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태복음의 의(δικαιοσύνη)와 『중용』의 성(性)에 관한 고찰 - 존재의 실천원리로서 의와 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86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기독교는 다른 제3세계 국가들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상황을 갖고 있다. 종교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보기 어렵지만, 전통 종교인 유교의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이 아주 이례적이다.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기독교와 유교 간의 소통을 위해 마태복음의 의(δικαιοσύνη)와 『중용』의 성(性)에 관련된 기본 개념과 구조를 살피고, 마태복음의 의 개념과 『중용』의 성 개념의 구조적 유사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 사회의 포용과 수용을 추구하기 위함이다. 연구는 마태복음의 의와 『중용』의 성 개념 간의 상호성에 기반하여, 의의 인식에서 실천으로의 전이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태복음의 핵심 단어 중에 하나가 의(δικαιοσύνη)인데 이 단어는 존재 자체와 존재자의 삶의 방식에 관련된 단어이다. 마태복음의 의(δικαιοσύνη)와 중용의 성(性)은 인간의 자기이해를 위한 근원적 요소이며 동시에 자기이해에 따른 삶을 살아내기 위한 힘이다. 한국 기독교는 유교적 배경 속에서 수용되었기에 한국 기독교의 실천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마태복음의 의와 성 개념의 상호성을 고찰하는 것은 중요하다. 의와 성은 근원적 개념이면서 동시에 실천적 동력이다. 이 연구를 통해 외래종교인 기독교가 수용과 포용의 방법을 찾고, 기독교인들의 인식변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한국 기독교는 다른 제3세계 국가들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상황을 갖고 있다. 종교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보기 어렵지만, 전통 종교인 유교의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이 아주 이례적이다. ...

      한국 기독교는 다른 제3세계 국가들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상황을 갖고 있다. 종교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보기 어렵지만, 전통 종교인 유교의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이 아주 이례적이다.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기독교와 유교 간의 소통을 위해 마태복음의 의(δικαιοσύνη)와 『중용』의 성(性)에 관련된 기본 개념과 구조를 살피고, 마태복음의 의 개념과 『중용』의 성 개념의 구조적 유사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 사회의 포용과 수용을 추구하기 위함이다. 연구는 마태복음의 의와 『중용』의 성 개념 간의 상호성에 기반하여, 의의 인식에서 실천으로의 전이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태복음의 핵심 단어 중에 하나가 의(δικαιοσύνη)인데 이 단어는 존재 자체와 존재자의 삶의 방식에 관련된 단어이다. 마태복음의 의(δικαιοσύνη)와 중용의 성(性)은 인간의 자기이해를 위한 근원적 요소이며 동시에 자기이해에 따른 삶을 살아내기 위한 힘이다. 한국 기독교는 유교적 배경 속에서 수용되었기에 한국 기독교의 실천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마태복음의 의와 성 개념의 상호성을 고찰하는 것은 중요하다. 의와 성은 근원적 개념이면서 동시에 실천적 동력이다. 이 연구를 통해 외래종교인 기독교가 수용과 포용의 방법을 찾고, 기독교인들의 인식변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Christianity has a unique situation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third world countrie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see rapid changes in the religious environment, it is very unusual that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a traditional religion, is very large. In this context, in order to communicat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concepts and structures related to the righteousness (δικαιοσύνη) of Matthew’s Gospel and the human nature (性) of Chung Yung (『中庸』) and then attempts to analyze the structural similarity of the concept of the human nature (性) and the righteousness.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recognition of the righteousness to practice, based on the reciprocity between the concept of righteousness and human nature (性). One of the key words of Matthew’s Gospel is righteousness (δικαιοσύνη), which is a word related to being and the way of life of being. The righteousness (δικαιοσύνη) of Matthew’s Gospel and the human nature (性) of Chung Yung are fundamental elements for human self-understan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ower to live a life based on self-understanding. Since Korean Christianity has been accepted in the context of Confucianism,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mutuality of the concept of the righteousness and the human nature (性)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actical issues of Korean Christianity.
      번역하기

      Korean Christianity has a unique situation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third world countrie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see rapid changes in the religious environment, it is very unusual that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a traditional religion, ...

      Korean Christianity has a unique situation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third world countrie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see rapid changes in the religious environment, it is very unusual that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a traditional religion, is very large. In this context, in order to communicat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concepts and structures related to the righteousness (δικαιοσύνη) of Matthew’s Gospel and the human nature (性) of Chung Yung (『中庸』) and then attempts to analyze the structural similarity of the concept of the human nature (性) and the righteousness.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recognition of the righteousness to practice, based on the reciprocity between the concept of righteousness and human nature (性). One of the key words of Matthew’s Gospel is righteousness (δικαιοσύνη), which is a word related to being and the way of life of being. The righteousness (δικαιοσύνη) of Matthew’s Gospel and the human nature (性) of Chung Yung are fundamental elements for human self-understan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ower to live a life based on self-understanding. Since Korean Christianity has been accepted in the context of Confucianism,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mutuality of the concept of the righteousness and the human nature (性)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actical issues of Korean Christia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중용』의 성: 존재와 실천
      • Ⅲ. 마태복음의 의: 존재와 실천
      • Ⅳ. 보다 나은 의
      • 초록
      • Ⅰ. 서론
      • Ⅱ. 『중용』의 성: 존재와 실천
      • Ⅲ. 마태복음의 의: 존재와 실천
      • Ⅳ. 보다 나은 의
      • Ⅴ. 제자도
      • Ⅵ. 결론
      • 참조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헌규, "형이상학과 중용" 동양고전학회 (52) : 7-31, 2013

      2 금장태, "한국 유교의 이해" 민족문화사 1989

      3 배재욱, "쿰란 공동체의 의(義) 사상 연구" 신학사상연구소 (129) : 91-122, 2005

      4 장승구, "중용의 덕과 합리성" 청계 2004

      5 박노식, "중용 개념을 통한 문화인류학적 상호텍스트성의 해석학적 차원에서 복음서 연구Ⅰ — 복음서와 <중용>의 초월적 내재 —" 온지학회 (54) : 269-301, 2018

      6 박노식, "중용 개념을 통한 문화인류학적 상호텍스트성의 해석학적 차원에서 복음서 연구 II: 존재의 실천원리로써 『중용』의 성(誠)과 복음서의 제자도" 동양고전연구소 (40) : 79-110, 2019

      7 황경선, "존재론적 관점으로 본 『중용中庸』의 중中 개념" 중앙철학연구소 55 : 1-30, 2019

      8 배재욱, "정의에 대한 그리스도론적 고찰" 41 : 39-59, 2014

      9 차정식, "인간의 ‘정의’로 성육한 하나님의 ‘의’: 복음서의 예수를 중심으로" 1 : 33-51, 2008

      10 배요한, "이퇴계와 이수정의 종교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 유교와 한국 개신교의 내적 연계성에 대한 고찰"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5 (45): 233-258, 2013

      1 임헌규, "형이상학과 중용" 동양고전학회 (52) : 7-31, 2013

      2 금장태, "한국 유교의 이해" 민족문화사 1989

      3 배재욱, "쿰란 공동체의 의(義) 사상 연구" 신학사상연구소 (129) : 91-122, 2005

      4 장승구, "중용의 덕과 합리성" 청계 2004

      5 박노식, "중용 개념을 통한 문화인류학적 상호텍스트성의 해석학적 차원에서 복음서 연구Ⅰ — 복음서와 <중용>의 초월적 내재 —" 온지학회 (54) : 269-301, 2018

      6 박노식, "중용 개념을 통한 문화인류학적 상호텍스트성의 해석학적 차원에서 복음서 연구 II: 존재의 실천원리로써 『중용』의 성(誠)과 복음서의 제자도" 동양고전연구소 (40) : 79-110, 2019

      7 황경선, "존재론적 관점으로 본 『중용中庸』의 중中 개념" 중앙철학연구소 55 : 1-30, 2019

      8 배재욱, "정의에 대한 그리스도론적 고찰" 41 : 39-59, 2014

      9 차정식, "인간의 ‘정의’로 성육한 하나님의 ‘의’: 복음서의 예수를 중심으로" 1 : 33-51, 2008

      10 배요한, "이퇴계와 이수정의 종교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 유교와 한국 개신교의 내적 연계성에 대한 고찰"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5 (45): 233-258, 2013

      11 금장태, "유교의 실천론적 체계: 중용, 성, 균평 개념을 중심으로" 22 : 1-23, 2003

      12 이정배, "유교와 기독교의 대화, 그 한국적 전개: 평가와 전망을 중심으로" 49 : 74-110, 2004

      13 Hays, Richard B, "신약의 윤리적 비전" IVP 2002

      14 최갑종, "소위 “‘예수’, ‘율법(토라)’, 그리고 ‘제자들’”-마태복음 5:17-20을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9 (19): 395-421, 2012

      15 안경순, "산상수훈의 ‘의’(義) 이해­ - ‘성’(誠)의 윤리적 실천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신약학회 22 (22): 339-366, 2015

      16 류대영, "복음적 유자(儒者): 김교신의 유교적-기독교적 정체성 이해" 한국기독교역사학회 (50) : 5-41, 2019

      17 배재욱, "바울의 하나님의 의 개념" 32 : 221-247, 2008

      18 이충범, "미셸 푸코의 자기 배려와 그리스도교 영성에 관한 고찰" 한신신학연구소 55 (55): 227-253, 2018

      19 김경진, "마태복음의 제자도 연구"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9 (9): 573-596, 2010

      20 차정식, "마태복음의 '하늘나라'와 신학적 상상력" 한국기독교학회 (46) : 57-88, 2006

      21 양용의, "마태복음과 토라" 한국신학정보연구원 5 (5): 37-79, 2011

      22 김형근, "마태복음 6:33의 ten dikaiosune autou 다시 보기 - 동사 제테오와 에피제테오의 용례를 중심으로 -"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13 (13): 7-31, 2014

      23 Hagner, D. A, "마태복음 1-13" 솔로몬 1999

      24 함석헌, "뜻으로 본 한국역사" 한길사 2003

      25 김석진, "대산 중용강의" 한길사 2004

      26 楊伯峻, "논어역주" 중화서국출판 2019

      27 차정식, "구원론 이전의 구원론" 한국기독교학회 (49) : 47-66, 2007

      28 윤성범, "誠의 신학" 서울문화사 1971

      29 Barth, G, "Tradition and Interpretation in Matthew" Westminster Press 58-164, 1963

      30 Garlington, Don, "The ‘Better Righteousness’: Matthew 5:20.”" 20 : 479-502, 2010

      31 Bets, Hans D, "The Sermon on the Mount including the Sermon on the Plain (Matthew 5:3-7:27 and Luke 6:20-49)" Fortress Press 1995

      32 Schweizer, E, "The Good News According to Matthew" John Knox Press 1975

      33 Burrows, Miller, "The Dead Sea Scrolls" Sedker & Warburg 1955

      34 Schrenk, Gottlob, "TDNT Vol. 2" Eerdmans Publishing Co 192-210, 1974

      35 Przybylski, Benno,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Monography Series 4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36 Viljoen, F. P, "Righteousness and Identity Formation in the Sermon on the Mount" 69 : 1-10, 2013

      37 Mohrlang, R, "Matthew and Paul: A Comparison of Eth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38 Ryu, Ho-Seung, "Jesus und Johannes der Täufer im Mätthausevangelium" Peter Lang 2006

      39 Charles, J. D, "Garnishing with the ‘Greater Righteousness’: The Disciple’s Relationship to the Law (Matthew 5:17-20)" 12 : 1-15, 2002

      40 Giesen, H, "Christliches Handeln: eine redaktionskritische Untersuchung zum Dikaiosyne-Begriff im Matthäus-Evangelium" Bern Lang 1982

      41 Reumann, John, "ABD Vol. 5" Doubleday 736-773, 1992

      42 Wilson, W. T, "A Third Form of Righteousness: The Theme and Contribution of Matthew 6.19-7.12 in the Sermon on the Mount" 53 : 303-324, 2007

      43 최흥식, "A Study of δικαιοσυνη in Matthew" 한국기독교학회 39 (39): 47-64,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8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