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두 나라는 국가급차원에서 경제, 문화 등 여러 면의 교류가 활성화됨에 따라 한국어 학과의 역할이 날로 중요시되고 있으며 특히 능숙한 한국어 구사능력뿐만 아니라 한국의 정 치, 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99142
201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1-149(1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중 두 나라는 국가급차원에서 경제, 문화 등 여러 면의 교류가 활성화됨에 따라 한국어 학과의 역할이 날로 중요시되고 있으며 특히 능숙한 한국어 구사능력뿐만 아니라 한국의 정 치, 경...
한중 두 나라는 국가급차원에서 경제, 문화 등 여러 면의 교류가 활성화됨에 따라 한국어 학과의 역할이 날로 중요시되고 있으며 특히 능숙한 한국어 구사능력뿐만 아니라 한국의 정 치, 경제, 문화 등 영역에 대해 깊이 있게 알고 있는 전문적인 고급인재가 매우 필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어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절실히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중국 내 한국어 문화교육 관련 논문들은 교재나 교과과정 등 어떤 한 분야를 중 심으로 다루어졌다. 좀 더 다방면으로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화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한국어 문화교육의 교육과정, 교재, 학술적 연구, 교수진과 교수자원 등의 측면에 서 살펴보고 존재하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이를 통하여 첫째, 한국어 문화교육에서 교육 목표 설정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하며 둘째, 문화 교수요목을 개발하고 언어와 문화의 통 합교육 체계를 이루어야 하며 셋째, 고급인재 양성에 심혈을 기울여야 하며 넷째, 한국어 문화 관련 교재개발을 추진하고 한국어 문화관련 전공 우수인재들을 받아들여 한국어 문화방향 교 수진을 확보하고 다섯째, 한국과의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여 학생들이 직접 한국문화를 체험하 고 공부할 수 있는 다양한 도경을 만들어주어야 하며 여섯째, 한국 문화교육연구를 위한 폭 넓은 플랫폼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등 제언 및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communication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s getting more and more active in many areas,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ese university is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that those who not only master the language skills b...
As the communication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s getting more and more active in many areas,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ese university is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that those who not only master the language skills but also understand the politics and economics and culture of South Korea are urgently needed.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aroused great public attention. So far, the researches on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in China mainly adopted from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at school. In this paper, we focus on some aspects of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in China, such as the curriculum, the textbook, academic research, the teaching staff, and teaching resources, revealing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following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1)To set the articulated goals of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2)To establish the education system combing the linguistic and the cultural education ; 3)To cultivate advanced talents specializing in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4)To improve the teaching materials and employ specialists on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5) To promote the communication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and create more opportunities of experiencing Korean culture for students; 6)To build some more accessible academic platforms for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해영,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 사회문화 교재 개발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09-230, 2006
2 김영금,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어제와 오늘, In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태학사 136-148, 2000
3 김광수, "한국어교수에서 문화요소의 주입에 관하여, In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태학사 366-370, 2000
4 이해영, "한국어-한국학 통합적 접근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사례-중국에서의 한국사회 .문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 163-188, 2007
5 윤여탁, "한국어 문화 교수 학습론, In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 과제" 한국문화사 191-208, 2002
6 조은희, "한국어 교재의 문화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박영순,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7-188, 2003
8 장윤정,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교육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정호선,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교육내용 분석"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최명식,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범위와 전수방법, In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태학사 358-367, 2000
1 이해영,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 사회문화 교재 개발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09-230, 2006
2 김영금,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어제와 오늘, In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태학사 136-148, 2000
3 김광수, "한국어교수에서 문화요소의 주입에 관하여, In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태학사 366-370, 2000
4 이해영, "한국어-한국학 통합적 접근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사례-중국에서의 한국사회 .문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 163-188, 2007
5 윤여탁, "한국어 문화 교수 학습론, In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 과제" 한국문화사 191-208, 2002
6 조은희, "한국어 교재의 문화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박영순,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7-188, 2003
8 장윤정,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교육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정호선,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교육내용 분석"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최명식,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범위와 전수방법, In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태학사 358-367, 2000
11 배현숙,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 현황 및 문제점" 이중언어학회 (21) : 177-198, 2002
12 성기철,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111-135, 2001
13 이득춘, "한국어 교수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학습수감, In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태학사 392-407, 2000
14 조항록, "한국어 고급 과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9 (9): 223-237, 1998
15 조항록, "초급 단계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11 (11): 153-173, 2000
16 임효례, "중국의 한국어 문화교육 의의와 내용에 대한 고찰"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23-43, 2010
17 손정일, "중국의 한국어 교재, In 한국어교육론" 한국어교육론 241-, 2000
18 오상순,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3 : 5-29, 2010
19 김병운,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어제와 오늘" 중국한국어교육연구회 26-38,
20 "중국대륙에 부는 한국어열풍" 인민일보
21 김병운, "중국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인 교수의 역할과 그들에 대한 기대" 재중한국어문화교육교수회 1-6, 2007
22 노금송, "중국 북경 지역 한국어 교육 현황과 과제" 국어교육연구소 (23) : 33-59, 2009
23 강보유, "중국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교수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1-20, 2002
24 유양, "중국 대학교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의 비교 분석과 개선 방안 : 초급 교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25 박춘연,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문화 교육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75-195, 2010
26 이금춘, "중국 내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내용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11
27 박춘연, "중국 내 한국 문화 교육과정 설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28 김중섭,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의 현황 및 과제" 이중언어학회 (27) : 59-85, 2005
29 왕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201-238, 2010
30 이홍매, "언어와 문화의 관계에 대한 일 고찰, In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태학사 375-390, 2000
31 이정자, "언어와 문화교육, In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태학사 346-353, 2000
32 강보유, "문화언어학과 언어문화교육" 1 : 1-12, 2004
33 김정숙, "교수요목 설계와 교재구성, In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44-, 2002
34 김선자, "高校中的文化渗透育" (8) : 38-42, 2010
35 김병운, "目前中大育存在的及解方案" (5) : 28-35, 2008
36 민현식, "(한)국어 문화교육의 개념과 실천방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59-102, 200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1 | 0.808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