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서문 = 5 1990년 신판의 서문 = 13 1. 부르주아 공론장의 발생과 그 개념 = 15 2. 공론장이 구조변동 : 세 가지 수정 = 25 3. 변화된 이론적 틀 = 37 4. 시민사회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역자서문 = 5 1990년 신판의 서문 = 13 1. 부르주아 공론장의 발생과 그 개념 = 15 2. 공론장이 구조변동 : 세 가지 수정 = 25 3. 변화된 이론적 틀 = 37 4. 시민사회와 ...
목차
역자서문 = 5
1990년 신판의 서문 = 13
1. 부르주아 공론장의 발생과 그 개념 = 15
2. 공론장이 구조변동 : 세 가지 수정 = 25
3. 변화된 이론적 틀 = 37
4. 시민사회와 정치적 공론장 = 50
초판 서문 = 57
제1장 서론 : 부르주아 공론장의 한 유형에 대한 예비적 구획 = 61
1. 서두의 물음 = 61
2. 과시적 공공성의 유형 = 66
보론 : 《빌헬름 마이스터》의 예를 통해 본 과시적 공공성의 종말 = 76
3. 부르주아 공론장의 발생 = 79
제2장 공론장의 사회적 구조 = 95
1. 개요 = 95
2. 공론장의 제도들 = 100
3. 부르주아 가족 및 공중과 연관된 프라이버시의 제도화 = 118
4. 정치적 공론장과의 연관에서 본 문예적 공론장 = 128
제3장 공론장의 정치적 기능 = 135
1. 영국식 발전 모델의 경우 = 135
2. 대륙적 변형 = 147
3. 사적 자율성의 영역으로서 부르주아 사회 : 사법(私法)과 자율화된 시장 = 157
4. 부르주아 법치국가에서 공론장의 모순적 제도화 = 164
제4장 부르주아 공론장 : 이념과 이데올로기 = 177
1. 여론(public opinion-opinion publique-<TEX>$$\ddot o$$</TEX>ffentliche Meinung) : 관용어의 전사(前史) = 177
2. 정치적 도덕의 매개원리로서 공개성 (칸트) = 197
3. 공론장의 변증법 (헤겔과 맑스) = 216
4. 자유주의 이론에 있어 공론장에 관한 상반된 견해 = 230
제5장 공론장의 사회적 구조변동 = 245
1. 공공영역과 사적 부문의 교착(交錯) 경향 = 245
2. 사회영역과 사생활영역의 양극화 = 258
3. 문화를 논하는 공중에서 문화를 소비하는 공중으로 = 268
4. 혼탁해진 기본구도 : 부르주아 공론장 붕괴의 전개과정 = 286
제6장 공론장의 정치적 기능변화 = 293
1. 문필가적 사적 개인의 저널리즘으로부터 대중매체의 공공서비스로 : 공론장 기능으로서의 광고 = 293
2. 기능 변형된 공개성의 원리 = 311
3. 제조된 공론장과 비공공적 의견 : 주민의 선거행태 = 331
4. 자유주의 법치국가의 사회복지 국가로의 전화과정에서 정치적 공론장 = 344
제7장 여론 개념에 관하여 = 361
1. 헌법적 허구로서의 여론과 여론 개념의 사회심리학적 해체 = 361
2. 사회학적 해명의 시도 = 372
참고문헌 = 379
찾아보기 = 393
(출처: http://www.riss.kr/link?id=M8071473 )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의 교수자격논문을 바탕으로 정리한 다양한 인문사회과학 분과와 사회, 정치철학을 통합한 사회과학 연구서. 부르주아 공론장의 역사적 발생과 그 개념을 비롯해 사회복지국가적 전화...
저자의 교수자격논문을 바탕으로 정리한 다양한 인문사회과학 분과와 사회, 정치철학을 통합한 사회과학 연구서. 부르주아 공론장의 역사적 발생과 그 개념을 비롯해 사회복지국가적 전화와 대중매체에 의한 의사소통구조의 변화라는 두 관점에서의 구조변동을 다뤘다. 이어서 서술의 이론적 전망과 그것의 규범적 함축을 논했다.
(출처: 인터넷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barcode=97889300386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