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하천의 장기 지형변화 고찰 및 하상변동 모의 = Long-term Riverbed Change Simulation and Analisys in the Riv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425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천의 흐름 특성과 더불어 하상 변동을 연계하여 분석하는 일은 하천관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하다. 상류에 건설되는 신규댐 등 다양한 목적의 수공구조물이 계획될 때 하류 ...

      하천의 흐름 특성과 더불어 하상 변동을 연계하여 분석하는 일은 하천관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하다. 상류에 건설되는 신규댐 등 다양한 목적의 수공구조물이 계획될 때 하류 하천의 하상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향후 하천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보존, 관리하는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성천을 적용 대상으로 항공사진 등을 활용한 하천의 장기적인 지형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1차원 수치모형인 GSTARS를 적용하여 주요지점의 하상변동 영향을 분석하였다. 장기적인 지형변화 양상을 바탕으로 댐이 건설된 후 내성천의 관리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ying to estimate variations of the riverbed is basic and important for river management. When new dam constructed in upstream and a structure were planned, impact of the riverbed changes in downstream should be considered for stably maintained and s...

      Trying to estimate variations of the riverbed is basic and important for river management. When new dam constructed in upstream and a structure were planned, impact of the riverbed changes in downstream should be considered for stably maintained and sustained rivers in the future. In this study, long-term riverbed changes analyzed using aerial photographs in Naeseongcheon. Also applying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GSTARS analyzed the effects of bed deformation in critical points. Based on Changing Patterns of long-term riverbed, it is possible that after the dam was built, to explore how to manage Naeseongche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