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49:5-6; 시락서 36:10, 48:10 등은 흩어진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회복을 기대한다. 이러한 기대를 배경으로 예수의 열두 제자 임명은 이스라엘 열두 지파 회복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볼 수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38643
2021
Korean
열두 제자 ; 열두 지파 ; 이스라엘 ; 축귀 ; 선포 ; twelve disciples ; twelve tribes ; Israel ; exorcism ; proclamation
KCI등재
학술저널
73-110(3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사야 49:5-6; 시락서 36:10, 48:10 등은 흩어진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회복을 기대한다. 이러한 기대를 배경으로 예수의 열두 제자 임명은 이스라엘 열두 지파 회복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볼 수 있...
이사야 49:5-6; 시락서 36:10, 48:10 등은 흩어진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회복을 기대한다. 이러한 기대를 배경으로 예수의 열두 제자 임명은 이스라엘 열두 지파 회복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예수를 통해 회복되는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뜻을 행함을 통해 규정되기에(막 3:35),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이방인을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열두 제자 명단을 소개하는 마가복음 3:16-19는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대표 명단을 소개하는 민수기 1:4-15와 유사하다. 이러한 유사성을 바탕으로 열두 제자는 새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대표로 의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대표성은 시몬에게 주신 Πέτρος(돌)라는 이름에서도 암시된다. 이 이름은 이사야 51:1-2에서 πέτρα(반석)에 비유된 아브라함에서 떼어낸 바위(돌)에 비유된 이스라엘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열두 제자가 새 이스라엘과 관계되는 것은 그들이 하게 될 사역에서도 드러난다. 열두 제자가 하게 될 사역은 선포와 축귀이다(막 3:14-15). 선포사역에 관한 강조는 야고보와 요한에게 예수가 주신 “우레의 아들들”이라는 뜻의 아람어 별명을 마가가 Βοανηργές(“외침 사역자”)라고 그리스어로 음역함에서도 암시된다. 선포 사역을 맡은 제자들은 “회개하라”고 선포하게 되므로(막 6:12), 선포되는 핵심 내용은 예수의 선포의 경우에서 보듯이 회개하라는 선포와 함께 동반된 복음의 내용이었을 것이다(막 1:15). 그 내용은 사탄이 압제하는 시대가 끝이 나고 하나님의 통치 시대가 곧 시작된다는 약속이다. 축귀는 사탄이 지배하는 더러운 영들로부터(막 3:22, 26) 사람들을 해방하는 사역으로서(막 3:27) 이러한 선포의 참됨을 입증하는 증거이기에 복음 선포에 동반될 필요가 있었다. 열두 제자들이 선포하는 대로 하나님의 통치가 곧 시작된다면, 이러한 통치는 새로운 이스라엘을 통하여 구현되리라 기대될 수 있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sus’ nomination of the twelve disciples may have intended for fulfilling Jewish expectation of restoring the twelve tribes of Israel, reflected in Isaiah 49:5-6; Sirach 36:10; 48:10, etc. Jesus’ twelve disciples may have been nominated as leader...
Jesus’ nomination of the twelve disciples may have intended for fulfilling Jewish expectation of restoring the twelve tribes of Israel, reflected in Isaiah 49:5-6; Sirach 36:10; 48:10, etc. Jesus’ twelve disciples may have been nominated as leaders of the new twelve tribes. Their nomination seems to have intended to fulfill the Jewish expectation for twelve leaders of the twelve tribes (Testament of Judah 25:1-2). The similarity between Mark 3:16-19 (which mentions the names of the twelve disciples) and Numbers 14:4-15 (which mentions the twelve leaders of Israel) indicates that the twelve disciples were intended to be leaders of new Israel. The name ‘Petros’ (stone) given to Simon implies that Simon has a role as new Israel, on the basis of Isaiah 51:1-2 where Israel is compared to a stone hewn from Abraham the rock.
The tasks of the twelve are proclamation and exorcism (Mark 3:14-15). Jesus’ emphasis on proclamation is also reflected in the name ‘Boanerges’ (shout workers) given to James and John. Since their message was repentance (Mark 6:12) as Jesus’ message (Mark 1:15), its content may have been that the period of Satan has ended and the reign of God has come near. Exorcism, by expelling the demons (i.e. unclean spirits, Mark 7:25-26) who are under the control of Satan (Mark 3:22, 26), proves that Satan’s power has been demolished (Mark 3:27). As such exorcism, as liberation of captives from Satan to make new Israel, proves that the message is tru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현우,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 - 마가복음 1:14-15 연구 -"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13 (13): 380-404, 2014
2 최재덕, "역사적 예수와 이스라엘의 회복" 한국신약학회 17 (17): 485-527, 2010
3 신현우, "세례 요한과 새 출애굽 - 마가복음 1:4-8 주해-" 한국신약학회 20 (20): 61-95, 2013
4 강대훈, "마태복음 주석 상권" 부흥과개혁사 2019
5 신현우, "마가복음의 원문을 찾아서" 웨스트민스터출판부 2006
6 양용의, "마가복음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서유니온 2010
7 신현우, "마가복음 1:1의 본문 비평과 번역" (재)대한성서공회 성경원문연구소 (29) : 33-58, 2011
8 박윤만, "마가복음" 킹덤북스 2017
9 Marcus, J, "‘The Twelve Tribes in the Diaspora’ (James 1.1)" 60 : 433-447, 2014
10 Martin, R. P, "WBC 48" Word Books 1988
1 신현우,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 - 마가복음 1:14-15 연구 -"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13 (13): 380-404, 2014
2 최재덕, "역사적 예수와 이스라엘의 회복" 한국신약학회 17 (17): 485-527, 2010
3 신현우, "세례 요한과 새 출애굽 - 마가복음 1:4-8 주해-" 한국신약학회 20 (20): 61-95, 2013
4 강대훈, "마태복음 주석 상권" 부흥과개혁사 2019
5 신현우, "마가복음의 원문을 찾아서" 웨스트민스터출판부 2006
6 양용의, "마가복음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서유니온 2010
7 신현우, "마가복음 1:1의 본문 비평과 번역" (재)대한성서공회 성경원문연구소 (29) : 33-58, 2011
8 박윤만, "마가복음" 킹덤북스 2017
9 Marcus, J, "‘The Twelve Tribes in the Diaspora’ (James 1.1)" 60 : 433-447, 2014
10 Martin, R. P, "WBC 48" Word Books 1988
11 Guelich, R. A, "WBC 34A" Word Books 1989
12 Hagner, D. A, "WBC 33A" Word Books 1993
13 Cotter, A C, "Tu es Petrus" 4 : 304-310, 1942
14 Kee, H. C, "The Old Testament Pseudepigrapha. vol. 1" Doubleday 775-828, 1983
15 Boring, M. E, "The New Testament Library" Westminster John Knox 2006
16 Shin, Hyeon Woo, "The Historic Present as a Discourse Marker and Textual Criticism in Mark" 63 : 39-51, 2012
17 Keener, C. S, "The Gospel of Matthew" Eerdmans 1999
18 Witherington III, Ben, "The Gospel of Mark" Eerdmans 2001
19 Hooker, M. D, "The Gospel According to Saint Mark" A. & C. Black 1991
20 Lane, W,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Eerdmans 1974
21 Edwards, J. R,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Eerdmans 2002
22 Wallace, D. B, "The Basics of New Testament Syntax" Zondervan 2000
23 Marcus, J, "The Anchor Bible" Doubleday 2000
24 Osborne, Grant R, "Teach the Text Commentary Series" Baker Books 2014
25 Bock, D. Mark, "New Cambridge Bible Comment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26 Hurtado, L. W, "NIBC" Hendrickson 1983
27 Buth, R, "Mark 3:17 ΒΟΝΕΡΕΓΕΜ and Popular Etymology" 10 : 29-33, 1981
28 Collins, A. Y, "Mark" Fortress 2007
29 Bauckham, R, "Jesus and the Eyewitness Testimony" Eerdmans 2006
30 Strauss, Mark L,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Zondervan 2014
31 Lampe, Peter, "Das Spiel mit dem Petrusnamen Matt. XVI. 18" 25 : 227-245, 1979
마태복음에 나타난 묵시적인 의식과 역사적인 의식의 신학적인 메카니즘에 대한 소고
마태복음의 의(δικαιοσύνη)와 『중용』의 성(性)에 관한 고찰 - 존재의 실천원리로서 의와 성
고린도전서의 적대자로서 원시영지주의의 가능성 탐구 - 파당의 사회적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바울의 신학적 전략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3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3 | 0.586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