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고의 교수학습 질 분석:계층이 다른 평준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 Equalization policy and educational q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19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In this paper, I discuss in what ways schooling is influenced by social class and to what extent there are differences in terms of quality of education of schools located in the same city where equalization policy is applied. The data was collected for the case study in 2005, which is part of project to evaluate the equalization policy(Ⅲ)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 discuss how teachers expect students at each, how the lessons are taught, how individual differences are considered, how the evaluation is being made, and how the teachers mak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essons.
      The most general type of school lesson is teacher-based lecture type lesson. Even though the grades, social classes, and interests of the students are prominently unlike, the “interesting lessons”, “lessons to learn from”, and “well-taught lessons” have some features in common. Students are concentrated, and are satisfied during lessons when the teachers trust the learning ability of all students, explain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so that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give opportunities to solve the problems by themselves, create a learning atmosphere in which students can easily get help from the teacher or other students, systemize checking the students’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understand, and are highly humorous.
      Even these lessons are not enough to regard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students. The lack of consideration towards individual difference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that made students dependent on private institutes or private tutors. In order to level up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vercome uniform educational culture and develop an educational culture that respects and regards each individual and pursues ease all together.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physically separate the space of students to respect and regard individuals. We can see that it is possible to be satisfied with the lesson quality studying both together and separately in the same space is from the examples of so called “lessons to learn from” and “good lessons”.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discuss in what ways schooling is influenced by social class and to what extent there are differences in terms of quality of education of schools located in the same city where equalization policy is applied. The data was collected fo...

      In this paper, I discuss in what ways schooling is influenced by social class and to what extent there are differences in terms of quality of education of schools located in the same city where equalization policy is applied. The data was collected for the case study in 2005, which is part of project to evaluate the equalization policy(Ⅲ)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 discuss how teachers expect students at each, how the lessons are taught, how individual differences are considered, how the evaluation is being made, and how the teachers mak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essons.
      The most general type of school lesson is teacher-based lecture type lesson. Even though the grades, social classes, and interests of the students are prominently unlike, the “interesting lessons”, “lessons to learn from”, and “well-taught lessons” have some features in common. Students are concentrated, and are satisfied during lessons when the teachers trust the learning ability of all students, explain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so that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give opportunities to solve the problems by themselves, create a learning atmosphere in which students can easily get help from the teacher or other students, systemize checking the students’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understand, and are highly humorous.
      Even these lessons are not enough to regard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students. The lack of consideration towards individual difference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that made students dependent on private institutes or private tutors. In order to level up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vercome uniform educational culture and develop an educational culture that respects and regards each individual and pursues ease all together.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physically separate the space of students to respect and regard individuals. We can see that it is possible to be satisfied with the lesson quality studying both together and separately in the same space is from the examples of so called “lessons to learn from” and “good less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이 연구는 평준화 지역에 있는 계층이 다른 세 고교를 대상으로 교수학습과정의 질을 분석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의 질 분석은 학생에 대한 기대, 강의형태, 학생 참여 및 집중도, 개인차 배려정도, 고차적 사고력 함양 여부, 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계층별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논의하였다. 교사들이 기대하는 학생들의 학력은 계층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진도 나가기라는 교사노동과도 관련을 보였다. 일반적인 강의형태는 계층의 차이 없이 강의식 수업이었다. 학생들이 “배울만한 수업” 이라고 하는 것은 계층이나 성적과 무관하게 모든 학생들의 학습가능성을 믿고 학생과의 교감이 높으며, 기본 개념이나 원리를 쉽게 설명하고, 사고력을 높이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수업도 개인차의 반영이라는 점에서는 미약했으며, 이는 학생들이 사교육에 의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중상위층 학생과 학부모들은 입시중심의 수업방식을 요구하고 교사의 평가에 잦은 이의를 제기하였는데, 이는 교사들의 교수학습 질 개선 노력을 위축시켰다. 교수학습의 질 개선은 교사의 노력만이 아니라 대입 등에서 바람직한 지식과 평가 체계에 대한 변화가 수반되어야 함을 시사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평준화 지역에 있는 계층이 다른 세 고교를 대상으로 교수학습과정의 질을 분석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의 질 분석은 학생에 대한 기대, 강의형태, 학생 참여 및 집중도, 개인차 배려...

      이 연구는 평준화 지역에 있는 계층이 다른 세 고교를 대상으로 교수학습과정의 질을 분석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의 질 분석은 학생에 대한 기대, 강의형태, 학생 참여 및 집중도, 개인차 배려정도, 고차적 사고력 함양 여부, 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계층별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논의하였다. 교사들이 기대하는 학생들의 학력은 계층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진도 나가기라는 교사노동과도 관련을 보였다. 일반적인 강의형태는 계층의 차이 없이 강의식 수업이었다. 학생들이 “배울만한 수업” 이라고 하는 것은 계층이나 성적과 무관하게 모든 학생들의 학습가능성을 믿고 학생과의 교감이 높으며, 기본 개념이나 원리를 쉽게 설명하고, 사고력을 높이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수업도 개인차의 반영이라는 점에서는 미약했으며, 이는 학생들이 사교육에 의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중상위층 학생과 학부모들은 입시중심의 수업방식을 요구하고 교사의 평가에 잦은 이의를 제기하였는데, 이는 교사들의 교수학습 질 개선 노력을 위축시켰다. 교수학습의 질 개선은 교사의 노력만이 아니라 대입 등에서 바람직한 지식과 평가 체계에 대한 변화가 수반되어야 함을 시사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양분, "학교교육 수준 및 실태분석 연구: 고등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03

      2 이인효, "인문계고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서울대학교 1990

      3 김정원, "수업 내 교사의 아동 분류와 그 의미" 9 (9): 65-95, 1999

      4 윤종혁,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Ⅱ" 한국교육개발원 2004

      5 Mottimore, P, "School matters: The junior years" Open University Books 1988

      6 Bourdieu, P, "Reproduction in education, society and culture" Sage 1977

      7 Quinne,W.G, "Polarized cultures in comprehensive schools. Research in Education" 9-25, 1974

      8 Rist,R.C, "On understanding the processes of schooling: The contributions of the labelling theory, Power and ideology in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9 Keddie,N, "Knowledge and control: New directions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Collier-Macmillan 1971

      10 Sammons, P, "Key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schools: A review of school effectiveness research, Perspectives on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The Institute of Ed 1997

      1 김양분, "학교교육 수준 및 실태분석 연구: 고등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03

      2 이인효, "인문계고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서울대학교 1990

      3 김정원, "수업 내 교사의 아동 분류와 그 의미" 9 (9): 65-95, 1999

      4 윤종혁,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Ⅱ" 한국교육개발원 2004

      5 Mottimore, P, "School matters: The junior years" Open University Books 1988

      6 Bourdieu, P, "Reproduction in education, society and culture" Sage 1977

      7 Quinne,W.G, "Polarized cultures in comprehensive schools. Research in Education" 9-25, 1974

      8 Rist,R.C, "On understanding the processes of schooling: The contributions of the labelling theory, Power and ideology in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9 Keddie,N, "Knowledge and control: New directions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Collier-Macmillan 1971

      10 Sammons, P, "Key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schools: A review of school effectiveness research, Perspectives on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The Institute of Ed 1997

      11 Furlong,V, "Interaction sets in the classroom: towards a study of pupil knowledge, Explorations in classroom observation" John Willey 1976

      12 Apple,M.W, "Cultural politics and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6

      13 McNeil,L, "Contradictions of control: school structure and school knowledge" Routledge 1986

      14 Bernstein,B, "Class, codes and control vol 3" Routledge and Kegan Paul 19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8-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6 2.66 2.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34 3.32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