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곽은정, "협력교수가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 및 교사와 일반아동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69-90, 2011
2 박은혜, "행동연쇄 방해전략이 비구어 자폐 청소년의 보완?대체 의사소통(AAC)체계 사용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263-286, 2003
3 이소현, "특수아동이해" 학지사 2011
4 박은혜, "특수교육에서의 AAC" 2 (2): 132-138, 2014
5 김번영,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9-49, 2007
6 한선경, "태블릿 PC를 이용한 AAC 중재가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양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92-106, 2012
7 조병균, "초학문적 놀이중심중재가 다운증훈군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49-170, 2009
8 임장현, "참여모델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의 AAC중재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85-106, 2011
9 한경임, "중복․지체부자유 아동의 읽기 중재 전략" 41 : 121-140, 2003
10 표윤희,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와 치료사 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93-320, 2014
1 곽은정, "협력교수가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 및 교사와 일반아동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69-90, 2011
2 박은혜, "행동연쇄 방해전략이 비구어 자폐 청소년의 보완?대체 의사소통(AAC)체계 사용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263-286, 2003
3 이소현, "특수아동이해" 학지사 2011
4 박은혜, "특수교육에서의 AAC" 2 (2): 132-138, 2014
5 김번영,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9-49, 2007
6 한선경, "태블릿 PC를 이용한 AAC 중재가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양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92-106, 2012
7 조병균, "초학문적 놀이중심중재가 다운증훈군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49-170, 2009
8 임장현, "참여모델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의 AAC중재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85-106, 2011
9 한경임, "중복․지체부자유 아동의 읽기 중재 전략" 41 : 121-140, 2003
10 표윤희,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와 치료사 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93-320, 2014
11 정정은,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을 활용한 교수적 지원이 통합된 중학교 장애학생의 과학과 수업참여행동 및 수행평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83-205, 2012
12 우정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을 통한 사회과 통합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장애학생의 학습참여도 및 일반학생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교육학회 3 (3): 63-86, 2008
13 표윤희,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대근육운동 능력 및 운동능력 관련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317-340, 2010
14 윤혜련, "소그룹 언어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7
15 Robert, K. Y,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1
16 김경양,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249-280, 2014
17 김주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에서의 관련자간 협력에 대한 연구문헌 분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128-140, 2005
18 성시연, "보완대체의사소통 잠재수요연구" 1 (1): 1-24, 2013
19 보건복지부, "보완대체 의사소통기기 중재서비스 개발 연구보고서" 2013
20 윤선아,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사용자의 성공적 통합을 위한 중재요소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6 (6): 105-127, 2007
21 한경임, "보완․대체 의사소통 사용 뇌성마비 아동에 대한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태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187-204, 2012
22 이윤숙,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연구 동향 분석: 2000~2009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39-67, 2010
23 김영태, "말-언어장애 아동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용을 위한 탐색" 2 (2): 1-22, 2014
24 황지현, "로우테크 보조공학 활용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 명료도와 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339-363, 2012
25 이명희, "또래중재를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대화상대자 훈련이 중도 지체장애 유아의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108-128, 2006
26 한경임, "또래 참여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109-130, 2007
27 이명주, "그림상징 반응카드의 사용이 장애아동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75-203, 2011
28 강우정,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 동향 분석: 1994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자폐학회 11 (11): 131-161, 2011
29 강혜경, "교사와 언어치료사간 협력적 자문모델을 이용한 교실중심언어중재가 다운증후군 아동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국립특수교육원 12 (12): 309-329, 2005
30 김경양,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부모와 중도장애아동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83-111, 2013
31 김경양,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2 (12): 51-72, 2012
32 Calculator, S. N., "Validation of an inventory of best practices in the provision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ervices to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18 : 329-342, 2009
33 Mirenda, P., "Revisiting the mosaic of supports required for including people with severe intellectual 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communities" 30 (30): 19-27, 2014
34 Soto, G., "Professional skills for serving students who use AAC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 A team perspective" 32 : 51-56, 2002
35 Soto, G., "Practically speaking: Language, literacy, and academic development for students with AAC needs" Brookes 2009
36 Binger, C., "Personnel roles in the AAC Assessment Process" 28 (28): 278-288, 2012
37 Cirrin, F. M., "Diagnosis in Speech-Language Pathology" Singular Publishing Group 283-314, 2000
38 Hunt, P., "Collaborative teaming to support students wit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need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19 : 104-124, 2002
39 Hunt, P., "Collaborative teaming to support at risk and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69 : 315-332, 2003
40 Beukelman, 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anage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in children and adults" Paul Brookes 2012
41 김경양, "AAC를 활용한 통합학급 수업자료 개발" 2 (2): 49-69, 2014
42 임지현, "AAC 활용계획안을 활용한 국어수업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 의사소통 수준에 미치는 영향" 2 (2): 173-194, 2014
43 Mirenda, P., "AAC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Korean Society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49-68, 2013
44 교육부, "2014 특수교육 통계" 교육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