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원효 일심의 정의와 의미 = Definition and Meaning of One Min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심의 정의와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심에 대한 설명이 가장 많은 『기신론소(起信論疎)』와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을 중심으로 일심 관련한 원효의 설명...

      본 연구는 일심의 정의와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심에 대한 설명이 가장 많은 『기신론소(起信論疎)』와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을 중심으로 일심 관련한 원효의 설명들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첫째, 원효는 『기신론』의 일심이문 설명 근거를 『입능가경』을 통해 찾고, 심진여문과 심생멸문을 설명한다. 그리고 원효는『금강삼매경론』에서도 같은 문장을 인용한다. 일심의 무생무멸(無生無滅) 본래적정(本來寂靜)한 측면을 심진여문이라 하고, 본각인 일심의 체가 “무명을 따라 움직여 생멸을 일으켜(隨無明動作生滅)” 심생멸문이라 하는 것이고, 심생멸문에서는 “여래의 본성이 숨어있어 나타나지 않으”(如來之性隱而不顯)므로 여래장이라고 한다. 둘째, 일체의 경계는 마음이 지은 것으로 일심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는 원효가 『십지경론(十地經論)』을 근거로 설명한 것이다. 일체 경계는 일심으로서 끝이 있지 않지만 없지도 않다. 그래서 다 알 수 있지만, 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는 경계가 아니다. 체로서의 불심과 상으로서의 망법이 서로 훤히 비추며 보는 바가 없으며 보지 못하는 바가 없다. 이와 같은 원효의 설명은 『금강삼매경론』에서 『화엄경』 <십지품>에 근거한 일심의 화엄적 설명으로서 『기신론소』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 셋째, 일심의 경지는 있는 것도 아니며 없는 것도 아니다.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그것은 착각이고 허망한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생각은 허망한 것 즉 망념이기 때문이다. 또 없는 것으로 생각하면 그것은 실제로 없지 않다. 원효는 모든 상을 분석하여서는 일심의 자성을 얻을 수 없으나, 도를 닦아 구하면 그것이 나투니, 그래서 실제로 없지 않다고 한다. 일심은 일체의 사려 분별이 사라진 경계의 마음으로 그 체가 적정하여 머무름이 없는 마음(無住之心)으로서 결정성의 경지이다. 넷째, 일심은 무이(無二)하며 불이(不二)이고 적멸(寂滅)하지만 그것이 전체 연에 따라 적멸하고 생동하므로 생동과 적멸도 불일불이(不一不異)하다. 다섯째, 일심이 무명을 연하여 다심이 된다. 일심(一心)이 무명(無明)을 연하여, 중생(衆生), 육근(六根), 육정(六情), 육진(六塵), 육도(六道), 사상(四相) 모두 지은 것이다. 일심은 무명과 화합한 힘 때문에 이런 다심을 일으킨다. 이것은 유전문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다시 환멸문으로 말하여, 무명을 제하면 일심으로 다시 돌아간다. 여섯째, 결국 일심의 경지는 부처님 지혜의 경지로서, 네 가지 지혜로 나타나고, 일심의 체는 다섯 가지 모양으로 설명된다. 일심의 체는 대략 다섯 가지 모양(五相)이니, 첫째 취하는 대상의 차별된 모양을 멀리 떠난 것(遠離所取差別之相), 둘째 취하는 주체의 분별하는 집착에서 벗어난 것(解脫能取分別之執), 셋째 삼세의 때에 두루하여(遍三世際) 평등하지 아니함이 없는 것(無所不等), 넷째 허공계와 같아서(等虛空界) 두루하지 아니함이 없는 것(無所不遍), 다섯째 유?무와 일?이 등의 변견에 떨어지지 아니하여(不墮有無一二等邊) 마음이 작용하는 곳을 벗어나(超心行處) 언어의 길을 넘어서 있는 것이다(過言語道). 또 일심에서는 “여덟 가지 식이 모두 전의하여(八識皆轉)” “네 가지 지혜로 원만하게(四智圓滿)” 나타나는데, 대원경지(大圓鏡智), 평등성지(平等性智), 묘관찰지(妙觀察智), 성소작지(成所作智)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finitions and meanings of One Mind(一心). I looked them up focusing on "Gisinronso(起信? 疎)" and "Geumgangsammaegyoungron(金?三昧??)" which have lots of Wonhyo`s explanations about One mind. The results can be s...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finitions and meanings of One Mind(一心). I looked them up focusing on "Gisinronso(起信? 疎)" and "Geumgangsammaegyoungron(金?三昧??)" which have lots of Wonhyo`s explanations about One mi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Wonhyo commented One mind two ways of "Gisinron" and "Geumgangsammaegyoungron", he quoted sentence in "Ipneunggagyeong" as an authority which can explain it. Simjinyeomun is inner carlm side of One Mind, Simsaengmyeolmun is outer apparent and disapparent side of One Mind. Second, all the boundaries which the mind made are beyo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Wonhyo quoted sentence in "Sipjigyeongron(十地??)" as an authority which can explain it. Third, the stage of One Mind is not real and is not non-real. Mind is the boundary of the disappearance of any calculative mind. Fourth, One Mind is not different and is not distinct and carlm, but according to conditions it is carlm and is full of life, therefore they are not different and same(不一不異). Fifth, One Mind becomes many minds because of brightnessless(无明). If we would remove brightnessless in many minds, they could go back to One Mind. Sixth, finally the state of One Mind is that of Buddha`s wisdom, is appeared to four kinds of wisdom(四智), is explained in five different shapes(五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자경, "한국철학의 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2 보리류지, "입능가경(入楞伽經)"

      3 은정희, "원효의 대승기론소․별기" 일지사 2002

      4 은정희,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일지사 2000

      5 천친보살, "십지경론(十地經論)"

      6 원효, "대승기신론소기회본"

      7 실차난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80본)"

      8 불타발타라,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60본)"

      9 담무참, "대반열반경 (40본)"

      10 원효, "금강삼매경론"

      1 한자경, "한국철학의 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2 보리류지, "입능가경(入楞伽經)"

      3 은정희, "원효의 대승기론소․별기" 일지사 2002

      4 은정희,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일지사 2000

      5 천친보살, "십지경론(十地經論)"

      6 원효, "대승기신론소기회본"

      7 실차난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80본)"

      8 불타발타라,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60본)"

      9 담무참, "대반열반경 (40본)"

      10 원효, "금강삼매경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