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스퍼거 및 고기능자폐 소아청소년의 사회성 증진 요인에 관한 연구 = Asperger Syndrome, High Functioning Autis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actors for Social IQ Impr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8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ffective necessary conditions preliminarily in social skills training for Asperger Syndrome (AS) and High Functioning Autism (HF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have relatively late initial diagnosis. K-WISC III subtest measur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 or HFA, analyzing changes in attention IQ, customary SQ, situation context SQ, including demographic factors, personal traits, therapeutic factors, and parental factors. The results suggest that 1)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 and HFA showed increase in situation context SQ in accordance to characteristics of IQ(VIQ-PIQ), and group social skill training showed improvement compared with individual social skill training. 2) Customary SQ similarly increased over time for both individual and group social skill training. 3) None of the parental factors including parent efficacy proved any contribution to SQ improvement. 4) Statistically, enhancement in attention IQ has no relevance to SQ improv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ffective necessary conditions preliminarily in social skills training for Asperger Syndrome (AS) and High Functioning Autism (HF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have relatively late initial diagnosis. K-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ffective necessary conditions preliminarily in social skills training for Asperger Syndrome (AS) and High Functioning Autism (HF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have relatively late initial diagnosis. K-WISC III subtest measur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 or HFA, analyzing changes in attention IQ, customary SQ, situation context SQ, including demographic factors, personal traits, therapeutic factors, and parental factors. The results suggest that 1)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 and HFA showed increase in situation context SQ in accordance to characteristics of IQ(VIQ-PIQ), and group social skill training showed improvement compared with individual social skill training. 2) Customary SQ similarly increased over time for both individual and group social skill training. 3) None of the parental factors including parent efficacy proved any contribution to SQ improvement. 4) Statistically, enhancement in attention IQ has no relevance to SQ impro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를 통해 다른 자폐 장애에 비해 상대적으로 최초 진단 연령이 늦은 아스퍼거(AS) 및 고기능자폐(HFA) 소아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사회성 치료의 필요조건들을 예비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소아정신과에서 AS 및 HFA로 진단된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주의력과 관습적 사회성 및 상황 맥락적 사회성의 동태적 변화를 K-WISC III 소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인구통계학적 요인 및 아동의 특성, 치료요인, 그리고 부모요인을 함께 고려해보았다. 주요 결과는 1) AS 및 HFA 소아청소년의 지능특성(VIQ-PIQ)에 따라 상황맥락적 사회성 증가의 차이를 보였으며, 상황맥락적 사회성은 개별치료에 비해 집단치료의 경우 증가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2) 관습적 사회성은 개별치료와 집단치료 모두 시기에 따른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부모 효능감을 포함한 부모요인은 사회성 증진과의 관련성에서 입증된 바가 없었으며 4) 주의력 개선과 사회성 증진 간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를 통해 다른 자폐 장애에 비해 상대적으로 최초 진단 연령이 늦은 아스퍼거(AS) 및 고기능자폐(HFA) 소아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사회성 치료의 필요조건들을 예비적으로 탐색하고자 ...

      본 연구를 통해 다른 자폐 장애에 비해 상대적으로 최초 진단 연령이 늦은 아스퍼거(AS) 및 고기능자폐(HFA) 소아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사회성 치료의 필요조건들을 예비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소아정신과에서 AS 및 HFA로 진단된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주의력과 관습적 사회성 및 상황 맥락적 사회성의 동태적 변화를 K-WISC III 소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인구통계학적 요인 및 아동의 특성, 치료요인, 그리고 부모요인을 함께 고려해보았다. 주요 결과는 1) AS 및 HFA 소아청소년의 지능특성(VIQ-PIQ)에 따라 상황맥락적 사회성 증가의 차이를 보였으며, 상황맥락적 사회성은 개별치료에 비해 집단치료의 경우 증가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2) 관습적 사회성은 개별치료와 집단치료 모두 시기에 따른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부모 효능감을 포함한 부모요인은 사회성 증진과의 관련성에서 입증된 바가 없었으며 4) 주의력 개선과 사회성 증진 간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민섭, "웩슬러 지능검사를 통한 아동 정신병리의 진단평가" 학지사 2005

      2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19 (19): 27-42, 1997

      3 박경, "심리검사의 이론과 활용" 학지사 2002

      4 신석호,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시그마프레스 2013

      5 최성욱, "동화 중심 인지행동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6 Sipps, G. J., "WAIS‐R and social intelligence : A test of established assumptions that uses the CPI" 43 (43): 499-504, 1987

      7 Howlin, P., "The diagnosis of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 findings from a survey of 770 families" 41 (41): 834-839, 1999

      8 Goldstein, S., "The comorbidity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results of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34 (34): 329-339, 2004

      9 Constantino, J. N., "Social Responsiveness Scale"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012

      10 Black, F. W., "Patterns of cognitive impairment in children with suspected and documented neurological dysfunction" 39 (39): 115-120, 1974

      1 신민섭, "웩슬러 지능검사를 통한 아동 정신병리의 진단평가" 학지사 2005

      2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19 (19): 27-42, 1997

      3 박경, "심리검사의 이론과 활용" 학지사 2002

      4 신석호,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시그마프레스 2013

      5 최성욱, "동화 중심 인지행동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6 Sipps, G. J., "WAIS‐R and social intelligence : A test of established assumptions that uses the CPI" 43 (43): 499-504, 1987

      7 Howlin, P., "The diagnosis of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 findings from a survey of 770 families" 41 (41): 834-839, 1999

      8 Goldstein, S., "The comorbidity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results of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34 (34): 329-339, 2004

      9 Constantino, J. N., "Social Responsiveness Scale"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012

      10 Black, F. W., "Patterns of cognitive impairment in children with suspected and documented neurological dysfunction" 39 (39): 115-120, 1974

      11 Lezak, M. 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xford Univ. Press 544-546, 1995

      12 Golden, C. J., "Identification of specific neurological disorders using double discrimination scales derived from the standardized Luria Neuropsychological Battery" 10 (10): 51-56, 1979

      13 Dunst, C. J., "Guidelines for calculating effect sizes for practice-based research syntheses" 3 (3): 1-10, 2004

      14 Hartnett, D. N., "Gifted or ADHD? The possibilities of misdiagnosis" 26 (26): 73-76, 2004

      15 Neihart, M., "Gifted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44 (44): 222-230, 2000

      16 Assesmany, A.,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WISC-III with children classified with ADHD" 19 (19): 137-147, 2001

      17 Gibaud-Wallston, J.,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1978

      1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IV-TR: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text revision" 2000

      1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 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2013

      20 Antshel, K. M., "Comorbid ADHD and anxiety affect social skills group intervention treatment efficac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32 (32): 439-446, 2011

      21 Reiersen, A. M., "Co-occurrence of ADHD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phenomenology and treatment" 2008

      22 Black, F. W., "CHARACTERISTICS OF CHILDREN" 1 (1): 3-5, 1976

      23 CDC, U.,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s). Data & Statistics. Prevalence"

      24 Myles, B. S.,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Pro-ed 2001

      25 Woodbury-Smith MR, "Asperger Syndrome : A Review" 56 : 1-11,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3 1.83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7 1.64 2.126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