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의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0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의 잎과 줄기를 천연물배지로 발효미생물인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및 상황버섯균사체를 각각 최적조건으로 발효하여 3종의 가시오가피-버섯발효물인 가...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의 잎과 줄기를 천연물배지로 발효미생물인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및 상황버섯균사체를 각각 최적조건으로 발효하여 3종의 가시오가피-버섯발효물인 가시오가피 영지버섯균사체 발효물, 가시오가피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발효물, 가시오가피 상황버섯균사체 발효물을 얻었으며 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배양용 시험관과 실험실용 배양병을 사용하여 버섯균사체별 가시오가피의 천연배지로서 최적혼합비율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균사체,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및 상황버섯균사체의 가시오가피 줄기와 잎의 혼합비율을 각각 80:20, 50:50, 50:50으로 확립하였으며, 이 조건을 가지고 산업용 배양포트(2,000 mL)에서의 최적배양시간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균사체 14일,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40일, 상황버섯균사체 30일로 확립하였다. 상기와 같이 최적화된 조건으로 배양된 3종의 가시오가피버섯균사체 발효물들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 여과, 농축,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 추출분말인 열수추출물(FM-5111, FM-5121, FM-5131)과 70% 에탄올추출물(FM-5112, FM-5122, FM-5132)을 얻었다. 이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 추출분말의 eleutheroside B와 eleutheroside E를 분석한 결과, eleutheroside B는 FM-5111 0.050±0.003 mg/g, FM-5121 0.067±0.001 mg/g, FM-5131 0.026±0.001 mg/g, FM-5112 0.038±0.002 mg/g, FM-5122 0.053±0.005 mg/g, FM-5132 0.025±0.001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eleutheroside E는 FM-5111 0.052±0.014 mg/g, FM-5121 0.047±0.003 mg/g, FM-5131 0.078±0.003 mg/g, FM-5112 0.045±0.002 mg/g, FM-5122 0.040±0.002 mg/g, FM-5132 0.080±0.011 mg/g의 함량을 보였으며, β-glucan의 경우 FM-5111 4.47±0.14%, FM-5121 3.41±0.15%, FM-5131 4.15±0.06%, FM-5112 5.18±0.36%, FM-5122 3.74±0.40%, FM-5132 4.37±0.32%의 함량이 측정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ee mushroom mycelia, Ganoderma lucidum, Hericium erinaceum, and Phellinus linteus, were separately diluted with the natural culture media Acanthopanax senticosus. Solid-state fermentation was used to produce three different A. senticosus-fermented ...

      Three mushroom mycelia, Ganoderma lucidum, Hericium erinaceum, and Phellinus linteus, were separately diluted with the natural culture media Acanthopanax senticosus. Solid-state fermentation was used to produce three different A. senticosus-fermented mushroom mycelium groups: G. lucidum mycelia, H. erinaceum mycelia, and P. linteus mycelia. The resulting mycelia were analyzed to assess their efficacies as health functional foods. Optimized fermentation conditions wer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ensity and growth speed of mycelia in each A. senticosus- fermented mushroom mycelium group. The cultured mushroom mycelia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extracted using water and 70% ethanol. Extraction was followed by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freeze-drying to produce extract powder of A. senticosus-fermented mushroom mycelia: Water extracts (FM-5111, FM-5121, and FM-5131) and 70% ethanol extracts (FM-5112, FM-5122, and FM-5132). Analysis of extract powder of A. senticosus-fermented mushroom mycelia was performed using the maker compounds eleutheroside B and eleutheroside E. Analysis of β-glucan contents was performed by enzymatic proced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자훈, "탐라오갈피의 침출 중 유용성분의 변화"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166-172, 2005

      2 배형석, "차가버섯, 상황버섯 및 영지버섯 복합추출물 복용이 인체의 혈중 조혈모세포와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4 (24): 78-85, 2009

      3 오세인, "영지버섯(Ganoderma Iucidum Krast)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18 (18): 54-62, 2005

      4 정재현, "수삼을 기질로 한 담자균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조사포닌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7 (37): 67-72, 2005

      5 박성진, "발효더덕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983-988, 2009

      6 정용진, "노루궁뎅이 버섯 및 추출물의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0 (10): 560-564, 2003

      7 안희영, "곰팡이 발효 가시오가피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2 (22): 1704-1711, 2012

      8 Ovodov YS, "The glycosid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Ⅱ. The structure of eleutheroside A1, B1, C and D" 3 : 53-54, 1967

      9 Ovodov YS, "The glycosid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I. Isolation and some properties of eleutheroside B and E" 1 : 3-7, 1965

      10 Seo KW, "Subacute toxicity of G009, a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Ganoderma lucidum IY009" 11 : 261-271, 1996

      1 임자훈, "탐라오갈피의 침출 중 유용성분의 변화"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166-172, 2005

      2 배형석, "차가버섯, 상황버섯 및 영지버섯 복합추출물 복용이 인체의 혈중 조혈모세포와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4 (24): 78-85, 2009

      3 오세인, "영지버섯(Ganoderma Iucidum Krast)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18 (18): 54-62, 2005

      4 정재현, "수삼을 기질로 한 담자균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조사포닌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7 (37): 67-72, 2005

      5 박성진, "발효더덕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983-988, 2009

      6 정용진, "노루궁뎅이 버섯 및 추출물의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0 (10): 560-564, 2003

      7 안희영, "곰팡이 발효 가시오가피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2 (22): 1704-1711, 2012

      8 Ovodov YS, "The glycosid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Ⅱ. The structure of eleutheroside A1, B1, C and D" 3 : 53-54, 1967

      9 Ovodov YS, "The glycosid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I. Isolation and some properties of eleutheroside B and E" 1 : 3-7, 1965

      10 Seo KW, "Subacute toxicity of G009, a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Ganoderma lucidum IY009" 11 : 261-271, 1996

      11 Sung CK,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eleutherosides by plant tissue culture of Acanthopanax spp" 26 : 101-102, 1995

      12 Kim SW, "Studies on the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Ganoderma lucidum" 24 : 147-153, 1995

      13 Kim SH, "Studies on screening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from the fruiting body and mycelium of Elfvingia applanata" 26 : 331-337, 1998

      14 Elyakova LA, "Structure of lignan glycosides from Acanthopanax roots" 165 : 562-565, 1965

      15 Elyakova LA, "Sesamin and(-)sainine obtained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and their NMR spectra" 2 : 149-152, 1966

      16 Hwang KH,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y of edible mushrooms on dopamine β-hydroxylase" 29 : 194-197, 1997

      17 Kim YI, "Production of antihypertensive constituents from Ganoderma lucidum IY005 by fermentation using industrial wastes" 19 : 79-84, 1991

      18 Jwa CS, "Preparation of extract from Acanthopanax koreanum by extraction condition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s" 44 : 24-29, 2001

      19 Brekhman II,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 of glycosides from ginseng and Eleutherococcus" 32 : 46-51, 1969

      20 Brekhman II, "New substances of plant origin which increase nonspecific resistance" 9 : 419-430, 1969

      21 이신영, "Hericium erinaceum 액체배양의 최적화" 한국생물공학회 21 (21): 96-102, 2006

      22 Lee SY, "Fractiona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exo-polysaccharide by submerged cultivation of Ganoderma lucidum mycelium" 24 : 459-464, 1996

      23 McCleary BV, "Enzymic quantification of(1-3), (1-4)-D-glucan in barley and malt" 91 : 285-295, 1985

      24 Halstead BW, "Eleutherococcus senticosus Siberian ginseng" Oriental Healing Arts Institute 1-94, 1984

      25 Lee WT, "Distribution of Acanthopanax plant in Korea" 10 : 103-107, 1979

      26 Cho SM, "Chemical features and purific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from the fruit bodies of Agaricus blazei" 27 : 170-174, 1999

      27 Jwa CS, "Changes in eleutherosides contents of Acanthopanax koreanum by harvest time" 7 : 362-365, 2000

      28 McCleary BV, "Assay of malt-glucanase using azo barley glucan : an improved precipitant" 93 : 87-90, 1987

      29 Lee GD,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29 : 432-436, 1997

      30 Lee BW, "Anticancer activities of the extract from the mycelia of Coriolus versicolor" 30 : 702-708, 1998

      31 Yook CS, "A new forma of Acanthopanax species(I)" 7 : 179-190,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