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주민들이 자신의 역사적 경험을 민속화하고, 시간의 흐름 속에서 민속을 문화자본화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시도하였으며, 마을민속을 현대사회에서 유용한 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42153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5-99(3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주민들이 자신의 역사적 경험을 민속화하고, 시간의 흐름 속에서 민속을 문화자본화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시도하였으며, 마을민속을 현대사회에서 유용한 문...
이글은 주민들이 자신의 역사적 경험을 민속화하고, 시간의 흐름 속에서 민속을 문화자본화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시도하였으며, 마을민속을 현대사회에서 유용한 문화자산으로 재해석하고 지속하기 위해서 마을민속의 탈공간화 과정을 시도하는 모습을 살폈다.
주민들은 마을이 경험했었을 병자호란과 관련한 역사적 담론을 장승으로 형상화하고 의례화하면서 민속화 하였으며, 장승의 공간은 교통로 이정표로서의 기능으로 승화되었다. 또한 주민들은 장승과 장승제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산제사의 한 부분으로 매년 행제하면서 변화하는 마을 환경에 문화자본으로 활용하였다. 종국에는 주민이 감소하는 등의 마을환경의 변화 속에서 산제사와 장승제는 중단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주민들은 1990년대 중반부터 토박이 자녀들의 귀향 및 증가하는 외지인의 유입속에서 주민의 통합 및 심리적 안정감을 되찾기 위한 내부적 욕구와 함께 장승제에 대한 마을 외부의 많은 관심들에 부응하기 위해서 장승제를 복원하였다. 마을민속의 복원 및 유지는 마을의 내외부적 환경이 공조한 결과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외부적 환경이 오히려 더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민속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는 마을민속을 탈공간적 민속현상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이제 엄미리 장승제는 마을내부의 민속이라기보다는 외부의 영향과 함께 존재하는 문화자산으로 그 성격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that villagers’ strategies of Jangseung and Jangseung ritual attract to do folklorization adjacent Space in their lives and effort to keep the folklore through the despatialization from village to separate folklor...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that villagers’ strategies of Jangseung and Jangseung ritual attract to do folklorization adjacent Space in their lives and effort to keep the folklore through the despatialization from village to separate folklore.
The villagers shaped to Jangseung historical discourse of Byungja-horan(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occurred in 1636) and ritualized, and attempted to do folklorization historical space of Jangseung. And the space of Jangseung had used by road to passangers toward Hanyang capital of Chosen Daynasty and the villagers attemped to do folklorizaton function of Jangseung as milestone.
The villagers matain the Jangseung and have the Jangseung ritual. But the villagers tried to adopt Jangseung and Jangseung ritual in changing of village environment : the unites of village, the shape of Jangseung, ritual date, priests, taboos. Eventually San-jesa(ritual for mountain god) was suspended according to reduce the villagers.
But the villagers attempted to reconstruct Jangseung ritual when young villagers had increased in the village since the mid of 1990s. In the reconstruction of Jangseung ritual, both factors worked together. Internal factors were the desire to pursue the integr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residents according to the return of young villagers and the influx of foreigners increased. The external factors called for the reconstruction of Jangseung ritual with the attention of the folk scholars and the interest of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In practice, the reconstruction is more a function of the environment outside the village. In other words, the maintenance of the village folklore means that it has more influence on the outside space separated from the village.
Thus,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folklore changed the folklore of the village into the phenomenon of despatialization village folklore. Now,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 of Jangseung ritual in Eummi-ri is changed into a cultural capitalism that exists with the influence of outside rather than the folklore inside the villa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필영, "한말, 일제하의 서양인 기독교 선교사의 장승 이해" 한국역사민속학회 (2) : 162-176, 1992
2 장주근, "한국의 향토신앙" 을유문화사 1975
3 김태곤, "한국의 산촌민속Ⅱ-노적산 편" ㈜교문사 1995
4 김명자, "한국세시풍속 Ⅰ" 민속원 2005
5 이두현, "한국민속학논고" 학연사 40-41, 1984
6 이종철, "한국민속신앙의 탐구" 민속원 2009
7 김태곤, "한국민간신앙연구" 집문당 1983
8 이경화, "충남지역의 장승과 장승제의 실체와 특징 :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와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조병로, "조선시대 경기지역의 관방과 교통 연구" 국학자료원 2013
10 김태곤, "장승제의 실상" 연세대 동방학연구소 39 : 107-134, 1982
1 이필영, "한말, 일제하의 서양인 기독교 선교사의 장승 이해" 한국역사민속학회 (2) : 162-176, 1992
2 장주근, "한국의 향토신앙" 을유문화사 1975
3 김태곤, "한국의 산촌민속Ⅱ-노적산 편" ㈜교문사 1995
4 김명자, "한국세시풍속 Ⅰ" 민속원 2005
5 이두현, "한국민속학논고" 학연사 40-41, 1984
6 이종철, "한국민속신앙의 탐구" 민속원 2009
7 김태곤, "한국민간신앙연구" 집문당 1983
8 이경화, "충남지역의 장승과 장승제의 실체와 특징 :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와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조병로, "조선시대 경기지역의 관방과 교통 연구" 국학자료원 2013
10 김태곤, "장승제의 실상" 연세대 동방학연구소 39 : 107-134, 1982
11 황루시, "장승제" 평민사 1986
12 이종철, "장승의 현지유형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17 : 141-172, 1985
13 이종철, "장승의 문화적 의미와 상징" 한국역사민속학회 (2) : 145-161, 1992
14 송화섭, "장승의 기원과 출현배경" 한국역사민속학회 (18) : 35-68, 2004
15 김두하, "장승류의 명칭 고찰" 민속학회 19 : 55-137, 1986
16 김주호, "장승 전문제작자의 출현과 장승의 성격 변화 : 안동 하회마을 김종흥씨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7
17 이필영, "역사속의 민중과 민속" 이론과 실천 270-354, 1990
18 이종철, "역사속의 민중과 민속" 이론과 실천 355-385, 1990
19 김종대, "양평 성덕리의 당문서를 통해 본 마을신앙의 전승양상과 변화" 비교민속학회 (59) : 311-340, 2016
20 김두하, "벅수와 장승-법수와 장승의 자료와 해설" 집문당 1990
21 손진태, "민속학논고" 민학사 146-171, 1975
22 손진태, "민속학논고" 민학사 172-189, 1975
23 이광규, "문화인류학" 일조각 269-276, 1972
24 주채혁, "몽골다리강가 지역의 훈촐로와 제주도의 돌하르방에 대하여-답사보고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2) : 122-144, 1992
25 권혁희, "마을의례의 창출과 참여집단: 노량진 장승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47 (47): 247-298, 2014
26 김두하, "두창 장승고-이조시대의 두창대책과 장승" 한국민속학회 14 : 59-93, 1981
27 김두하, "두창 장승고 보충-아미산 지명고 추가" 민속학회 17 : 1-22, 1984
28 김두하, "노표장승 고찰" 민속학회 12 : 3-27, 1980
29 이종철, "남녘의 벅수" 김향문화재단 1990
30 김종혁, "광주시사 1" 광주시사편찬위원회 2010
31 광주시, "광주시사 1" 광주시사편찬위원회 140-, 2010
32 Colin Bell, "공동체 이론" 문학과 지성사 52-101, 1972
33 이기태, "경기도 장승문화" 민속원 2015
34 김진식, "1970년대 이후 장승의 전승과 변화양상"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3
35 이기태, "18세기 영월의 사회변동과 단종의 신격화 및 민속의 변화" 한국민속학회 62 : 207-246, 201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4 | 0.79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