • 제2절 선행 연구 및 본 연구의 필요성 = 259
      • 1. 직무조건 및 환경에 대한 평가, 직무만족도 및 직무 스트레스 = 259
      • 2. 증거 분석관의 직무상 실수 및 오류 가능성과 그에 대한 대책 = 261
      • 3. 전문가 증인으로서의 법정 증언 경험 = 264
      • 제3절 연구 방법 = 266
      • 1. 연구 목적 = 266
      • 2.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 267
      • 가. 연구 대상 = 267
      • 나. 자료 수집 방법 = 267
      • 3. 연구 도구 = 268
      • 가. 설문조사 = 268
      • 나. 심층 인터뷰 = 271
      • 4. 자료 분석 방법 = 272
      • 제4절 연구 결과 = 273
      • 1. 설문조사 결과 = 273
      • 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273
      • 나. 근무환경 및 근무조건 평가 = 274
      • 다. 직무 만족도와 직무 스트레스 평가 = 283
      • 라. 실수 및 오류 가능성과 구제 노력 = 287
      • 마. 법과학 증거 분석관의 법정 증언 경험에 관한 연구 = 298
      • 바. 소결 = 331
      • 2. 심층 인터뷰 결과 = 335
      • 가. 법과학 증거 분석 경험 및 업무에 대한 만족도 = 335
      • 나. 불만족스러운 점에 대한 개선 방안 = 337
      • 다. 평생직장 여부 및 이직 고려 = 338
      • 라. 결과의 동일성 = 339
      • 마. 외국의 오판 사례 인지 여부 = 339
      • 바. 분석에서의 실수 및 오류 확률 = 340
      • 사. KOLAS 시스템 = 342
      • 아. 담당 사례에 대한 재판 결과 추적 여부 = 343
      • 자. 법과학 분야 발전을 위한 의견법정에서 반대 소견이 제시되더라도 자신의 분석결과 신뢰 여부 = 345
      • 차. 소결 = 346
      • 제7장 결론 / 강지현 = 351
      • 제2부 한국의 법과학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호주, 영국, 웨일즈, 뉴질랜드의 경험을 중심으로 / Jane Goodman-Delahunty ; Paula Saunders ; Mandeep Dhami ; Yvette Tinsley
      • 제1장 문제제기 = 359
      • 제1절 당사자주의 및 직권주의 체계에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절차 = 362
      • 제2절 법과학증거관련 오판사례:영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367
      • 1. R v Chamberlain(1982), 노던 테리토리 대법원 = 367
      • 가. 기대편향 = 372
      • 나. 관찰자 편향 = 372
      • 다. 맥락 편향 = 372
      • 2. HM Advocate v McKie(1999), 스코틀랜드 법원 = 374
      • 3. R. v Jama(2008), 빅토리아 대법원 = 377
      • 제3절 과학적 증거의 법적 허용성 및 공정성 보장을 위한 권고 사항 = 382
      • 1. 독립적 검증 = 382
      • 2. 잠재적 오류의 경계 = 382
      • 3. 수사기관과의 독립된 법적 절차 = 383
      • 4. 무기평등의 원칙 = 383
      • 5.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에서의 법적 안전 지침 = 383
      • 제2장 지문증거에 대한 선행연구 = 385
      • 제1절 지문의 수집과 지문 채취, 검출 및 복원 = 389
      • 제2절 지문 분석과 해석 = 391
      • 제3절 지문 식별 절차 = 392
      • 제4절 지문식별 - 판단과 의사결정에 관련된 쟁점들 = 395
      • 1. 전문지식 = 395
      • 2. 객관적인 요인 = 400
      • 3. 주관적 요인들 = 403
      • 제5절 지문식별의 주요 연구결과 요약 = 406
      • 제3장 DNA 증거에 대한 선행연구 = 413
      • 제1절 범죄현장에서의 DNA 증거 수집 = 417
      • 제2절 수사관들에 대한 법과학 교육과 훈련 = 423
      • 1. 실험실에서의 DNA 분석 = 426
      • 2. DNA 분석 절차 = 426
      • 3. DNA 분석을 위해 이용되는 상업적 소프트웨어 = 428
      • 4. 잠재적인 실험 오류들 = 429
      • 가. 오염을 초래하는 처리과정에서의 오류 = 430
      • 나. 질적 보증을 위한 조치 = 431
      • 5. 실험실 직원에 대한 교육과 훈련 = 433
      • 6. 실험 오류율의 계산 = 434
      • 제3절 DNA 검사 결과의 해석 = 435
      • 제4절 샘플이 가지는 문제점 = 437
      • 1. 샘플의 변질 = 438
      • 2. 단수복제분석(Low copy analysis)과 접촉 DNA(Touch DNA) = 438
      • 3. 혼합된 DNA 샘플 = 441
      • 제5절 DNA 분석 - 전기영동 그래프 해석과 관련된 문제들 = 441
      • 1. 대립유전자 소실 = 441
      • 2. 유사 최고점(Spurious peaks) = 442
      • 3. 잘못된 최고점(False peaks) = 443
      • 4. 짧은 최고점(Short peaks)과 경미한 대립유전자(weak alleles) = 444
      • 5. 프로파일의 해석 및 비교시 적절한 대립유전자의 수 = 444
      • 제6절 분석가들의 DNA 유형 해석 = 446
      • 제7절 편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 449
      • 제8절 DNA 데이터베이스 = 453
      • 1. 영국의 국립 DNA 데이타베이스(UK National DNA Database, NDNAD) = 454
      • 2.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DNA데이타베이스(NCIDD) = 455
      • 3. 뉴질랜드의 국립 DNA 데이터베이스(National DNA Database, NDD) = 456
      • 4. DNA 데이터베이스 - 윤리적, 사회적, 법적 문제점 = 457
      • 가. DNA 데이터베이스에 누구를 포함시켜야 하는가? = 458
      • 나. 개인의 사적자유와 유전적 식별에 관한 문제점 = 460
      • 다. DNA 데이터베이스의 정확성 = 462
      • 라. 친족 검색(Familial searching) = 463
      • 마. 일치 가능 확률의 계산 = 464
      • 바. "Cold hit"과 일치 가능 확률 = 464
      • 사. 인종적 소수집단과 일치 가능성 확률 = 466
      • 제4장 영미법계의 전문가 증거의 허용성 : 호주, 영국, 웨일즈, 뉴질랜드 = 469
      • 제1절 법정에서의 과학과 법률 간의 관계 = 472
      • 제2절 사실증거 vs 의견증거 = 473
      • 제3절 영미법과 법정 전문가 증거의 허용성 테스트 = 475
      • 1. 영미법:영국과 웨일즈 = 476
      • 2. 뉴질랜드 법령 = 477
      • 3. 호주 증거법 = 479
      • 4. 영국 법률안 제안 = 480
      • 가. 기본 규정 = 480
      • 나. "자격 있는" = 480
      • 다. 신뢰성:의미 = 481
      • 제4절 전문가 증인에 대한 자격요건 = 482
      • 1. 전문가 자격 = 482
      • 2. 의견을 진술하기 위한 능력 = 483
      • 제5절 상식과 최종결론 "규정" = 485
      • 1. 상식규정 = 485
      • 2. 영미법에서의 실제 적용 = 486
      • 가. 호주 = 486
      • 나. 뉴질랜드 접근법 = 487
      • 3. 최종결론 "규정" = 487
      • 제6절 신뢰성 평가와 새로운 학문에 대한 접근방법 = 489
      • 1. 영국 보통법 = 490
      • 2. Frye v US(1923) : "일반적 허용"과 전문가 분야 검사 = 491
      • 3. Daubert v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1993) = 492
      • 4. 프라이, Daubert 사례 이후의 영국과 웨일즈 = 493
      • 5. 전문가 증거의 신뢰성 평가에 관한 호주 사례 = 495
      • 6. 신뢰성 평가에 대한 법률의 대응 : 뉴질랜드(Substantial helpfulness test) = 496
      • 제7절 증명된 사실에 근거한 의견 : "근거 규칙(Basis Rule)" = 497
      • 1. 영미법 = 498
      • 가. 뉴질랜드 = 499
      • 2. 호주 = 500
      • 제8절 형사사건 및 민사사건에 있어서 전문가의 수행 = 501
      • 1. 영국과 웨일즈 = 501
      • 가. 공평성 = 501
      • 2. 뉴질랜드 = 502
      • 3. 호주 = 502
      • 가. 법원에 대한 일반적 의무 = 503
      • 나. 전문가 보고서의 형식 = 503
      • 제9절 법정선임 전문가, 동의와 협조에 의해 허용된 증거 = 504
      • 1. 영국과 웨일즈의 법률위원회 = 505
      • 가. 법정선임 전문가 = 505
      • 2. 호주의 협의증거 = 506
      • 제10절 전문가 지문증거와 관련된 이슈 = 507
      • 제11절 DNA 프로파일링 증거와 관련된 이슈 = 509
      • 제12절 방어(Defence)와 관련된 이슈 = 512
      • 제13절 소결 = 512
      • 제5장 법과학 사례연구 = 515
      • 제1절 호주 = 517
      • 1. 호주 사례 1 = 517
      • 가. 사실관계 = 517
      • 나. 전문가 증거 = 518
      • 다. 사례 결과 = 519
      • 라. 과학적 오류 = 519
      • 마. 증거구성적 오류 = 519
      • 바. 자료 = 520
      • 2. 호주 사례 2 = 520
      • 가. 사실관계 = 520
      • 나. 전문가 증거 = 521
      • 다. 사례 결과 = 522
      • 라. DNA 증거 제출 = 522
      • 마. 일반적인 법적 이슈 = 523
      • 바. 사례 결과 = 523
      • 제2절 뉴질랜드 = 524
      • 1. 뉴질랜드 사례 1 = 524
      • 가. 사실관계 = 524
      • 나. 전문가 증거 = 525
      • 다. 사건 결과 = 526
      • 라. 과학적 오류 = 526
      • 마. 증거구성적 오류 = 526
      • 2. 뉴질랜드 사례 2 = 527
      • 가. 사실관계 = 527
      • 나. 전문가 증거 = 528
      • 다. 사례 결과 = 530
      • 라. 과학적 오류 = 531
      • 마. 증거구성적 오류 = 532
      • 3. 뉴질랜드 사례 3 = 533
      • 가. 사실관계 = 533
      • 나. 전문가 증거 = 534
      • 다. 사례 결과 = 534
      • 라. 과학적 오류 = 535
      • 제3절 아일랜드 = 536
      • 1. 아일랜드 사례 = 536
      • 가. 사실관계 = 537
      • 나. 전문가 증거 = 537
      • 다. 사건 결과 = 537
      • 라. 과학적 오류 = 538
      • 마. 증거구성적 오류 = 538
      • 제4절 영국 = 539
      • 1. 영국사례 = 539
      • 가. 사실관계 = 539
      • 나. 전문가 증거 = 539
      • 다. 사례결과 = 540
      • 라. 과학적 오류 = 540
      • 마. 증거구성적 오류 = 540
      • 제6장 법정에서의 법과학적 증거에 대한 인식 = 543
      • 제1절 법과학적 증거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545
      • 제2절 법정 전문가 증거의 활용에 대한 법과학자들의 인식 = 546
      • 제3절 법과학적 증거에 대한 법률가들의 인식 = 548
      • 제4절 법과학적 증거의 허용성에 대한 사법적 판결 = 552
      • 제5절 DNA 증거에 대한 사법부와 배심원의 인식 비교 = 553
      • 제6절 법과학적 증거와 관련된 CSI 효과에 관한 연구 = 554
      • 제7절 사전 지식이 DNA 증거 인식에 미치는 영향 = 561
      • 제8절 전문가의 위치(어느 당사자에 속해있는가)와 DNA 증거에 대한 인식 = 563
      • 제9절 법정에서 무작위 일치확률의 제시 = 563
      • 제10절 평결에 있어서 DNA 증거의 유죄 입증력 = 569
      • 제11절 법과학적 증거의 인식에서 오류의 실질적 효과 = 572
      • 제12절 법과학적 증거에 대한 인식에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제출 전략 = 573
      • 제13절 법과학적 증거의 이해와 활용에 대한 배심원, 판사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 576
      • 제14절 요약 = 579
      • 제7장 소결 = 581
      • 제1절 법과학 증거의 수집 개선에 대한 제안 = 584
      • 제2절 실험실의 법과학 증거 분석 개선에 대한 제안 = 585
      • 제3절 실험실에서 법과학 증거에 대한 해석의 강화 = 587
      • 제4절 법적 허용 및 법과학 증거규정 강화 = 591
      • 제5절 법원에서 법과학 증거의 이해를 강화시키기 위한 제안 = 593
      • 참고문헌 = 599
      • Abstract = 611
      • 부록 = 6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