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창조산업 내 ICT기반 혁신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56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창조경제는 새정부 출범과 함께 제시된 새로운 경제발전의 패러다임이다. 정 부가 창조경제 정책을 추진한지 3년째를 맞이하고 있으나 창조경제의 규모와 추진 성과에 대한 실감형 분석체계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조경제 정책 추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국내외 창조경제 문헌 검토를 통해 문화⋅콘텐츠, SW 산업 등 외국에서 정의되었던 창조경제의 범위를 협의의 창 조산업군으로 정의하고, 우리 정부에서 제시한 고기술⋅첨단제조업, 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을 추가적으로 포괄하여 광의의 창조산업군을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각 산업군 별로 창조경제 의 핵심 동인 중 하나인 ICT기반 혁신에 따른 투입-산출의 연도별 증감액을 추정하고 산업 연관분석을 통해 창조산업 내 ICT 기반 혁신이 전체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 정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 이후 전반적인 경기 하락세에서도 광의의 창조산업에서의 ICT기반 혁 신이 전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및 고용유발효과의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그러나 협의의 창조산업군에서는 ICT기반 혁신의 경제적 파급효과의 증가가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이론적, 정책적 의의가 있다. 첫째로 기 존의 창조경제 성과지표가 투입 역량 중심으로 되어 있어 가시적 효과를 산정하기 어려운 상 황에서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산출 중심의 성과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토대를 제공하 였다. 두 번째로 기존의 창조산업 파급효과가 단순히 해당 산업군의 규모 추정에 그쳐 추상 적이고 모호하였다면, 본 분석에서는 창조산업의 전체 규모 중에서 ICT기반 혁신활동이 설 명하는 파급효과를 구체적으로 산출하여 효과 산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번역하기

      창조경제는 새정부 출범과 함께 제시된 새로운 경제발전의 패러다임이다. 정 부가 창조경제 정책을 추진한지 3년째를 맞이하고 있으나 창조경제의 규모와 추진 성과에 대한 실감형 분석체...

      창조경제는 새정부 출범과 함께 제시된 새로운 경제발전의 패러다임이다. 정 부가 창조경제 정책을 추진한지 3년째를 맞이하고 있으나 창조경제의 규모와 추진 성과에 대한 실감형 분석체계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조경제 정책 추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국내외 창조경제 문헌 검토를 통해 문화⋅콘텐츠, SW 산업 등 외국에서 정의되었던 창조경제의 범위를 협의의 창 조산업군으로 정의하고, 우리 정부에서 제시한 고기술⋅첨단제조업, 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을 추가적으로 포괄하여 광의의 창조산업군을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각 산업군 별로 창조경제 의 핵심 동인 중 하나인 ICT기반 혁신에 따른 투입-산출의 연도별 증감액을 추정하고 산업 연관분석을 통해 창조산업 내 ICT 기반 혁신이 전체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 정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 이후 전반적인 경기 하락세에서도 광의의 창조산업에서의 ICT기반 혁 신이 전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및 고용유발효과의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그러나 협의의 창조산업군에서는 ICT기반 혁신의 경제적 파급효과의 증가가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이론적, 정책적 의의가 있다. 첫째로 기 존의 창조경제 성과지표가 투입 역량 중심으로 되어 있어 가시적 효과를 산정하기 어려운 상 황에서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산출 중심의 성과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토대를 제공하 였다. 두 번째로 기존의 창조산업 파급효과가 단순히 해당 산업군의 규모 추정에 그쳐 추상 적이고 모호하였다면, 본 분석에서는 창조산업의 전체 규모 중에서 ICT기반 혁신활동이 설 명하는 파급효과를 구체적으로 산출하여 효과 산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creativity and innovation is the key to drive the creative economy in the South Korea, the development of analysis framework to evaluate the size and performance is limited. The present study suggests a framework and a method to assess economic impact of the creative economy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which employs input-output efficiencies populated by the Korean Bank and empirical data from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society Agency(NIA).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of 2013, despite of economy downturn, the creative innov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had been significantly led the production, value-added, and employment inducement. The effect is predominant in the creative industry in an broad sense, that is, technology intensive manufacturing industry.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번역하기

      While creativity and innovation is the key to drive the creative economy in the South Korea, the development of analysis framework to evaluate the size and performance is limited. The present study suggests a framework and a method to assess economic ...

      While creativity and innovation is the key to drive the creative economy in the South Korea, the development of analysis framework to evaluate the size and performance is limited. The present study suggests a framework and a method to assess economic impact of the creative economy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which employs input-output efficiencies populated by the Korean Bank and empirical data from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society Agency(NIA).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of 2013, despite of economy downturn, the creative innov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had been significantly led the production, value-added, and employment inducement. The effect is predominant in the creative industry in an broad sense, that is, technology intensive manufacturing industry.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창조경제 규모와 ICT기반 혁신
      • Ⅲ. ICT기반 혁신의 창조경제 파급효과
      • Ⅳ. 연구결과 및 시사점
      • Ⅰ. 서론
      • Ⅱ. 창조경제 규모와 ICT기반 혁신
      • Ⅲ. ICT기반 혁신의 창조경제 파급효과
      • Ⅳ. 연구결과 및 시사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부형⋅정민, "한국의 창조경제역량지수 개발과 평가" 현대경제연구원 13-14, 2013

      2 신관호, "한국의 산업별 정보통신기술(ICT) 투자의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 한국국제경제학회 10 (10): 127-156, 2004

      3 강지희, "한국의 기술기반산업간 융합구조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4 강희종, "특허인용관계를 활용한 산업융합 파급효과 연구" 기술경영경제학회 22 (22): 31-50, 2014

      5 이연정, "창조산업의 경제활동과 파급효과" 한국문화산업학회 10 (10): 27-49, 2010

      6 이부형⋅정민, "창조경제의 성공은 창조산업 육성부터- 국내 창조산업의 신성장동력 가능성 평가" 현대경제연구원 13-25, 2013

      7 박승록, "창조경제에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과 일자리 창출 및 성장" 한국생산성학회 28 (28): 51-86, 2014

      8 관계부처 합동, "창조경제 실현계획(안)" 2013

      9 동아일보, "창조경제 리포트" 동아일보 2013

      10 박성욱, "지식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개발연구소 26 (26): 65-87, 2010

      1 이부형⋅정민, "한국의 창조경제역량지수 개발과 평가" 현대경제연구원 13-14, 2013

      2 신관호, "한국의 산업별 정보통신기술(ICT) 투자의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 한국국제경제학회 10 (10): 127-156, 2004

      3 강지희, "한국의 기술기반산업간 융합구조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4 강희종, "특허인용관계를 활용한 산업융합 파급효과 연구" 기술경영경제학회 22 (22): 31-50, 2014

      5 이연정, "창조산업의 경제활동과 파급효과" 한국문화산업학회 10 (10): 27-49, 2010

      6 이부형⋅정민, "창조경제의 성공은 창조산업 육성부터- 국내 창조산업의 신성장동력 가능성 평가" 현대경제연구원 13-25, 2013

      7 박승록, "창조경제에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과 일자리 창출 및 성장" 한국생산성학회 28 (28): 51-86, 2014

      8 관계부처 합동, "창조경제 실현계획(안)" 2013

      9 동아일보, "창조경제 리포트" 동아일보 2013

      10 박성욱, "지식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개발연구소 26 (26): 65-87, 2010

      11 하태정, "정부연구개발투자의 제조업 고용창출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 21 (21): 1-26, 2013

      12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화통계집"

      13 김민관,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창조산업의 구조분석 및 경제 파급효과 추정" 산업은행 2013

      14 조병도,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한국경제의 산업구조변화와 성장요인 분석(1995∼2008년)" 한국산업경제학회 24 (24): 3433-3456, 2011

      15 김도환,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정보통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경영과학회 32 (32): 81-96, 2007

      16 박재민, "산업연관모형을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지식기반서비스업의 기술적 산업연계구조 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 10 (10): 1-18, 2002

      17 김정언, "산업별 IT융합 통계 구축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0

      18 김현곤, "데이터 기반 창조경제 구현방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19 홍재표, "녹색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649-670, 2013

      20 이선미, "글로벌 자동차 사업자, 스마트카 경쟁 본격 시동" KT경제경영연구소 2012

      21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2 정군오, "국가 R&D 투자의 경제효과 분석: 보건의료산업을 중심으로" 기술경영경제학회 21 (21): 59-84, 2013

      23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보험DB"

      24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5 강선아, "감성ICT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1739-1764, 2013

      26 野村総合研究所, "平成23年度 知的財産権ワーキング⋅グループ等侵害対策強化事業 報告書(クリエイティブ産業に係る知的財産権等の侵害実態調査及び創作環境等の整備のための調査)" 2012

      27 John Howkins, "The Creative Economy: How People Make Money From Ideas in the UK" NESTA 2007

      28 IMS, "IMS Research’s report, World Market for Wearable Technology-A Quantitative Market Assessment" IHS Technology 2012

      29 김원규, "ICT산업 융합의 경제적 효과분석" 한국생산성학회 28 (28): 217-239, 2014

      30 곽정호, "ICT 민간투자조합의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7 (27): 1993-2013, 2014

      31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UK, "Creative Industries Economic Estimates" DCMS 2014

      32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Switzerland, "Creative Economy Report" UNCTAD 2010

      33 한국은행, "2010년 산업연관표, Input-Output Statistics"

      34 김현호, "2009년도 한국의 기술혁신조사(서비스부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35 관계부처 합동, "14년 주요 추진과제(안)"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슬혁신연구 -> 기술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2 1.20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