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 역사 교사의 생태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 = Creating a curriculum to promote ‘ecological literacy’ of prospective history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54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le of education in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is becoming more important.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emerged reflecting on modern education, which had considered growth and development important. ‘ecological literacy’ is a methodology for embodying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t this time, the historical perspective helps to read the origins and change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 Recently,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ecological environment have also begun in history education. The premise of the discussion is ‘what role can history education play’ in growing students into ecological citizens and citizens with ecological competence.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emerging as an important topic for education and history educati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y curriculum for prospective history teachers" is needed. This article proposed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번역하기

      The role of education in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is becoming more important.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emerged reflecting on modern education, which had considered growth and development important. ‘ecological literacy’ is a met...

      The role of education in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is becoming more important.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emerged reflecting on modern education, which had considered growth and development important. ‘ecological literacy’ is a methodology for embodying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t this time, the historical perspective helps to read the origins and change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 Recently,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ecological environment have also begun in history education. The premise of the discussion is ‘what role can history education play’ in growing students into ecological citizens and citizens with ecological competence.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emerging as an important topic for education and history educati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y curriculum for prospective history teachers" is needed. This article proposed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후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위기에 대응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교육계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생태전환교육은 성장과 발전을 중요시해왔던 근대 교육을 반성하고 교육의 생태문명적 전환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이다. 생태 리터러시는 생태전환교육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이때 역사적 시선은 생태환경 문제의 기원과 변화의 과정을 읽어내어 그 본질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의 시선을 담기 위한 논의와 실천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 논의의 전제는 생태 시민, 생태적 역량을 지닌 시민으로서 학생의 자기 형성에 역사교육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이다. 생태환경이 교육 및 역사교육의 중요한 의제로 등장한 상황에서 예비 역사교사 양성 과정에서도 생태환경의 문제와 생태환경사를 다룰 필요가 있다. 본고는 사범대 역사과 교과교육과정 속에 생태환경사 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할 때 그 방향과 내용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기후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위기에 대응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교육계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생태전환교육은 성장과 발전을 중요시해왔던 근대 교육을 반성하고 교육의 생태문명적 전환...

      기후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위기에 대응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교육계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생태전환교육은 성장과 발전을 중요시해왔던 근대 교육을 반성하고 교육의 생태문명적 전환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이다. 생태 리터러시는 생태전환교육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이때 역사적 시선은 생태환경 문제의 기원과 변화의 과정을 읽어내어 그 본질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의 시선을 담기 위한 논의와 실천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 논의의 전제는 생태 시민, 생태적 역량을 지닌 시민으로서 학생의 자기 형성에 역사교육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이다. 생태환경이 교육 및 역사교육의 중요한 의제로 등장한 상황에서 예비 역사교사 양성 과정에서도 생태환경의 문제와 생태환경사를 다룰 필요가 있다. 본고는 사범대 역사과 교과교육과정 속에 생태환경사 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할 때 그 방향과 내용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효제, "탄소 사회의 종말" 21세기 북스 2020

      2 방지원,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적 접근의 의미" 한국역사교육학회 (44) : 143-188, 2022

      3 강문형, "생태환경의 시선을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말한다" 전국역사교사모임·역사교육연구소 2022

      4 김육훈, "생태환경사 수업을 위한 교재 구성 논의 시론" 22 : 13-15, 2022

      5 이상헌, "생태주의" 책세상 2011

      6 강화정, "생태전환교육과 인류세 그리고 역사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44) : 105-142, 2022

      7 서울시특별시교육청, "생태전환 교육 중장기(20~24) 발전 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2020

      8 박지원 ; 김회용, "생태리터러시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교육종합연구원 14 (14): 105-125, 2016

      9 고태우, "비상사태에 돌아보는 기후운동과 기후선언" 79 : 295-311, 2020

      10 이경무, "기후변화 시대의 시민교육" 한국문화사 13-41, 2021

      1 조효제, "탄소 사회의 종말" 21세기 북스 2020

      2 방지원,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적 접근의 의미" 한국역사교육학회 (44) : 143-188, 2022

      3 강문형, "생태환경의 시선을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말한다" 전국역사교사모임·역사교육연구소 2022

      4 김육훈, "생태환경사 수업을 위한 교재 구성 논의 시론" 22 : 13-15, 2022

      5 이상헌, "생태주의" 책세상 2011

      6 강화정, "생태전환교육과 인류세 그리고 역사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44) : 105-142, 2022

      7 서울시특별시교육청, "생태전환 교육 중장기(20~24) 발전 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2020

      8 박지원 ; 김회용, "생태리터러시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교육종합연구원 14 (14): 105-125, 2016

      9 고태우, "비상사태에 돌아보는 기후운동과 기후선언" 79 : 295-311, 2020

      10 이경무, "기후변화 시대의 시민교육" 한국문화사 13-41, 2021

      11 채효정, "교육의 생태적 전환과 기후 정의" 66 : 2021

      12 B. B. McBride, "Environmental literacy, ecological literacy, ecoliteracy" 4 (4): 1-20, 2013

      13 고태우, "1970년대 한국의 공해(公害) 상황과 재난 인식" 한림과학원 (28) : 7-52,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