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반려견 범죄 예방 및 처리에 대한 경찰의 역할 = The role of the police in the prevention and Processing of dog cri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8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gs live with humans for a long time, help each other, and have more meaning than animals that share their lives. Life with dogs and humans has been and will continue for a long time. Considering the type of housing in Korea, where many people live together, such as apartments, crimes related to dogs will continue to occur, and the problem will also become a continuous social issue. However, policies and consciousness and police response are insufficient. Today,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dogs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social factors such as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ging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disputes and damages against dog crimes are expected to increas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increase in dog-related crimes is the police's lukewarm attitude toward dog crimes. Regarding dogs, major countries have already created and implemented systems to live together. The best way to prevent dog-related crimes is to properly educate and control the dog owner's dog, but it will be too much to do only the responsibility of the dog owner in all cases.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dog bites, dog abuse, and disputes between residents due to dogs, and reviewed punishment regulations and treatment of dog crimes, and suggested ways to strengthen the police's role in preventing and dealing with dog-related crimes.
      번역하기

      Dogs live with humans for a long time, help each other, and have more meaning than animals that share their lives. Life with dogs and humans has been and will continue for a long time. Considering the type of housing in Korea, where many people live t...

      Dogs live with humans for a long time, help each other, and have more meaning than animals that share their lives. Life with dogs and humans has been and will continue for a long time. Considering the type of housing in Korea, where many people live together, such as apartments, crimes related to dogs will continue to occur, and the problem will also become a continuous social issue. However, policies and consciousness and police response are insufficient. Today,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dogs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social factors such as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ging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disputes and damages against dog crimes are expected to increas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increase in dog-related crimes is the police's lukewarm attitude toward dog crimes. Regarding dogs, major countries have already created and implemented systems to live together. The best way to prevent dog-related crimes is to properly educate and control the dog owner's dog, but it will be too much to do only the responsibility of the dog owner in all cases.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dog bites, dog abuse, and disputes between residents due to dogs, and reviewed punishment regulations and treatment of dog crimes, and suggested ways to strengthen the police's role in preventing and dealing with dog-related crim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반려견은 인간과 오랫동안 더불어 생활하면서 서로 도움을 주며 삶을 같이 하는 동물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반려견과인간과의 생활은 오랫동안 지속되었으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아파트 등 공동생활을 많이 하는 우리나라의 주거형태를 감안하면 반려견 관련 범죄는 계속하여 발생할 것이고 그에 대한 문제도 계속적인 사회적인 이슈가 될 것이다. 하지만 그에 관한 정책이나 의식 및 경찰의 대처는 미흡하다. 오늘날 1인 가구의 증가와 고령화 등의 사회적 요인 및 환경변화로 인해 반려견을 키우는 가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견 범죄에 대한 분쟁과 피해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려견 관련 범죄가 증가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에 경찰의 반려견 범죄에 대한 미온적인 태도도 포함된다. 반려견 관련해서 주요 국가들은 이미 더불어 같이 살아가는 제도를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 반려견 관련 범죄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견주의 반려견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 통제이겠지만 모든 경우를 견주에 책임으로만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반려견 관련 범죄로 많이 발생하고 문제시 되는 반려견 물림 사고, 반려견 학대, 반려견으로 인한 주민간의 분쟁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처벌 규정 및 반려견 범죄에 대한 외국 경찰의 처리 등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반려견 관련 범죄의 예방 및 처리를 대한 경찰의 역할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반려견은 인간과 오랫동안 더불어 생활하면서 서로 도움을 주며 삶을 같이 하는 동물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반려견과인간과의 생활은 오랫동안 지속되었으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반려견은 인간과 오랫동안 더불어 생활하면서 서로 도움을 주며 삶을 같이 하는 동물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반려견과인간과의 생활은 오랫동안 지속되었으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아파트 등 공동생활을 많이 하는 우리나라의 주거형태를 감안하면 반려견 관련 범죄는 계속하여 발생할 것이고 그에 대한 문제도 계속적인 사회적인 이슈가 될 것이다. 하지만 그에 관한 정책이나 의식 및 경찰의 대처는 미흡하다. 오늘날 1인 가구의 증가와 고령화 등의 사회적 요인 및 환경변화로 인해 반려견을 키우는 가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견 범죄에 대한 분쟁과 피해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려견 관련 범죄가 증가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에 경찰의 반려견 범죄에 대한 미온적인 태도도 포함된다. 반려견 관련해서 주요 국가들은 이미 더불어 같이 살아가는 제도를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 반려견 관련 범죄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견주의 반려견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 통제이겠지만 모든 경우를 견주에 책임으로만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반려견 관련 범죄로 많이 발생하고 문제시 되는 반려견 물림 사고, 반려견 학대, 반려견으로 인한 주민간의 분쟁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처벌 규정 및 반려견 범죄에 대한 외국 경찰의 처리 등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반려견 관련 범죄의 예방 및 처리를 대한 경찰의 역할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농림축산식품부,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보도자료" 2021

      2 MBN뉴스, "한국은 동물학대에 관대하다? 판결문 200개 분석해보니…"

      3 박기범, "폭력성 범죄의 예측가능성에 관한 연구 - 연쇄살인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 7 (7): 85-106, 2010

      4 김종식 ; 홍서아 ; 유병후, "자치경찰제 시행 이후 학교폭력대응을 위한 학교전담경찰의 역할" 한국범죄심리학회 17 (17): 53-70, 2021

      5 동물자유연대, "유실‧유기동물 분석" 2021

      6 함태성, "우리나라 동물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19 (19): 403-431, 2015

      7 "소년한국일보"

      8 김형종, "반려동물종합관리사" 한국애견연맹 2018

      9 정대, "반려동물보험 관련 법제에 관한 입법 정책적 고찰" 한국경제법학회 19 (19): 179-204, 2020

      10 권용수 ; 이진홍, "반려동물 보유세 도입에 관한 기본적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3 (13): 127-161, 2020

      1 농림축산식품부,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보도자료" 2021

      2 MBN뉴스, "한국은 동물학대에 관대하다? 판결문 200개 분석해보니…"

      3 박기범, "폭력성 범죄의 예측가능성에 관한 연구 - 연쇄살인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 7 (7): 85-106, 2010

      4 김종식 ; 홍서아 ; 유병후, "자치경찰제 시행 이후 학교폭력대응을 위한 학교전담경찰의 역할" 한국범죄심리학회 17 (17): 53-70, 2021

      5 동물자유연대, "유실‧유기동물 분석" 2021

      6 함태성, "우리나라 동물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19 (19): 403-431, 2015

      7 "소년한국일보"

      8 김형종, "반려동물종합관리사" 한국애견연맹 2018

      9 정대, "반려동물보험 관련 법제에 관한 입법 정책적 고찰" 한국경제법학회 19 (19): 179-204, 2020

      10 권용수 ; 이진홍, "반려동물 보유세 도입에 관한 기본적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3 (13): 127-161, 2020

      11 연합뉴스, "반려견 많은 곳이 범죄율도 낮다"

      12 조성자, "미국 동물법 발전현황과 시사점 - 미국 개물림법(Dog Bite Law)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65) : 283-307, 2019

      13 민이현, "동물학대 행위와 대인 범죄의 연관성에 관한 해외 문헌 연구"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19

      14 김동록 ; 이상훈 ; 임준태, "동물학대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경찰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19 (19): 1-16, 2022

      15 동물자유연대, "동물학대 대응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토론집"

      16 김민영, "동물학대 대응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원 2022

      17 동물자유연대, "동물학대 대응 매뉴얼"

      18 위키백과, "동물학대"

      19 동물자유연대, "동물의 법적 지위와 입법적 변화모색 토론집"

      20 이형주,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해외 동향분석과입법제안"

      21 김항중, "동물로 인해 발생한 민사상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일고(一考) - 미국의 과실책임과 엄격책임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28 (28): 315-342, 2021

      22 이진홍 ; 박상진, "동물경찰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20 (20): 571-595, 2020

      23 홍완식, "독일의 동물보호법제에 관한 고찰" 유럽헌법학회 (25) : 523-544, 2017

      24 송기헌, "국회의원 보도자료"

      25 신정훈, "국회의원 보도자료"

      26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7 동물자유연대, "경찰청 동물학대 수사매뉴얼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2020

      28 박규용, "개물림 사고에 있어서 견주(犬主)의 민사책임" 법과정책연구원 27 (27): 59-81, 2021

      29 백경희 ; 심영주, "개물림 사고에 대한 소유자의 법적 책임에 관한 소고- 미국의 개물림 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법제연구원 (54) : 261-301, 2018

      30 이데일리, "“우리 개는 안 물어”…끊이지 않는 개물림 사고, 못 막나"

      31 세계일보, "“개 짖어서 못 살겠다” 이웃집 흉기 위협한 50대 집행유예"

      32 조성자, "‘개물림 대책과 그 처리에 관한 법률’의 제안 연구 ― 미국 뉴욕주의 개물림 규제법들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9 (29): 93-127, 2019

      33 Arluke, A., "The Relationship of Animal Abuse to Violence and Other Forms of Antisocial Behavior" 14 (14): 963-975, 1999

      34 Mead, M, "Cultural Factors in the Cause and Prevention of Pathological Homicide" 28 : 11-22, 1964

      35 Tapia, F, "Children Who Are Cruel to Animals" 2 (2): 70-71, 1971

      36 Tingle, D., "Childhood and Adolescent Characteristics of Pedophiles and Rapists" 9 : 103-116, 1986

      37 법무부, "2022 통계자료"

      38 소방청, "2021 통계자료"

      39 통계청, "2020 인구주택총조사 보도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