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동국가들(카타르 및 UAE)이 소유하고 있는 국적 항공사(에미레이츠 항공, 에티하드항공, 카타르 항공)들에 대하여 다양한 명목으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보조금 지급내역을 살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81578
2017
-
300
학술저널
62-6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중동국가들(카타르 및 UAE)이 소유하고 있는 국적 항공사(에미레이츠 항공, 에티하드항공, 카타르 항공)들에 대하여 다양한 명목으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보조금 지급내역을 살펴...
최근 중동국가들(카타르 및 UAE)이 소유하고 있는 국적 항공사(에미레이츠 항공, 에티하드항공, 카타르 항공)들에 대하여 다양한 명목으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보조금 지급내역을 살펴보면, 에미레이츠 항공사에게는 국영기업 관계사 내부거래, 유류헷지 손실인수, 공항인프라 보조금 명목들로 약 157억불을 지급받았다. 에티하드 항공사는 무상환 정부대출, 정부자본출자, 추가 보조금, 공항세 면제 등으로 약 176.5억불을 지급받았다. 카타르 항공사는 무상환 정부대출, 정부차입보증, 공항세 면제 등으로 176.5억불을 지급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위 대표적 세 항공사들은 위와 같은 지원을 바탕으로 운임할인, 노선확장, 고가의 항공기재구매 등을 통하여 세계항공운송시장 내 승객점유율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우리나라 국적 항공사들과의 경쟁에도 비교우위를 나타내는 효과를 가져와 상당수의 승객을 빼앗기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중동항공사들의 보조금 지급의 위법성을 시카고 협약 및 WTO 체제 등 관련 국제법에서 찾을 수 있는 지 살펴 보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 국내법인 공정거래법의 역외적용이 가능한 지에 대해서 검토하고 중동국가의 불법보조금 지급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중동국가의 보조금 정책에 대한 대항조치의 가능성을 설명할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의 대응과제 항공시장의 수요절벽이 나타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