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간호사의 감성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99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대처방법, 정서조절이 감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함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3차 종합병원 간호사 27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법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대처방법, 정서조절의 변수가 간호사의 감성역량 정도에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를 기초로 간호사의 감성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능동적-행동적 대처 방식을 강화시키고, 남의 이야기를 잘 들어줄 수 있는 좋은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시키고, 자기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잘 통제, 표현할 줄 아는 능력 향상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대처방법, 정서조절이 감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함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3차 종합병원 간호사 273명...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대처방법, 정서조절이 감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함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3차 종합병원 간호사 27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법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대처방법, 정서조절의 변수가 간호사의 감성역량 정도에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를 기초로 간호사의 감성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능동적-행동적 대처 방식을 강화시키고, 남의 이야기를 잘 들어줄 수 있는 좋은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시키고, 자기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잘 통제, 표현할 줄 아는 능력 향상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 ways of cop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mong emotional competencies of nur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73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in Seoul, Ko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score of tell communication style (self disclosure) and active-behavior coping, active emotional regulation have effects on emotional competencies. This study showed that communication styles and ways of coping significantly effects on emotional competencies. Therefore these results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emotional competencies program for nurse. (Korean J Str Res 2009;17:19∼25)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 ways of cop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mong emotional competencies of nur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73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in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 ways of cop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mong emotional competencies of nur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73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in Seoul, Ko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score of tell communication style (self disclosure) and active-behavior coping, active emotional regulation have effects on emotional competencies. This study showed that communication styles and ways of coping significantly effects on emotional competencies. Therefore these results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emotional competencies program for nurse. (Korean J Str Res 2009;17:19∼25)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참고문헌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명숙, "감정노동과 상사의 감성지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병원경영학회 11 (11): 1-18, 2006

      2 한금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행, 자기효능감, 감정조절, 대처방법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 17 (17): 28-34, 2008

      3 Neff TJ, "You're in charge now what?" The 8 Point Plan 1999

      4 Ekman P, "Unmasking the face" Prentice-hall 1975

      5 Billing AG,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s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4 : 139-157, 1981

      6 Kwon CH,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levels and communication types between accord and discord of parentadolescent personality types" 10 : 121-150, 2003

      7 Gross JJ,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 integrative review" 2 : 271-299, 1998

      8 Lee GS, "The difference of affect regulation style and effectivenes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Catholic University 2002

      9 Yoon SB, "The difference of affect regulation style according to affect style and antecedents" National University 1999

      10 Fox NA,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 59 : 2-3, 1994

      1 정명숙, "감정노동과 상사의 감성지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병원경영학회 11 (11): 1-18, 2006

      2 한금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행, 자기효능감, 감정조절, 대처방법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 17 (17): 28-34, 2008

      3 Neff TJ, "You're in charge now what?" The 8 Point Plan 1999

      4 Ekman P, "Unmasking the face" Prentice-hall 1975

      5 Billing AG,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s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4 : 139-157, 1981

      6 Kwon CH,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levels and communication types between accord and discord of parentadolescent personality types" 10 : 121-150, 2003

      7 Gross JJ,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 integrative review" 2 : 271-299, 1998

      8 Lee GS, "The difference of affect regulation style and effectivenes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Catholic University 2002

      9 Yoon SB, "The difference of affect regulation style according to affect style and antecedents" National University 1999

      10 Fox NA,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 59 : 2-3, 1994

      11 Thoits, "The Sociology of Emotions" 15 : 317-342, 1989

      12 Hakanen EA, "Rel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emotional recognition and mood management" 94 : 1097-1103, 2004

      13 Goleman D, "Primal leadership: learning to lea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2

      14 Holahan C, "Personal and contextual determinants of coping strategies" 52 : 946-955, 1987

      15 Luft J, "Of human interaction" National Press Books 1969

      16 Esmond-Kiger C, "Emotional intelligence: from the classroom to the workplace" 7 : 35-42, 2006

      17 Abraham R, "Emotion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 a conceptualization" 125 : 209-224, 1999

      18 Palmer B, "Emotional intelligence and effective leadership" 22 : 5-10, 2001

      19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9 : 185-211, 1990

      20 Caruso D,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eadership. In Multiple Intelligence and Leadership" Lawrence Erbaum Associates 2004

      21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1995

      22 Saito M, "Effect of communication and emotional types on team reciprocity in healthcare organization" 8 : 196-208, 2007

      23 Lee SC, "Correlational study of emotional competencies and products centered on leader" Korea University 2004

      24 Gnepp J, "Children's understanding of verbal and facial display rules" 22 : 103-108, 1986

      25 Carver C,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56 : 267-283, 1999

      26 Folkman S,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 aged community sample" 21 : 219-239, 1980

      27 Min KH,KIM JH,Yoon SB et al, "A study on the nega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variations in regulation styles related to the kind of emotions a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14 : 1-16,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3-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 stres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심스트레스학회 -> 대한스트레스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iosociobehavioral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2006-06-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심스트레스학회 -> 대한스트레스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iosociobehavioral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1 1.44 2.211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