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 여가 및 스포츠 시설 접근성 : 한국과 미국의 여가 및 스포츠 시설 관련 법률 비교 = Access to Recreational and Sports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Comparison of Leisure and Sports Facilities Law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과 국내의 장애인을 위한 여가 및 체육시설 관련법의 현황과 법위를 비교함으로서 국내 관련법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연구되어야 할 장애인 여가 및 체육시설의 관련연구와 ...

      본 연구는 미국과 국내의 장애인을 위한 여가 및 체육시설 관련법의 현황과 법위를 비교함으로서 국내 관련법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연구되어야 할 장애인 여가 및 체육시설의 관련연구와 제도 개선 및 법률제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장애인의 체육시설 접근 환경을 개선하고 여가 및 스포츠 참여를 보장하는 것은 장애인의 복지차원을 넘어 국가의 기본 의무이다. 모든 사람에게 여가와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것이고 그것은 법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장애인의 당연한 권리인 스포츠 참여를 유도하고 스포츠 시설에 접근성을 용이하게 만드는 첫 걸음은 올바른 법제정과 시행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특히, 미국의 ADA 장애인법과 더불어 발표된 장애인 여가 및 스포츠 시설 접근성을 다룬 마국 장애인법 접근성 표준 (ADA Standard Accessible Design) 알아보고, 국내 장애인 스포츠 시설에 관련 법률 규정들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suring recreation and sport participation by improving recreation and sport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a government duty that goes beyond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cess to services, programs, and facilities for people w...

      Ensuring recreation and sport participation by improving recreation and sport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a government duty that goes beyond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cess to services, programs, and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essential, and must be guaranteed by law. It is believed that the first step to inducing participation in sports, a natural righ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making recreation and sports facilities accessible, is to enact and enforce the right legislation. This study diagnoses the status of laws related to leisure and sports facilities in Korea by comparing the purpose, scope, and legal areas of corresponding law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U.S. and Korea. The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s the ADA Standard Accessible Design, which deals with leisure and sports facility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 in the United States, and also identifies differences between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and enact related studies on recreation and sports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키움히어로즈 프로야구단"

      2 한국장애인개발원, "체육에서의 장애차별 예방 매뉴얼 연구" 보건복지부 2015

      3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관한 법률, 법률 제15767호"

      4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371호"

      5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차별금지법 대응 공공체육시설의 장애인편의시설 적정화를 위한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0

      6 보건복지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8980호"

      7 최윤희,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소고" 법학연구소 (35) : 367-393, 2016

      8 보건복지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344호"

      9 보건복지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5272호"

      10 유동철,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참여 -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217-239, 2011

      1 "키움히어로즈 프로야구단"

      2 한국장애인개발원, "체육에서의 장애차별 예방 매뉴얼 연구" 보건복지부 2015

      3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관한 법률, 법률 제15767호"

      4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371호"

      5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차별금지법 대응 공공체육시설의 장애인편의시설 적정화를 위한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0

      6 보건복지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8980호"

      7 최윤희,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소고" 법학연구소 (35) : 367-393, 2016

      8 보건복지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344호"

      9 보건복지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5272호"

      10 유동철,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참여 -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217-239, 2011

      11 보건복지부,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091호"

      12 보건복지부,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제29950호"

      13 김정현, "장애인 체육활동 차별 실태와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실효성 강화" 한국특수체육학회 27 (27): 29-39, 2019

      14 최승권, "장애인 체육 활동 차별 법령의 개정 방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109-119, 2003

      15 대한장애인체육회, "장애인 전용체육시설이용 활성화방안" 대한장애인체육회 2011

      16 박종태, "장애인 야구관람 문제없는 NC파크 마산구장"

      17 변용찬, "미국․영국․독일의 장애인차별금지법과시사점" 23-24, 2006

      18 한국야구위원회, "국내 프로야구 주요 경기장시설 및 환경보고서" 한국야구위원회 2011

      19 문화체육관광부, "공공체육시설의 정당한 장애인 편의 시설 설치를 위한 매뉴얼"

      20 국민체육진흥공단, "공공체육시설 장애인 이용권리보장 방안" 국민체육진흥공단 2018

      21 Nelson, G., "University reaches settlemts in Big House lawsuit. The Michigan Daily"

      22 "United States Access Board"

      23 Scott, N., "The 40th Anniversary of Deinstitutiona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Decreasing State Institutional Populations, 1967–2007" 46 : 402-405, 2008

      24 Southeast ADA Center, "New York Yankees and the City of New York agree to Settle"

      25 Ramirez, A., "City agree to improve Yankee Stadium access, briefly for disabled"

      26 Compliance Board,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ccessibility guidelines (ADAAG)" U. S. Access Board

      27 "American disabilities Act of 1990. Public Law No.101-336, 104 Stat. 328"

      28 United States Access Board, "About the U.S. Access Board"

      29 "ADA Standards for Accessible Design"

      30 "ADA Standard for Accessible Design"

      31 한국장애인개발원, "2017년도 장애인차별금지법 이행 모니터링 연구 보고서" 보건복지부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