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6세기 호남사림의 학문 교류 및 논변 고찰 ― 金麟厚⋅李恒⋅盧守愼과 교류한 奇大升의 학문을 중심으로 ― = A Study of the Academic Exchange and Argument of the 16th Century’s Sahrim (士林) in the Honam District ― Centering on the scholarship of Daeseung Ki who had an academic interchange with Inhu Kim, Hang Yi, and Sushin No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47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fore and after the 16th century, the Sahrim in Honam opened to the practical moral philosophy and the theoretical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and welcomed the heyday of their scholarship. Especially the newly appointed Jeolla-province governors or the exile of scholars who had a moral influence even boosted the spirit of Confucianism. Daeseung Ki succeeded to the family-run scholarship, studied Neo-Confucianism and prepared for the state examination. His passion for Neo-Confucianism later became the beginning of completing 『Jujamunrok』(朱子文錄: a series of books he compiled by excerpting from 『Jujadaejeon』, a collection of works of Zhu Xi, a Song Dynasty Confucian scholar). Based on this, he academically interchanged and debated with Hang Yi, Inhu Kim, Hwang Yi, Sushin Noh, etc. and established his own system of Yikishimsungron(理氣心性論: a theory that philosophically explains about the mind of people linked with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changes and arguments that Daeseung Ki had with Inhu Kim, Hang Yi, Sushin Noh, etc. He made a few visits with Inhu Kim and Hang Yi, yet, with Taegeuk Argument, his academic exchange and argument began. Though he was arguing about the ‘relation between taegeuk and yin and yang’ with Hang Yi for the first time, the debate became intensified through the academic exchange with Inhu Kim. Moreover, Daeseung Ki informed Hwang Yi who was discussing over Sahdanchiljung(四端七情: four Confucian human nature and seven human emotions) of this argument and tried to clarify the point of it. Later, he, with Sushin Noh, argued about Inshimdohshim(人心道心: a theory about the ambilaterality of the mind) which had been continued since the Hang Yi and Sushin Noh’s debate earlier. Daeseung Ki’s such successive academic exchanges and arguments were a profound philosophical reflection toward Confucianism and became an opportunity to enhance it in the Joseon Dynasty.
      Daeseung Ki’s theories were handed down to the younger scholars. His literary men, facing the national crisis, strived to overcome the situation and promote the national interests and provide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by raising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is descendants, as well, succeeded to his scholarship and started ‘Wijungchuksa Movement’ and showed such heroic spirit as they were facing their nation in crisis. His scholarship and spirit, in particular, went beyond the regional boundary but were succeeded as an academic range called Kihohak(畿湖學) and helped the younger scholars to move toward the world view of Neo-Confucianism.
      번역하기

      Before and after the 16th century, the Sahrim in Honam opened to the practical moral philosophy and the theoretical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and welcomed the heyday of their scholarship. Especially the newly appointed Jeolla-province governors or...

      Before and after the 16th century, the Sahrim in Honam opened to the practical moral philosophy and the theoretical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and welcomed the heyday of their scholarship. Especially the newly appointed Jeolla-province governors or the exile of scholars who had a moral influence even boosted the spirit of Confucianism. Daeseung Ki succeeded to the family-run scholarship, studied Neo-Confucianism and prepared for the state examination. His passion for Neo-Confucianism later became the beginning of completing 『Jujamunrok』(朱子文錄: a series of books he compiled by excerpting from 『Jujadaejeon』, a collection of works of Zhu Xi, a Song Dynasty Confucian scholar). Based on this, he academically interchanged and debated with Hang Yi, Inhu Kim, Hwang Yi, Sushin Noh, etc. and established his own system of Yikishimsungron(理氣心性論: a theory that philosophically explains about the mind of people linked with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changes and arguments that Daeseung Ki had with Inhu Kim, Hang Yi, Sushin Noh, etc. He made a few visits with Inhu Kim and Hang Yi, yet, with Taegeuk Argument, his academic exchange and argument began. Though he was arguing about the ‘relation between taegeuk and yin and yang’ with Hang Yi for the first time, the debate became intensified through the academic exchange with Inhu Kim. Moreover, Daeseung Ki informed Hwang Yi who was discussing over Sahdanchiljung(四端七情: four Confucian human nature and seven human emotions) of this argument and tried to clarify the point of it. Later, he, with Sushin Noh, argued about Inshimdohshim(人心道心: a theory about the ambilaterality of the mind) which had been continued since the Hang Yi and Sushin Noh’s debate earlier. Daeseung Ki’s such successive academic exchanges and arguments were a profound philosophical reflection toward Confucianism and became an opportunity to enhance it in the Joseon Dynasty.
      Daeseung Ki’s theories were handed down to the younger scholars. His literary men, facing the national crisis, strived to overcome the situation and promote the national interests and provide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by raising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is descendants, as well, succeeded to his scholarship and started ‘Wijungchuksa Movement’ and showed such heroic spirit as they were facing their nation in crisis. His scholarship and spirit, in particular, went beyond the regional boundary but were succeeded as an academic range called Kihohak(畿湖學) and helped the younger scholars to move toward the world view of Neo-Confucian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6세기 전후로 조선은 사화가 일어나 정치적으로 불안하였다. 사화로 인하여 향촌사회로 귀향한 호남의 사림은 도학을 실천하고 성리사상을 이론적으로 탐구하여 학문을 발전시켰다. 특히 전라도관찰사들의 부임, 또는 덕망있는 학자들의 유배는 유학의 정신을 더 고양시켰다. 기대승은 과거를 준비하면서 주자학을 탐구하였다. 그의 주자학에 대한 열정은 『朱子文錄』을 완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기초로 李恒⋅金麟厚⋅李滉⋅盧守愼 등과 학문적으로 교류하고 논변하면서 자신의 理氣心性論에 대한 체계를 확립하였다.
      본 글은 기대승이 김인후⋅이항⋅노수신 등과 교류하고 논변한 것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기대승은 김인후⋅이항과 찾아간 적이 있었으나 태극논쟁을 시작으로 학문 교류 및 논변이 본격화되었다. 그가 처음으로 이항과 ‘태극⋅음양의 관계’를 논쟁하면서도 김인후와의 학문적 교류를 통해 그 논변이 심화되었다. 더욱이 기대승은 이 논쟁을 당시 四端七情에 대해 논변하던 이황에게도 알려 그 논지를 명확하게 밝혀내고자 하였다. 그후 기대승은 노수신과 人心道心에 대해 논쟁하였는데 이 논쟁은 일찍이 김인후⋅이항이 노수신과 논쟁하던 것을 계속한 것이다. 기대승의 이러한 일련의 학문교류와 논쟁은 성리학에 대한 심도 있는 철학적 반성이자 조선 성리학을 한층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기대승의 이론은 후학들에게 계승되었다. 그의 문인들은 국난을 당하여 위기를 극복하고자 의병을 일으켜 輔國安民하고자 하였고, 조선말기 그의 후손들도 그의 학문을 계승하면서 국가가 위기를 당하자 이를 극복하고자 위청척사운동을 일으키고 義烈精神을 발휘하였다. 특히 그의 학문과 정신은 호남이라는 지역성을 벗어나 畿湖學이라는 학맥으로 계승되고 나아가 후학들이 주자학적 세계관을 지향하도록 하였다.
      번역하기

      16세기 전후로 조선은 사화가 일어나 정치적으로 불안하였다. 사화로 인하여 향촌사회로 귀향한 호남의 사림은 도학을 실천하고 성리사상을 이론적으로 탐구하여 학문을 발전시켰다. 특히 ...

      16세기 전후로 조선은 사화가 일어나 정치적으로 불안하였다. 사화로 인하여 향촌사회로 귀향한 호남의 사림은 도학을 실천하고 성리사상을 이론적으로 탐구하여 학문을 발전시켰다. 특히 전라도관찰사들의 부임, 또는 덕망있는 학자들의 유배는 유학의 정신을 더 고양시켰다. 기대승은 과거를 준비하면서 주자학을 탐구하였다. 그의 주자학에 대한 열정은 『朱子文錄』을 완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기초로 李恒⋅金麟厚⋅李滉⋅盧守愼 등과 학문적으로 교류하고 논변하면서 자신의 理氣心性論에 대한 체계를 확립하였다.
      본 글은 기대승이 김인후⋅이항⋅노수신 등과 교류하고 논변한 것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기대승은 김인후⋅이항과 찾아간 적이 있었으나 태극논쟁을 시작으로 학문 교류 및 논변이 본격화되었다. 그가 처음으로 이항과 ‘태극⋅음양의 관계’를 논쟁하면서도 김인후와의 학문적 교류를 통해 그 논변이 심화되었다. 더욱이 기대승은 이 논쟁을 당시 四端七情에 대해 논변하던 이황에게도 알려 그 논지를 명확하게 밝혀내고자 하였다. 그후 기대승은 노수신과 人心道心에 대해 논쟁하였는데 이 논쟁은 일찍이 김인후⋅이항이 노수신과 논쟁하던 것을 계속한 것이다. 기대승의 이러한 일련의 학문교류와 논쟁은 성리학에 대한 심도 있는 철학적 반성이자 조선 성리학을 한층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기대승의 이론은 후학들에게 계승되었다. 그의 문인들은 국난을 당하여 위기를 극복하고자 의병을 일으켜 輔國安民하고자 하였고, 조선말기 그의 후손들도 그의 학문을 계승하면서 국가가 위기를 당하자 이를 극복하고자 위청척사운동을 일으키고 義烈精神을 발휘하였다. 특히 그의 학문과 정신은 호남이라는 지역성을 벗어나 畿湖學이라는 학맥으로 계승되고 나아가 후학들이 주자학적 세계관을 지향하도록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栗谷全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58

      2 고영진,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혜안 2007

      3 최영성, "한국유학통사(中)" 심산 2006

      4 현상윤, "풀어 옮긴 조선유학사" 현음사 2003

      5 이형성, "전북 士林 資料調査를 통한 儒學思想 小攷 in : 자료조사연구로 본 전라문화" 선명 2006

      6 고영진, "이황학맥의 호남 전파와 유학사적 의의" 퇴계연구소 (32) : 71-96, 2003

      7 이해준, "기묘사화와 16세기 전반의 호남학파" 2 : 1991

      8 "高峯全書"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79

      9 "順庵集(韓國文集叢刊 229∼230)" 민족문화추진회 1999

      10 "陶谷集(韓國文集叢刊 180∼181)" 민족문화추진회 1999

      1 "栗谷全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58

      2 고영진,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혜안 2007

      3 최영성, "한국유학통사(中)" 심산 2006

      4 현상윤, "풀어 옮긴 조선유학사" 현음사 2003

      5 이형성, "전북 士林 資料調査를 통한 儒學思想 小攷 in : 자료조사연구로 본 전라문화" 선명 2006

      6 고영진, "이황학맥의 호남 전파와 유학사적 의의" 퇴계연구소 (32) : 71-96, 2003

      7 이해준, "기묘사화와 16세기 전반의 호남학파" 2 : 1991

      8 "高峯全書"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79

      9 "順庵集(韓國文集叢刊 229∼230)" 민족문화추진회 1999

      10 "陶谷集(韓國文集叢刊 180∼181)" 민족문화추진회 1999

      11 "退溪全書"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71

      12 "經書(대학 논어 맹자 중용)"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1

      13 "穌齋集(韓國文集叢刊 35)" 민족문화추진회 1989

      14 안진오, "湖南儒學의 探究" 이회 1996

      15 "河西全集(韓國文集叢刊 33)" 민족문화추진회 1989

      16 윤사순, "河西 金麟厚의 道學과 節義精神 in : 河西 金麟厚의 思想과 文學" 河西紀念會 1994

      17 國史編纂委員會, "朝鮮王朝實錄" 東國文化社 1957

      18 박학래, "朝鮮時代 湖南儒學의 전개 양상과 의의 - 地方分權時代의 傳統思想 硏究와 관련하여 -" 대한철학회 99 : 181-214, 2006

      19 "明齋遺稿(韓國文集叢刊 135∼136)" 민족문화추진회 1994

      20 "性理大全" 보경문화사 1984

      21 "困知記" 廣文書局印行

      22 "一齋集(韓國文集叢刊 28)" 민족문화추진회 1989

      23 정병련, "一齋 李恒의 理氣一物說 辨證" 1994

      24 정대환, "一齋 李恒의 性理學" 한국동서철학회 (25) : 45-70, 2002

      25 김우기, "16세기 호남사림의 중앙정계 진출과 활동 in : 이수건교수정년기념한국중세사논총" 논총간행위원회 2000

      26 조원래, "16세기 초 호남사림의 형성과 사림정신" 89 (89):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