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서울대, 서강대, 한신대, 중국의 베이징대, 푸단대등 5개 대학의 종교학 관련 학과의 교육목표, 교과과정, 교수진, 졸업생의 진로 등을 중심으로 종교학 관련 학과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63621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5(35쪽)
1
※ KISS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서울대, 서강대, 한신대, 중국의 베이징대, 푸단대등 5개 대학의 종교학 관련 학과의 교육목표, 교과과정, 교수진, 졸업생의 진로 등을 중심으로 종교학 관련 학과의...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서울대, 서강대, 한신대, 중국의 베이징대, 푸단대등 5개 대학의 종교학 관련 학과의 교육목표, 교과과정, 교수진, 졸업생의 진로 등을 중심으로 종교학 관련 학과의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전반적으로 5개 대학의 종교학 관련 학과의 교육목표가 인문학으로서의 종교학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이나 종교전통을 중시한 교과과정의 편성 등에서 일정한 공통점을 찾을 수 있고, 대학별로 특성화된 교과과목 개설 등은 세계의 여러 대학 종교학과들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수 있다. 그렇지만 한국의 대학들에서는 교수진과 전공학생의 부족과 개설과목의 제한,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 등에 문제가 있으며, 중국의 경우 사회주의 체제 관련 교과과정의 편성, 종교학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강좌 및 교수진의 부족 등의 문제가 있다. 그렇지만 다양한 종교의 역사와 현실 등 주요종교전통에 대한 많은 연구 자료가 축적되어 있어 종교학 교육이 용이하고, 대학별로 특화된 교육 목표의 설정 등 두 나라의 종교학 관련 학과의 장점도 있는바, 양국 사이에서 학과 교류를 통해 발전적 방향을 모색할 여지가큼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인문학으로서의 종교학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노력이 양국에 모두 절실히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uts its purpose on the analysis of present situation of the department or a major of religious studies in universities of Korea and China. And I would think of the future for study of religion in two countries through its results. The obje...
This paper puts its purpose on the analysis of present situation of the department or a major of religious studies in universities of Korea and China. And I would think of the future for study of religion in two countries through its results. The objects of research are the aims of department establishment, courses of study, faculty, and career opportunities of graduates. There are five universities that this study concerns mainly: Seoul National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and Hanshin University in Korea, and Peking University and Pudan University in China.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the academic aims and courses of five universities that are oriented for humanities and place a great importance on understanding of religious traditions of the world, provided that two universities in China include a lot of subjects about Marxism and Chinese socialism. I could find that the study of religion in Korea and China already became the one of interdisciplinary fields from the academic concerns of faculties of the department or major of religious studies.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areer opportunities for graduates among Universities that they are recommended to go to graduate school or set a work place in the line of tourism, religious fields, cultural sectors, and etc. But two universities in China have a distinguishing remark in them. In China, working at a government organization is the most desirable job and that is probably because the Chinese government organization has departments that manage religious policies. The departments or majors of religious studies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have established the institutional frame and condi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 last three decades. But they are confronted by the reorganization of academics that in order to reform the universities, many students and professors need to cut down in number. In a word, the prospects of religious studies in universities are discouraging. So I suggest that the politics should establish policies for religious studies and the department of religious.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성민, "한중일 삼국의 종교정책 비교" 한국종교학회 (46집) : 37-77, 2007
2 "한신대학교 홈페이지"
3 "한신대학교 대학원 종교문화학과"
4 류성민, "한국 종교학계에서의 동아시아 연구 및 학술교류" 한국종교학회 (71) : 53-95, 2013
5 "푸단대학 철학학원 종교학전공"
6 "푸단대학 철학학원"
7 류성민, "중국종교학의 현재와 미래*― 중국의 종교정책과 종교연구 ―" 한국종교학회 통권 (통권): 61-97, 2007
8 "중국사회과학원 세계종교연구소 종교학술"
9 "중국 중공중앙통일전선공작부"
10 "중국 국가종교사무국"
1 류성민, "한중일 삼국의 종교정책 비교" 한국종교학회 (46집) : 37-77, 2007
2 "한신대학교 홈페이지"
3 "한신대학교 대학원 종교문화학과"
4 류성민, "한국 종교학계에서의 동아시아 연구 및 학술교류" 한국종교학회 (71) : 53-95, 2013
5 "푸단대학 철학학원 종교학전공"
6 "푸단대학 철학학원"
7 류성민, "중국종교학의 현재와 미래*― 중국의 종교정책과 종교연구 ―" 한국종교학회 통권 (통권): 61-97, 2007
8 "중국사회과학원 세계종교연구소 종교학술"
9 "중국 중공중앙통일전선공작부"
10 "중국 국가종교사무국"
11 윤이흠, "종교학과의 교육현황과 전망" 62 : 1993
12 에릭 샤프, "종교학 : 그 연구의 역사" 한울 1986
13 류성민, "세계 종교학계의 동향 분석과 한국에서의 발전적 수용방안 연구" 18 : 1999
14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
1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
16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17 서울대학교 60년사 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60년사" 서울대학교 2006
18 "서강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19 "서강대학교 국제인문학부 종교학전공"
20 "서강대학교 국제인문학부"
21 "베이징대학 입학처"
22 "베이징대학 哲学系․宗敎学系"
23 中國政府敎育部, "普通高等学校本科专业目录" 敎育部 2012
24 敎育部, "普通高等学校本科专业目录" 敎育部 2012
25 任繼愈, "宗敎辭典" 上海辭書出版社 2009
26 張志剛, "宗敎硏究指要: 北京大學宗敎學文庫" 北京大學出版社 2005
27 中央統戰部, "宗敎知識講座" 華文出版社 2005
28 羅竹風, "宗敎學槪論" 華東師範大學出版部 2006
29 張志剛, "宗敎学是什麽?" 北京大學出版社 2002
30 卓新平, "中國宗敎學 30年(1978-2008)" 社會科學出版社 2008
31 中國宗敎學會秘書處, "中國宗敎學" 宗敎文化出版社 2003
32 Capps, Walter H., "Religious Studies: The Making of a Discipline" Fortress Press 1995
33 McLean Milton D., "Religious Studies in Public University"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67
한국적 탈식민주의 여성신학적 성서해석 -"간음한 여인"(요한 7,53-8,11)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1-01-01 | 평가 | 탈락(기타) (계속평가) | |
2021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6 | 0.26 | 0.3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3 | 0.683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