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공간은 도시계획 및 지역 경제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그 기대감이 크다. 과거 30여 년간 도시 재개발이 기여해 온 이상으로 지하개발은 도시계획 분야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370074
1992
Korean
540
학술저널
22-28(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하공간은 도시계획 및 지역 경제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그 기대감이 크다. 과거 30여 년간 도시 재개발이 기여해 온 이상으로 지하개발은 도시계획 분야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
지하공간은 도시계획 및 지역 경제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그 기대감이 크다.
과거 30여 년간 도시 재개발이 기여해 온 이상으로 지하개발은 도시계획 분야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무질서한 도시팽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새로운 고용기회를 창출하여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에너지 고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지하공간의 개발은
그 구체적으로서 활용가능성이 커져가고 있다. 지하개발은 에너지 절감효과는
물론 전통적이 수평적 토지이용과 수직적인 복합이용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미 집합적인 이용을 통한 에너지 절감과 공간의 집약적 이용이라는
차원에서 각종 토지이용의 일체화를 꾀하는 복합 토지이용이 일반화되어가는 추세이다.
특집 - 흙과 건축 : 흙과 인간 환경 ( Clay and Human Environment )
특집 - 흙과 건축 : 흙으로 짖는 집 ( Clay Dwellings )
특집 - 흙과 건축 : 지하공간 개발과 활용방안 ( The Role of Underground Space in Urban Are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