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질문만들기 전략 중재가 읽기장애 아동의 질문만들기 능력 및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Generating Questions Strategy Training on Generation Question Capac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Cap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984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질문만들기 전략 중재가 읽기장애 아동들의 질문만들기 능력 및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학교 3, 4학년 읽기장애 아동과 통제집단 각 12명을 대상으...

      본 연구의 목적은 질문만들기 전략 중재가 읽기장애 아동들의 질문만들기 능력 및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학교 3, 4학년 읽기장애 아동과 통제집단 각 12명을 대상으로 초인지 전략인 질문만들기 전략을 20회기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질문만들기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읽기 이해 능력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generating questions strategy training had any effects on the generating question capabi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hildren who w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generating questions strategy training had any effects on the generating question capabi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hildren who were within their third and fourth years at two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being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by organizing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2 children each who were respectively selected from the two schools. During a sixth-week period tim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20-session generating question strategy training program that was based on Raphael``s QAR(Question Answer Relationship) Program. Each session run 25 minutes, and the control group was just engaged in repeated reading without being exposed to any particular training. After the experimental was completed, the two groups took tests in generating ques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for data handling, T-est was implemented by using SPSS for Windows 10.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1. Regarding the generating question capability of the children with reading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went training in generating questionstrategy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2. Concern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capability of the children with reading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ere trained in generating question strategy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ride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generating question strategy was oneof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enhance the generating question skills andreading comprehension of th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that readingcomprehension strategy could also be applicable to those types of childr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습장애아의 학습양식과 독해전략에 대한 교수방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32 (32): 21-45, 1994

      2 "학습장애아의 읽기 이해 개선을 위한 교수법" 24 (24): 65-81, 2001

      3 "학습장애아동의 학업능력 발달 특성 학습장애아동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0

      4 "학습장애아동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교육과학사 2000

      5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지도 학습장애아동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0

      6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이해력 향상을 위한 중심내용 파악 및 자기점검 전략 훈련의 효과 이론과 실천" 5 (5): 17-339, 2004

      7 "학습장애 아동의 독해전략 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1995

      8 "학습장애 아동을위한 읽기 교수기법 탐색" 17 : 19-55, 2001

      9 "학생질문생성활동의 지도방안 연구" 2003

      10 "학생 질문 생성 전략이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2001

      1 "학습장애아의 학습양식과 독해전략에 대한 교수방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32 (32): 21-45, 1994

      2 "학습장애아의 읽기 이해 개선을 위한 교수법" 24 (24): 65-81, 2001

      3 "학습장애아동의 학업능력 발달 특성 학습장애아동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0

      4 "학습장애아동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교육과학사 2000

      5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지도 학습장애아동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0

      6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이해력 향상을 위한 중심내용 파악 및 자기점검 전략 훈련의 효과 이론과 실천" 5 (5): 17-339, 2004

      7 "학습장애 아동의 독해전략 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1995

      8 "학습장애 아동을위한 읽기 교수기법 탐색" 17 : 19-55, 2001

      9 "학생질문생성활동의 지도방안 연구" 2003

      10 "학생 질문 생성 전략이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2001

      11 "특수아동상담" 학지사 2004

      12 "탐구 수업에서 교사질문과 학생질문이 지적 호기심 수준에 따라 탐구 기능에 미치는 효과" 1994

      13 "초인지 자문 전략 훈련이 읽기 학습장애아의 독해력과 읽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1999

      14 "초등학교 아동의 질문-응답 학습 형태별 효과" 1997

      15 "질문하기 전략이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2003

      16 "질문생성전략이 독해학습과 읽기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 1996

      17 "질문만들기 활동이 아동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2000

      18 "질문 생성 학습 지도 유형이 초등학교 아동의 고등사고 기능에 미치는 영향" 1998

      19 "자문 자답 훈련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1996

      20 "자기질문전략이 초등학교 읽기부진아의 요약능력 및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2002

      21 "자기질문전략이 읽기부진아의 독해력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2003

      22 "자기질문전략 훈련이 학업 성취와 파지에 미치는 효과" 1994

      23 "자기질문생성학습이 독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1999

      24 "자기질문 전략 훈련이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 이해력과 전략사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1998

      25 "자기교시 및 자기조절 방략 훈련이 독해장애아의 독해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1994

      26 "자기 질문과읽기 능력이 학습자료의 이해에 미치는 효과" 1992

      27 "읽기 학습 전략 훈련 지침서" 한국교육개발원 1995

      28 "읽기 전략 지도방법의 차이가 중학교 읽기장애아의 독해력 및 국어과 학업 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18 (18): 151-173, 2002

      29 "소집단 토의학습을 통한 질문하기 전략 지도 방안 연구" 1999

      30 "소집단 자기질문전략 훈련이 읽기학습 장애아의 독해전략 습득과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2004

      31 "독해학습전략 훈련이 읽기장애아의 독해력 향상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2001

      32 "독해와 읽기 지도" 국학자료원 1994

      33 "국어교육의 원리와 방법" 1997

      34 "개인차 변인자기질문전략학습효과" 1993

      35 "problem-solving shema with question generation for comprehension of complex short stories" 1982

      36 "Using informed strategies for learning to enhance the reading and thinking skill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70-278, 1990

      37 "The direct Instruction of Main Idea Comprehension Ability" 1986

      38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elf-questioning study technique" 605-623, 1978-1979

      39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Y Academic Press 1975

      40 "The Development of Working Memory in Normally Achieving and Subtypes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973-980, 1989

      41 "Individual differences in response to early interventions sin reading : The lingering problem of treatment resisters" 15 (15): 55-64, 2000

      42 "Increasing metacomprehension in learning disabled and normally achieving students through self-questioning training" 228-240, 1982

      43 "Cognitive Psychology for Teachers"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0

      44 "Adult disabled readers metacognitive awareness about reading tasks and strategies Journal of reading Behavior" 78-89,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