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해구외끌이중형저인망에 의한 동해 중남부 해역 저어류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Demersal Fish Caught by a Danish Seine Fishery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Middle and Southern East Sea,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67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examin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demersal fish in the middle and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of Korea by surveying a commercial Danish seine fishery from 2010 to 2013. We considered the waters north of 37°N a...

      We examin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demersal fish in the middle and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of Korea by surveying a commercial Danish seine fishery from 2010 to 2013. We considered the waters north of 37°N as middle and those south of 37°N as southern waters. A total of 79 demersal fish species belonging to 18 families were collected. Of these, 59 species (77.6%) inhabited only the East Sea as opposed to the West and South Seas of Korea, and most were resident species. The species and biomas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portions of the study area.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78.0%) and the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65.1%) were the most common species and accounted for the most biomass in the middle and southern waters, respectively. Fish were most abundant at shallow depths (50-100 m)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East Sea. Using a cluster analysis, we divid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at the sampling stations into three groups: middle portion (group A), deep area of the southern portion (group B), and shallow areas of the southern portion (group C). A. japonicas and G. stelleri were dominant in groups A and B, while G. stelleri and Clupea pallasii were dominant in group 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충렬, "한국 서해 어류상의 재검토" 한국어류학회 16 (16): 60-74, 2004

      2 손명호, "한국 동해안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의자원평가 및 적정어획량 추정" 한국수산과학회 46 (46): 598-606, 2013

      3 홍병규, "한국 동해 영일만에서 자망으로 채집된 어류 종조성" 한국수산과학회 41 (41): 353-362, 2008

      4 이동우, "한국 근해 쌍끌이대형저인망어업의 어종군집 분석" 한국수산과학회 44 (44): 499-505, 2011

      5 이성일, "왕돌초 해역에서 홑자망과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물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 20 (20): 291-302, 2008

      6 박해훈, "삼중자망에 의한 동해 심해 수산자원의 망목별 어획특성" 한국어업기술학회 49 (49): 1-17, 2013

      7 양재형, "동해안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의 회유와 분포변동 특성" 한국어업기술학회 48 (48): 401-414, 2012

      8 이병관, "동해남부해역과 울릉분지의 퇴적상과 퇴적작용" 한국수산과학회 40 (40): 160-166, 2007

      9 윤상철, "동해 트롤 조사에서 어획된 저서생물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 44 (44): 323-343, 2008

      10 최영민, "동해 중부연안 벌레문치(Lycodes tanakae)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 46 (46): 843-850, 2013

      1 이충렬, "한국 서해 어류상의 재검토" 한국어류학회 16 (16): 60-74, 2004

      2 손명호, "한국 동해안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의자원평가 및 적정어획량 추정" 한국수산과학회 46 (46): 598-606, 2013

      3 홍병규, "한국 동해 영일만에서 자망으로 채집된 어류 종조성" 한국수산과학회 41 (41): 353-362, 2008

      4 이동우, "한국 근해 쌍끌이대형저인망어업의 어종군집 분석" 한국수산과학회 44 (44): 499-505, 2011

      5 이성일, "왕돌초 해역에서 홑자망과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물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 20 (20): 291-302, 2008

      6 박해훈, "삼중자망에 의한 동해 심해 수산자원의 망목별 어획특성" 한국어업기술학회 49 (49): 1-17, 2013

      7 양재형, "동해안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의 회유와 분포변동 특성" 한국어업기술학회 48 (48): 401-414, 2012

      8 이병관, "동해남부해역과 울릉분지의 퇴적상과 퇴적작용" 한국수산과학회 40 (40): 160-166, 2007

      9 윤상철, "동해 트롤 조사에서 어획된 저서생물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 44 (44): 323-343, 2008

      10 최영민, "동해 중부연안 벌레문치(Lycodes tanakae)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 46 (46): 843-850, 2013

      11 손명호, "동해 중부연안 벌레문치(Lycodes tanakae)의 성숙과 산란" 한국수산과학회 47 (47): 255-263, 2014

      12 최광호, "동해 연안 자망에서 채집된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 48 (48): 415-427, 2012

      13 박해훈, "동해 심해 트롤 어획물의 어획실태와 종조성" 한국어업기술학회 43 (43): 183-191, 2007

      14 손명호, "동해 심해 생태계의 수심별 종조성 및 계절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 46 (46): 376-391, 2010

      15 최영민, "동해 강원연안 홍가자미(Hippoglossoides dubius)의 성숙과 산란" 한국수산과학회 46 (46): 835-842, 2013

      16 이해원, "독도 주변해역에서 삼중자망으로 어획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한국수산과학회 43 (43): 693-704, 2010

      17 손명호, "강원 연안에서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물의 종조성 및 분포특성" 한국수산과학회 47 (47): 945-959, 2014

      18 Shannon CE,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 Univ Press Urbana 125-, 1964

      19 Hwang S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trammel net off Heunghae, Korea" 30 : 105-113, 1997

      20 NFRDI, "Korean coastal and offshore fishery census" Gangwon Province 199-, 2010

      21 NFRDI, "Korean coastal and offshore fishery census" Gyeongbuk Province and Ulsan City 327-, 2010

      22 Kim IS,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2005

      23 Park JH, "Fishing conditions in the East Sea, 2012" ESFRI Gangneung 324-, 2012

      24 Prado J, "Fisherman's workbook" 192-, 1990

      25 Froses R, "Fishbase. World Wide Web electronic publication"

      26 Kim YS, "Fish fauna in the East Sea. In: Son YM (ed.), Current and preservation of Korean fishes" 5-36, 2003

      27 박정호, "First Record of a Snailfish, Careproctus colletti (Scorpaeniformes: Liparidae) from the East Sea, Korea" 한국어류학회 25 (25): 46-49, 2013

      28 박정호, "First Record of a Poacher, Aspidophoroides monopterygius (Scorpaeniformes: Agonidae) from the East Sea, Korea" 한국어류학회 26 (26): 345-348, 2014

      29 Choi YM, "Final Report on the Research of FisheriesResources by Trammel Net in Gangwon Province" 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93-, 2012

      30 NFRDI, "Ecology and fishing ground of fisheries resources in Korean waters, 5th ed" Yemunsa 405-, 2010

      31 이대재, "ECDIS에 의한 외끌이 기선저인망 어선의 투양망 조업 과정의 실시간 모니터링" 한국어업기술학회 43 (43): 347-354, 2007

      32 Choi KH,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Japan) Sea" 281-290, 2008

      33 Gong Y, "Climate change and marine ecosystem" Academy Book 278-, 2010

      34 Bray JR,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27 : 325-349, 1957

      35 Shin JK, "A model experiment on the sheering efficiency of danish seine net" 24 : 22-29, 1988

      36 이태원, "2002년 동해 울진과 후포 연안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 23 (23): 187-19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9-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수산학회 -> 한국수산과학회
      영문명 :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KCI등재
      2009-07-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수산학회지 -> 한국수산과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5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