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Rasch 측정모형을 사용한 대학생 대상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492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Rasch 측정모형을 사용하여 다문화 수용성 척도를 타당화하였다. 이전의 연구(박혜숙, 원미순, 2010)를 바탕으로 다문화 수용성을 인지, 정의, 행동 측면에서 문항표본을 확대하...

      본 연구에서는 Rasch 측정모형을 사용하여 다문화 수용성 척도를 타당화하였다. 이전의 연구(박혜숙, 원미순, 2010)를 바탕으로 다문화 수용성을 인지, 정의, 행동 측면에서 문항표본을 확대하고 전국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다문화 수용성 척도에 대하여 인지(n=14), 정의(n=12), 행동 측면(n=13)을 나타내는 39개의 문항을 개발하고, 개발한 도구에 대하여 Messick(1989)이 제시한 타당화 관련 4가지 측면(내용, 실제, 내적구조, 일반화)에 근거해서 Rasch 측정모형을 이용하여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 및 피험자의 신뢰도는 상당히 양호아였고, 내용타당도 관련하여 문항이 적절함을 보여주었다. 문항과 피험자를 한 로짓선상에서 비교하여 볼 때, 대체적으로 상위수준의 문항이 더 포함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표준화 잔차를 사용한 Rasch 모형의 주성분 분석결과, 단일차원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Conquest프로그램을 이용한 단일차원 Rasch 모형과 다차원 Rasch 모형 분석 결과. 다차원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내용의 문항들이 각각의 차원으로 이루어진 점도 있어서, 다문화 수용성은 내용영역에 따라 다른 반응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교육현장에서는 영역에 따른 프로그램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남녀 성차에 따른 문항 간에 있어서 차별기능문항이 존재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문항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이 나타났다. 추후 부적합한 피험자에 대하여 추가분석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a multicultural receptivity scale using the Rasch measurement model. Based on Park&Won`s instrument (2010), more comprehensive items (n=39) that reflect cognitive (n=14), emotional (n=12), and behavioral aspects (n=...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a multicultural receptivity scale using the Rasch measurement model. Based on Park&Won`s instrument (2010), more comprehensive items (n=39) that reflect cognitive (n=14), emotional (n=12), and behavioral aspects (n=13) of multicultural receptivity were constructed and administered to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ifferent parts of Korea. In validation processes. Messick`s (1989) ideas of content-, substantive-, construct-, and generalizability-related validity were applied to the product of a typical, unidimensional Rasch measurement model. Results showed that item and person reliabilities and content-related validity are high. However, when person and items are put on the same logit scale, mort items that capture upper level of ability need to be included. In addition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Rasch standard residuals did not support the evidence of unidimensionality. Comparing both uni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Rasch models using Conquest program, the data supports the existence of multidimensionality. Groups of items formed multiple separate factors (dimensions), which indicates students responses to multicultural receptivity depends on characteristics of item content. This also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an area-specific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dditionally, several gender-related DIF were also identified. Further investigation may be needed to determine why some data did not fit the mod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설현수,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79-100, 2005

      2 강혜정, "대학생용 다문화태도 척도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13 (13): 35-57, 2012

      3 박혜숙, "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과 관련변인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03-325, 2010

      4 강진구, "다문화 교육이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조사" 1 : 53-77, 2008

      5 장인실, "다문화 교육 모형과 교과서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법의 효과성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141-161, 2010

      6 지은림, "교육심리사회연구방법론 총서. 측정. 평가(4). Rasch 모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0

      7 Messick, S., "Validity, In Educational Measurement" Macmillan 13-103, 1989

      8 Bloom, B. S., "The search for methods of instruction, In Contemporary Issues in curriculum" Allyn & Bacon 209-226, 1999

      9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 16-29, 1996

      10 Linacre, J. M., "The Rasch Model cannot be “ disproved”!" 10 (10): 512-514, 1996

      1 설현수,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79-100, 2005

      2 강혜정, "대학생용 다문화태도 척도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13 (13): 35-57, 2012

      3 박혜숙, "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과 관련변인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03-325, 2010

      4 강진구, "다문화 교육이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조사" 1 : 53-77, 2008

      5 장인실, "다문화 교육 모형과 교과서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법의 효과성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141-161, 2010

      6 지은림, "교육심리사회연구방법론 총서. 측정. 평가(4). Rasch 모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0

      7 Messick, S., "Validity, In Educational Measurement" Macmillan 13-103, 1989

      8 Bloom, B. S., "The search for methods of instruction, In Contemporary Issues in curriculum" Allyn & Bacon 209-226, 1999

      9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 16-29, 1996

      10 Linacre, J. M., "The Rasch Model cannot be “ disproved”!" 10 (10): 512-514, 1996

      11 Munroe, A., "The Munro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A New Instrument for Multicultural Studies" 66 (66): 819-834, 2006

      12 Linacre, J. M., "Step disordering and Rasch-Thurstone-type Thresholds" 5 (5): 171-, 1991

      13 Messick, S., "Standards of validity and the validity of standards in performance assessment" (Winter) : 5-8, 1995

      14 Fisher, Jr., "Reliability statistics" 6 : 238-, 1992

      15 Wright, B. D., "Rating scale analysis" MESA Press 1982

      16 Andrich, D., "Rating formulations of ordered response categories" 43 (43): 561-573, 1978

      17 김명숙, "Rasch 측정모형에 의한K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의 양호도 검증"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101-124, 2007

      18 김성숙, "Rasch 측정 모형을 활용한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 타당화"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517-556, 2009

      19 설현수, "Rasch 모형을 이용한 Marlowe-Crowne의 사회적 정향성 척도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101-124, 2005

      20 Cheng, Y. Y., "Multidimensional Rasch Analysis of a Psychological Test with Multiple Subtests" 69 (69): 369-388, 2009

      21 설현수, "Messick의 타당도 관점에서 Rasch 측정모형 적용을 통한 대학 강의평가 도구개발의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31-51, 2007

      22 Giles, M. B., "Measurement of multicultural attitudes of teacher trainees" 75 : 205-209, 1982

      23 Wolfe, E. W., "Instrument Development Tools and Activities for measure validation using Rasch Models: Part II-Validation activities, In Rasch measurement: Advanced and specialized applications" Jam press 243-290, 2007

      24 Ory, J. C., "How dostudentratingsmeasureuptoanew validity framework?" 109 : 27-44, 2001

      25 Schumacker, R. E., "Factor analysis and Rasch analysis" 9 (9): 470-, 1996

      26 Smith, R. M., "Evidence for reliability of measures and validity of measure interpretation: A Rasch measurement perspective, In Introduction to Rasch measurement" JAM Press 93-122, 2004

      27 Linacre, J. M., "Detecting multidimensionality: Which residual data-type work best?" 3 (3): 103-122, 1998

      28 Wu, M. L., "ConQuest: Multi-Aspect Test Softwar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1997

      29 Wright, B. D., "Comparing Rasch measurement and factor analysis" 3 (3): 3-24, 1996

      30 Bond & Fox, "Appl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7

      31 Adams, R. J, "ACER ConQuest 3.0.1"

      32 Rogers, C. R., "A way of being" Houghton, Mifflin 1980

      33 Linacre, J. M., "A user’s guide to Winsteps Rasch–Model computer program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심리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9 2.39 2.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5 3.18 3.12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