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환경의식유형과 친환경소비에 관한 연구 -한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Awareness Types and Eco-FriendlyConsumption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79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환경관련문헌들을 고찰하여 기존연구에서 다루어지는 다양한 주제의 환경의식들을 다섯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이들 환경의식 변수군들이 소비자들의 친환경적/비환경적 소비행...

      본 연구는 환경관련문헌들을 고찰하여 기존연구에서 다루어지는 다양한 주제의 환경의식들을 다섯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이들 환경의식 변수군들이 소비자들의 친환경적/비환경적 소비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가 환경정책 결정자들에게 국민들을 친환경적 소비자로 유도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조사대상은 설문지의 난이도와 이해정도를 고려하여 약 300여명의 한국 대학생들로 선정하였다. 조사방법은 훈련받은 설문조사자를 파견하여 개인면접방식을 실시하여 이들의 환경의식과 소비행위과정에서 나타나는 환경적 소비를 질문하고 계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된 설문조사를 통해 310명분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통계도구에 따라 다르지만 300부 정도가 주요 분석과 모형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에서 응답자들이 가지는 환경적 소비행태와 더불어 일반적으로 가지는 환경관련의식은 (1) 실천, (2) 습관, (3)인식, (4) 관심, 그리고 (5) 주장 등의 다섯가지 유형으로 나뉘었고, 이들 유형을 통계변수군으로 설정하여 인구통계변수와 함께 기초분석과 분석모형 도출에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의 환경의식에서 환경에 관한 주장성향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천정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친/비환경적 소비자들은 다섯가지 환경의식유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나타났으나, 연구모형에서는 인식이나 주장보다 실천, 습관, 관심 등의 환경의식이 유의한 변수로 도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types of environmental awareness as an eco-friendly/non-eco consumer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of research were collected by a survey questionnaire with face-to-face interv...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types of environmental awareness as an eco-friendly/non-eco consumer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of research were collected by a survey questionnaire with face-to-face interviews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fifty-six variables with five questions of demographic factors. The variables employed in the survey were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suggested by the focus group to make the questionnaire influential in studying the trends of eco-friendly consumers. Descriptive statistic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were used by two groups of the student consumer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each factors; practice, habit, recognition, concern, and insistence. Environment-friendly consumer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n eco-friendly consumers including practice, habit, and concern toward environmental issu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상진, "환경의식과 환경행동의 사회적 기반" 2 : 141-158, 2002

      2 조윤애, "환경의식 척도와 인구학적 변수의 영향" 한국환경정책학회 13 (13): 39-69, 2005

      3 신강균, "환경의식 수준에 따른 소비자의 유형구분과 의식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3 (3): 88-107, 2001

      4 신상헌, "환경 학습효과와 환경의식 및 행위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11 (11): 71-82, 2003

      5 구도완, "한국인의 환경의식과 환경주의 가치" 128-133, 1999

      6 홍임순, "한국과 독일 학생들의 환경의식 비교 연구" 5 : 57-61, 1993

      7 김지숙, "학교 숲을 활용한 체험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의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 269-272, 2004

      8 이현애, "지역환경문제 참여를 통한 환경의식 변화와 지역공동체 형성" 한국환경교육학회 17 (17): 94-105, 2004

      9 전영표, "지방화시대의 환경의식과 규제방안" 30 (30): 159-175, 1996

      10 정철, "중학생의 환경세계관과 환경의식" 한국환경교육학회 17 (17): 122-132, 2004

      1 한상진, "환경의식과 환경행동의 사회적 기반" 2 : 141-158, 2002

      2 조윤애, "환경의식 척도와 인구학적 변수의 영향" 한국환경정책학회 13 (13): 39-69, 2005

      3 신강균, "환경의식 수준에 따른 소비자의 유형구분과 의식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3 (3): 88-107, 2001

      4 신상헌, "환경 학습효과와 환경의식 및 행위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11 (11): 71-82, 2003

      5 구도완, "한국인의 환경의식과 환경주의 가치" 128-133, 1999

      6 홍임순, "한국과 독일 학생들의 환경의식 비교 연구" 5 : 57-61, 1993

      7 김지숙, "학교 숲을 활용한 체험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의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 269-272, 2004

      8 이현애, "지역환경문제 참여를 통한 환경의식 변화와 지역공동체 형성" 한국환경교육학회 17 (17): 94-105, 2004

      9 전영표, "지방화시대의 환경의식과 규제방안" 30 (30): 159-175, 1996

      10 정철, "중학생의 환경세계관과 환경의식" 한국환경교육학회 17 (17): 122-132, 2004

      11 이옥순, "중학생의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과 환경의식 및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49-60, 2005

      12 남상미,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의 환경의식에 관한 연구" 2 (2): 1991

      13 박윤철, "중국사회의 환경의식 대두와 환경운동단체의 조직화" 39 : 341-360, 2007

      14 이강자, "중 · 고등학생들의 환경의식과 환경보전을 위한 의생활행동" 10 (10): 1-16, 1998

      15 오상훈, "제주지역 중소규모 관광숙박업자의 환경의식과 경영실천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1 (21): 43-58, 2006

      16 노영래, "소비자의 환경의식· 재활용의식과 재활용행동에 관한 연구- 미혼취업여성의 사장의복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0 (40): 163-178, 2002

      17 이차옥, "소비자 환경의식에 관한 실증적 연구" 11 : 127-143, 1994

      18 서이종, "서평- 환경문제, 환경의식 그리고 대안의 모색"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251-264, 2006

      19 노정구, "생태적 마케팅과 환경의식적 소비자" 8 : 217-238, 1993

      20 최은진, "대학생소비자의 가치, 환경지식 및 환경관여도가 환경의식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문화학회 10 (10): 15-41, 2007

      21 김학봉, "국민학생의 환경의식 변화에 관한 연구" 3 (3): 385-385, 1993

      22 김경애, "광주시 가정과 교사의 환경의식과 환경지식 및 환경교육수행에 관한 연구" 12 (12): 93-104, 2000

      23 예경록, "거주환경에 따른 자연체험과 환경의식에 관한 연구" 32 (32): 387-388, 1997

      24 노정구, "개성, 태도, 환경의식적 소비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8 (8): 89-106, 2005

      25 Environment, "They Shall Inherit the Earth" 36 (36): 22-, 1994

      26 Bhate, S., "One World, One Environment, One Vision: Are We Close to Achieving This??An Exploratory Study of Consumer Environmental Behaviour Across Three Countries" 2 (2): 169-184, 2002

      27 Environmental Policy, "National Affairs: Right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33 (33): 232-233, 2003

      28 BioCycle., "Investing in the Green" 46 (46): 4-, 2005

      29 Chitra, K., "In Search of the Green Consumers: A Perceptual Study" 7 (7): 173-191, 2007

      30 Ruili, H., "Future Fashions" 47 (47): 35-39, 1998

      31 Clayton,R., "Friend to the Environment" 17 (17): 8-, 2002

      32 Pizzolatto, A.B., "Facing Society's Demand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Management in Practice" 12 (12): 441-447, 1993

      33 Bonnett, M.,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imary Children's Attitudes Towards Nature and the Environment" 28 (28): 159-174, 1998

      34 Wilensky, D., "Consumers Lack Awareness of Environmental Packaging" 35 (35): 41-42, 1995

      35 Kimenju, S.C., "Consumer Willingness to Pay for Genetically Modified Food in Kenya" 38 (38): 35-46,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03-02 통합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