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SCIE KCI등재

      교정용 각형선재에 부여된 torque가 브라켓에 발생시키는 모멘트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 The moment generated by the torque of the orthodontic rectangular wire :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282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정용 각형선재에 부여된 torque가 브라켓에 발생시키는 모멘트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의 마무리 단계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순설측 경사를 가진 한 개 치아의 이동을 원할 때
      브라켓 슬롯의 크기와 각형선재의 종류,크기에 따라 부여하여야 할 적절한 임상적 torque(SWA의 각형선재에서 나머지 편평한 부분과 이동을 위해 변형시킨 부분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만큼의 torque)의 양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임상적 torque는 play와 active torque(브라켓에 모멘트를 전달할 수 있는 torque)의 합으로 구성되는데, play는 수학적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arrive torque는 컴퓨터를 이용한 삼차원 유한요소 법으로 구하였다. 유한요소모델은 일렬로 배열된 세 개의 브라켓과 여기에 삽입된 stainless steel, TMA, NiTi 이렇게3가지 종류의 교정용 각형선재로 구성된다. 양쪽의 브라켓을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서 가운데 브라켓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계산하였다.
      선재의 크기는 많이 사용되는 각형선재인 .016" X .022", .017" X .022", .017" X .025", .018" X .025", .019" X .025" .020" X .025", .021" X .025"의7개로 디자인하였다. .018" 브라켓에는 .016" X .022", .017" X.022", .017" X .025" 선재를 삽입하여 실험하였고 .022" 브라켓에는 .016" X .022" 선재을 제외한 나머지 전재를 삽입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삽입된 브라켓 슬롯의 크기에 상관없이 같은 크기와 재질의 교정용 각형선재에 같은 active torque를 가하면 동일한 모멘트가 발생하였다.
      2.선재의 크기가 증가될 수록 동일한 active torque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의 양은 증가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가장 굵은 선재인 .021" × .025" 선재는 동일한 재질의 가장 가는 .016" X .022" 전재에 비해 약 1.75배 더 큰 torsional stiffness를 가졌다.
      3.선재의 재질에 따라서는 stainless steel, TMA, NiTi순으로 torsional stiffness가 감소하였는데 stainless steel에 비해 TMA는 0.35배, NiTi는 0.16배 였다.
      4.브라켓간 거리의 증가와 발생되는 torsional stiffness는 반비례하였다 브라켓간 거리의 증가에 의해 감소되는 torsional stiffness의 비율은 선재의 재질과 상관이 있었고 크기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5.교정치료의 마무리 단계에서 이상적인 순설측 경사이동을 일으키는 임상적 torque의 공식과 값을 구하였다.
      (주요 단어 : 임상적 토오크, 액티브 토오크, 모멘트, 유한요소법)


      번역하기

      교정용 각형선재에 부여된 torque가 브라켓에 발생시키는 모멘트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의 마무리 단계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순설측 경사를 가진 한 개 치아...

      교정용 각형선재에 부여된 torque가 브라켓에 발생시키는 모멘트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의 마무리 단계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순설측 경사를 가진 한 개 치아의 이동을 원할 때
      브라켓 슬롯의 크기와 각형선재의 종류,크기에 따라 부여하여야 할 적절한 임상적 torque(SWA의 각형선재에서 나머지 편평한 부분과 이동을 위해 변형시킨 부분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만큼의 torque)의 양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임상적 torque는 play와 active torque(브라켓에 모멘트를 전달할 수 있는 torque)의 합으로 구성되는데, play는 수학적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arrive torque는 컴퓨터를 이용한 삼차원 유한요소 법으로 구하였다. 유한요소모델은 일렬로 배열된 세 개의 브라켓과 여기에 삽입된 stainless steel, TMA, NiTi 이렇게3가지 종류의 교정용 각형선재로 구성된다. 양쪽의 브라켓을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서 가운데 브라켓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계산하였다.
      선재의 크기는 많이 사용되는 각형선재인 .016" X .022", .017" X .022", .017" X .025", .018" X .025", .019" X .025" .020" X .025", .021" X .025"의7개로 디자인하였다. .018" 브라켓에는 .016" X .022", .017" X.022", .017" X .025" 선재를 삽입하여 실험하였고 .022" 브라켓에는 .016" X .022" 선재을 제외한 나머지 전재를 삽입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삽입된 브라켓 슬롯의 크기에 상관없이 같은 크기와 재질의 교정용 각형선재에 같은 active torque를 가하면 동일한 모멘트가 발생하였다.
      2.선재의 크기가 증가될 수록 동일한 active torque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의 양은 증가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가장 굵은 선재인 .021" × .025" 선재는 동일한 재질의 가장 가는 .016" X .022" 전재에 비해 약 1.75배 더 큰 torsional stiffness를 가졌다.
      3.선재의 재질에 따라서는 stainless steel, TMA, NiTi순으로 torsional stiffness가 감소하였는데 stainless steel에 비해 TMA는 0.35배, NiTi는 0.16배 였다.
      4.브라켓간 거리의 증가와 발생되는 torsional stiffness는 반비례하였다 브라켓간 거리의 증가에 의해 감소되는 torsional stiffness의 비율은 선재의 재질과 상관이 있었고 크기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5.교정치료의 마무리 단계에서 이상적인 순설측 경사이동을 일으키는 임상적 torque의 공식과 값을 구하였다.
      (주요 단어 : 임상적 토오크, 액티브 토오크, 모멘트, 유한요소법)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deal clinical torque(In the SWA rectangular wire, the torque by the angle between the plane part and twisted part to move the tooth) of the orthodontic rectangular wire which produce the proper labiolingual movement of the single tooth during finishing stage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The clinical torque is the sum of the play and the active torque which generates the moment at the bracket. The play is calculated by the formula and the active torque is calculated by the computer aided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The finite element model was consist of the three brackets which formed a row and 3 kinds of orthodontic rectangular wire(stainless steel, TMA, NiTi) which inserted in brackets. Both sides of the model were twisted and the moment generated in the center bracket was calculated.
      The sizes of seven wires which were used commonly were .016" X .022", .017" X .022", .017" X .025", .018" X .025", .019" X .025", .020" X .025", .021" X .025". In 018" bracket, 016" X .022", ,017" X .022", .017" X .025" wires were inserted and in 022" bracket, all the sizes of wires except .016" X .022" were inserted and tested.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from this study.
      1.The moment generated on the same size of the wires by the same active torque were equal regardless of the bracket slot size.
      2.The moment were increased with the size of the wires. The moment generated on the .021" X .025" wire was about 1.75 times as large as that on the .016" X .022" wire regardless of the material.
      3.The moments were increased in the order of the NiTi, TMA, stainless steel. The moment of the TMA wire was 0.35 times as small as that of the stainless steel wire and the moment of the NiTi was 0.16 times as small as that of the stainless steel wire.
      4.The moment was decreased as the interbracket distance was increased.
      5.To get a desired moment with the specific size and material of the wire on the specific bracket slot, the formula and the results were displayed.
      Key words : Clinical torque, Active torque, Moment, Finite element metho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deal clinical torque(In the SWA rectangular wire, the torque by the angle between the plane part and twisted part to move the tooth) of the orthodontic rectangular wire which produce the proper labio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deal clinical torque(In the SWA rectangular wire, the torque by the angle between the plane part and twisted part to move the tooth) of the orthodontic rectangular wire which produce the proper labiolingual movement of the single tooth during finishing stage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The clinical torque is the sum of the play and the active torque which generates the moment at the bracket. The play is calculated by the formula and the active torque is calculated by the computer aided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The finite element model was consist of the three brackets which formed a row and 3 kinds of orthodontic rectangular wire(stainless steel, TMA, NiTi) which inserted in brackets. Both sides of the model were twisted and the moment generated in the center bracket was calculated.
      The sizes of seven wires which were used commonly were .016" X .022", .017" X .022", .017" X .025", .018" X .025", .019" X .025", .020" X .025", .021" X .025". In 018" bracket, 016" X .022", ,017" X .022", .017" X .025" wires were inserted and in 022" bracket, all the sizes of wires except .016" X .022" were inserted and tested.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from this study.
      1.The moment generated on the same size of the wires by the same active torque were equal regardless of the bracket slot size.
      2.The moment were increased with the size of the wires. The moment generated on the .021" X .025" wire was about 1.75 times as large as that on the .016" X .022" wire regardless of the material.
      3.The moments were increased in the order of the NiTi, TMA, stainless steel. The moment of the TMA wire was 0.35 times as small as that of the stainless steel wire and the moment of the NiTi was 0.16 times as small as that of the stainless steel wire.
      4.The moment was decreased as the interbracket distance was increased.
      5.To get a desired moment with the specific size and material of the wire on the specific bracket slot, the formula and the results were displayed.
      Key words : Clinical torque, Active torque, Moment, Finite element meth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연구재료 및 방법
      • 가.유한요소 모델의 제작
      • 2.실험방법
      • Ⅲ.결과
      • Ⅰ.서론
      • Ⅱ.연구재료 및 방법
      • 가.유한요소 모델의 제작
      • 2.실험방법
      • Ⅲ.결과
      • 1.Clearance의 계산
      • 2.선재의 크기와 종류에 따른 모멘트
      • 3.브라켓간 거리에 따른 모멘트
      • Ⅳ.총괄 및 고찰
      • Ⅴ.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