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효제, "탄소 사회의 종말" 21세기 북스 2020
2 방지원,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적 접근의 의미" 한국역사교육학회 (44) : 143-188, 2022
3 강문형, "생태환경의 시선을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말한다" 전국역사교사모임·역사교육연구소 2022
4 김육훈, "생태환경사 수업을 위한 교재 구성 논의 시론" 22 : 13-15, 2022
5 이상헌, "생태주의" 책세상 2011
6 강화정, "생태전환교육과 인류세 그리고 역사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44) : 105-142, 2022
7 서울시특별시교육청, "생태전환 교육 중장기(20~24) 발전 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2020
8 박지원 ; 김회용, "생태리터러시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교육종합연구원 14 (14): 105-125, 2016
9 고태우, "비상사태에 돌아보는 기후운동과 기후선언" 79 : 295-311, 2020
10 이경무, "기후변화 시대의 시민교육" 한국문화사 13-41, 2021
1 조효제, "탄소 사회의 종말" 21세기 북스 2020
2 방지원,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적 접근의 의미" 한국역사교육학회 (44) : 143-188, 2022
3 강문형, "생태환경의 시선을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말한다" 전국역사교사모임·역사교육연구소 2022
4 김육훈, "생태환경사 수업을 위한 교재 구성 논의 시론" 22 : 13-15, 2022
5 이상헌, "생태주의" 책세상 2011
6 강화정, "생태전환교육과 인류세 그리고 역사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44) : 105-142, 2022
7 서울시특별시교육청, "생태전환 교육 중장기(20~24) 발전 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2020
8 박지원 ; 김회용, "생태리터러시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교육종합연구원 14 (14): 105-125, 2016
9 고태우, "비상사태에 돌아보는 기후운동과 기후선언" 79 : 295-311, 2020
10 이경무, "기후변화 시대의 시민교육" 한국문화사 13-41, 2021
11 채효정, "교육의 생태적 전환과 기후 정의" 66 : 2021
12 B. B. McBride, "Environmental literacy, ecological literacy, ecoliteracy" 4 (4): 1-20, 2013
13 고태우, "1970년대 한국의 공해(公害) 상황과 재난 인식" 한림과학원 (28) : 7-52,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