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평가자료를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3가지이다. 첫째, 현재 고성장 기업이 아닌, 향후 고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35683
2015
Korean
325.000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373-396(24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평가자료를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3가지이다. 첫째, 현재 고성장 기업이 아닌, 향후 고성...
본 연구는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평가자료를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3가지이다. 첫째, 현재 고성장 기업이 아닌, 향후 고성장기업으로 성장할 기업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둘째, 고성장기업을 매출 과 고용 2가지 측면에서 각각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즉, 매출증가와 고용창출에서 모두 고성 장을 달성한 경우, 고용창출 측면에서는 고성장을 기록했지만 매출증가 측면에서는 저성장인 경우, 그리고 매출증가만 고성장을 달성하고 고용창출은 저성장을 기록한 경우의 세 가지 유 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기술보증기금 기술평가모형(KTRS)의 기술평가지표를 설명변수로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술의 수명주기상 위치가 적절하고 기술의 완성도가 높을 경우에는 향후 매출 과 고용이 모두 고성장하고 있다. 기술인력관리가 잘 되는 기업은 고용측면에서는 고성장을 하지만 매출측면에서는 오히려 저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용고성장기업이 주로 기 술인력관리가 중요한 하이테크산업에서 발생될지도 모른다는 추론을 가능케 한다. 이에 하 이테크산업 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하이테크산업에 속한 기업은 고용고성장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high-growth firms using the technology appraisal data of the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for three reasons. First, it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fir...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high-growth firms using the technology appraisal data of the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for three reasons. First, it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firms that will grow into high-growth firms in the future, not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high-growth firms. Second, it analyzed high-growth firms by dividing them in two aspects: sales and employment. In other word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case in which a firm achieves high growth in both sales increase and creation of jobs, the case in which a firm achieves high growth in creation of jobs but low growth in sales increase, and the case in which a firm achieves high growth in only sales increase but low growth in creation of jobs. Third, this study applied the technology appraisal indicators of Kibo Technology Rating System(KTRS) by the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 as the explanatory variable.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a firm achieved high growth in both sales and employment if the position in the technology life cycle was appropriate and the technology readiness level was high.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management system of technical manpower had conflicting effects on high growth of employment and sales. In other words, a firm that had well managed its technical manpower achieved high growth in terms of employment, but rather showed low growth in terms of sales. This result suggests the inference that firms showing high growth in employment may appear mainly in the high-tech industry where management of technical manpower is important. Accordingly, as a result of adding dummy variables that represent whether or not firms are in the high-tech industry, it was found that the result supported the inference, as firms in the high-tech industry were highly likely to achieve high growth in employ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寅權, "한국기업의 성장동학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국제경제학회 8 (8): 85-110, 2002
2 김선화, "중소기업 성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1 (31): 237-254, 2009
3 서정대,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중소기업부문의 일자리 창출" KOSBI 2010
4 성효용, "기업성장률과 규모 및 나이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8 (8): 71-85, 2000
5 서정대, "고성장기업의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포커스 2011
6 조덕희, "고성장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성과 및 시사점" 22-33, 2011
7 임채윤,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3) : 2009
8 박순홍, "가젤기업(Gazelles)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5 (35): 1-24, 2013
9 Birch, D. L., "Who Creates Jobs?" 65 : 22-33, 1981
10 NESTA, "The vital 6 per cent: High-growth innovative business generate prosperity and Jobs" NESTA 2009
1 李寅權, "한국기업의 성장동학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국제경제학회 8 (8): 85-110, 2002
2 김선화, "중소기업 성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1 (31): 237-254, 2009
3 서정대,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중소기업부문의 일자리 창출" KOSBI 2010
4 성효용, "기업성장률과 규모 및 나이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8 (8): 71-85, 2000
5 서정대, "고성장기업의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포커스 2011
6 조덕희, "고성장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성과 및 시사점" 22-33, 2011
7 임채윤,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3) : 2009
8 박순홍, "가젤기업(Gazelles)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5 (35): 1-24, 2013
9 Birch, D. L., "Who Creates Jobs?" 65 : 22-33, 1981
10 NESTA, "The vital 6 per cent: High-growth innovative business generate prosperity and Jobs" NESTA 2009
11 Simon, H. A., "The size distribution of business firms" 48 : 607-617, 1958
12 Hall B. H.,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firm growth in the U.S. manufacturing sector" 35 (35): 583-606, 1987
13 Evans, D. 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growth, size and age: Estimates for 100manufacturing industries" 35 : 567-581, 1987
14 Hart P. E., "The analysis of business concentration: A statistical approach" 119 (119): 150-191, 1956
15 Storey, D. J., "The Ten Percenters-Fast growing SMEs in Great Britain" Deloitte & Touche International 1996
16 Evans, D. S., "Tests of alternative theories of firm growth" 95 : 657-674, 1987
17 Jovanovich, B., "Selection and the evolution of industry" 50 (50): 649-670, 1982
18 Lucas, R. E., "On the size distribution of business firms" 9 : 508-523, 1978
19 Michael, "Measuring Business Growth High-growth firms and their contribution to employment in the UK" NESTA 2009
20 Gibrat, R., "Les Inegalites Economiques" Librairie du Recueil Sirey 1931
21 Birch, D. L., "Labor Markets, Employment Policy and Job Creation" Westview Press 1994
22 FitzRoy F. R.,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Change, An International Comparison" Harvestor Wheatsheaf 152-159, 1991
23 Acs, Z. J., "High-impact firms: Gazelles revisited" SBA Office of Advocacy 2008
24 Schreyer, P., "High-Growth SMEs and Employment" OECD 2000
25 Kumar, M. S., "Growth, acquisition activity and firm size: Evidence from the United Kingdom" 33 (33): 327-338, 1985
26 Mata, J., "Firm growth during infancy" 6 : 27-93, 1994
27 Bangma, "Firm dynamics and employment, EIM Publieksrapportage A200415"
28 Mansfield E., "Entry, Gibrat’s law, innovation, and the growth of firms" 52 : 1023-1051, 1962
29 Stiglitz, J., "Credit Rationing in Markets with Imperfect Information" 71 (71): 393-410, 1981
30 Lucas, R. E., "Adjustment costs and the theory of supply" 75 : 321-334, 1967
31 Tracy, Jr., S. L., "Accelerating Job Creation in America: The Promise of High-Impact Companies" SBA Office of Advocacy 2011
32 김석현,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6) : 2009
차량 전장품의 R&D 프로세스 통합 연구: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신성장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가 주도 기술 표준화 추진 방안 비교: 한국과 미국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기슬혁신연구 -> 기술혁신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8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2 | 0.92 | 1.204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