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羅王陵의 風水的 特性 硏究 = 慶州歷史遺跡地區 新羅 朴氏 王陵을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42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주역사유적지구 남산지구 내 신라 박씨 왕릉의 지리적 입지환경을 현대 풍수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박씨 왕릉은 자연과 조화로운 풍수적 조건을 갖춘 지형에 배산임수의 풍수원리가 적용된 정서향의 묘좌유향(卯坐酉向)으로 확인된다. 풍수적 특성으로는 첫째, 경주오릉과 배동삼릉은 동일혈장 내 군집형(群集形) 왕릉으로서 그 특이성이 있다. 둘째, 형세론에 의하면 일성왕릉과 배동삼릉은 중급왕릉, 경주오릉과 지마왕릉은 보통급왕릉, 경애왕릉은 빈약한 하급왕릉으로 구분된다. 셋째, 자연 친화적인 장법(葬法)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신라 왕릉은 국가안위와 번영을 위해 왕궁과 인접한 곳에 조영함으로써 백성과 더불어 호국정신의 지주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신라 박씨 왕릉의 풍수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문화유산적 가치를 증대시키고, 풍수지리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는 등 문화유산 연구에 합리적인 방안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신라 박씨 왕릉의 풍수적 입지환경을 이해하는데 있어 좀 더 친근해 질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경주역사유적지구 남산지구 내 신라 박씨 왕릉의 지리적 입지환경을 현대 풍수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박씨 왕릉은 자연과 조화로운 풍수적 조건을 갖춘 지형에 배산임...

      본 연구는 경주역사유적지구 남산지구 내 신라 박씨 왕릉의 지리적 입지환경을 현대 풍수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박씨 왕릉은 자연과 조화로운 풍수적 조건을 갖춘 지형에 배산임수의 풍수원리가 적용된 정서향의 묘좌유향(卯坐酉向)으로 확인된다. 풍수적 특성으로는 첫째, 경주오릉과 배동삼릉은 동일혈장 내 군집형(群集形) 왕릉으로서 그 특이성이 있다. 둘째, 형세론에 의하면 일성왕릉과 배동삼릉은 중급왕릉, 경주오릉과 지마왕릉은 보통급왕릉, 경애왕릉은 빈약한 하급왕릉으로 구분된다. 셋째, 자연 친화적인 장법(葬法)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신라 왕릉은 국가안위와 번영을 위해 왕궁과 인접한 곳에 조영함으로써 백성과 더불어 호국정신의 지주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신라 박씨 왕릉의 풍수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문화유산적 가치를 증대시키고, 풍수지리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는 등 문화유산 연구에 합리적인 방안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신라 박씨 왕릉의 풍수적 입지환경을 이해하는데 있어 좀 더 친근해 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analysis based on modern Feng Shui of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of the Park’s royal tombs in the Namsan district within Gyeongju Historic Area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rk’s royal tombs belong to Myojwayuhyang(卯坐酉向), with a mountain in the back and water in the front, forming harmony with the nature.
      Regarding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First, Gyeongjuoreung (慶州五陵) and Baedongsamreung(拜洞三陵) have the characteristics as ‘cluster type’ royal tombs within Hyeoljang (穴場) of the same area. Second, according to the locational condition theory, Ilseongwangreung(逸聖王陵) and Baedongsamreung(拜洞三陵) are classified as middle class royal tombs; Gyeongjuoreung(慶州五陵) and Jimawangreung(祗摩王陵) as normal-level royal tombs; and Gyeongaewangreung(景哀王陵) as a low-class royal tomb. Third, the tombs were found to have used an environmentally-friendly burial method.
      Based on the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Silla royal tombs were built near the royal palace as a wish for national security and prosperity, acting as foundation of patriotism for the people.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value of the Park’s royal tombs of the Silla dynasty as cultural heritage by analyzing the Feng Shui characteristics, and provided academic basis for research on Feng Shui and cultural heritage. Also,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help better understand the location and environment of the Park’s royal tombs of the Silla dynasty based on theories of Feng Shui.
      번역하기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analysis based on modern Feng Shui of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of the Park’s royal tombs in the Namsan district within Gyeongju Historic Area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rk’s royal tombs belong to Myojwayuhy...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analysis based on modern Feng Shui of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of the Park’s royal tombs in the Namsan district within Gyeongju Historic Area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rk’s royal tombs belong to Myojwayuhyang(卯坐酉向), with a mountain in the back and water in the front, forming harmony with the nature.
      Regarding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First, Gyeongjuoreung (慶州五陵) and Baedongsamreung(拜洞三陵) have the characteristics as ‘cluster type’ royal tombs within Hyeoljang (穴場) of the same area. Second, according to the locational condition theory, Ilseongwangreung(逸聖王陵) and Baedongsamreung(拜洞三陵) are classified as middle class royal tombs; Gyeongjuoreung(慶州五陵) and Jimawangreung(祗摩王陵) as normal-level royal tombs; and Gyeongaewangreung(景哀王陵) as a low-class royal tomb. Third, the tombs were found to have used an environmentally-friendly burial method.
      Based on the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Silla royal tombs were built near the royal palace as a wish for national security and prosperity, acting as foundation of patriotism for the people.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value of the Park’s royal tombs of the Silla dynasty as cultural heritage by analyzing the Feng Shui characteristics, and provided academic basis for research on Feng Shui and cultural heritage. Also,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help better understand the location and environment of the Park’s royal tombs of the Silla dynasty based on theories of Feng Shu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신라 박씨 왕위의 계승과 박씨 왕릉의 풍수적 분석
      • Ⅲ. 경주역사유적지구 신라 박씨 왕릉의 풍수적 특성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신라 박씨 왕위의 계승과 박씨 왕릉의 풍수적 분석
      • Ⅲ. 경주역사유적지구 신라 박씨 왕릉의 풍수적 특성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영웅, "한반도의 자생 풍수원리 이론" 국립민속박물관 (17) : 71-90, 2005

      2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신라 왕조실록" 웅진지식하우스 2004

      3 최창조, "청오경․금낭경" 민음사 1994

      4 "청오경(靑烏經)"

      5 "지학(地學)"

      6 국토지리정보원, "지리정보 편"

      7 박대윤, "조선시대 국왕태봉의 풍수적 특성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2011

      8 "인저수지(人子須知)"

      9 "의룡경(疑龍經)"

      10 "위성지도"

      1 황영웅, "한반도의 자생 풍수원리 이론" 국립민속박물관 (17) : 71-90, 2005

      2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신라 왕조실록" 웅진지식하우스 2004

      3 최창조, "청오경․금낭경" 민음사 1994

      4 "청오경(靑烏經)"

      5 "지학(地學)"

      6 국토지리정보원, "지리정보 편"

      7 박대윤, "조선시대 국왕태봉의 풍수적 특성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2011

      8 "인저수지(人子須知)"

      9 "의룡경(疑龍經)"

      10 "위성지도"

      11 강인구, "신라오릉 측량조사보고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12 선석열, "신라 왕위계승 원리연구" 도서출판 혜안 2015

      13 강태호, "신라 왕릉의 입지와 풍수형국" 신라문화연구소 41 (41): 195-214, 2013

      14 이근직, "신라 왕릉의 기원과 변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6

      15 "설심부(雪心賦)"

      16 "삼국유사(三國遺事)"

      17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18 "삼국사기(三國史記)"

      19 "발미론(發微論)"

      20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편"

      21 "금낭경(錦囊經)"

      22 "감룡경(憾龍經)"

      23 황영웅, "風水原理講論" 동국비젼 2002

      24 박대윤, "朝鮮時代 國王胎峰의 風水的 特性 硏究"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9) : 227-259, 2012

      25 김복순, "新羅의 王陵" (4) : 97-123, 1995

      26 박일훈, "慶州 三陵 石室古墳: 傳新羅神德王陵" 국립중앙박물관 8 : 27-29, 1963

      27 서선계, "人子須知" 명문당 1992

      28 박대윤, "世界遺産 慶州 佛敎遺跡의 風水的 特性 硏究 - 石窟庵‧佛國寺‧皇龍寺址를 中心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101) : 247-287, 2016

      29 일연, "三國遺事" 민음사 2007

      30 김부식, "三國史記" 한길사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0.7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