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래인 하타씨(秦氏)의 고대예능 연구 = A study on ancient art of hatas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982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최대규모의 고대도래씨족인 하타씨는 일본의 경제, 문화, 예능, 산업 등 다방면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 씨족이다. 도래인 하타씨의 출신지에 대하여 『일본서기』와 『고사기』는 한반도라고 하고 있으나 『신찬성씨록』에는 중국 진시황제의 후손으로 설명하고 있다. 현재 하타씨는 가야계신라 도래인으로 보는 것이 거의 정설화 되어 가고 있지만 여전히 하타씨를 중국계, 또는 한반도 경유 중국계, 유대계로 하는 등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하타씨의 출신지에 대한 연구는 문헌사료 이외의 다각도의 연구방법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고대 예능 또한 연구수단으로서 가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는 하타씨와 고대예능과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하타씨와 예능과의 관련은 노가쿠의 대가 제아미에 의해 하타노가와가쓰가 사루가쿠의 조신이 된 것에서 시작했다고 한다. 하지만 사루가쿠 이전의 다수의 고대 예능이 이미 하타씨와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중에서도 특히 기악, 구구쓰 인형극, 가구라, 마쓰리를 중심으로 하타씨와 신라와의 연관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기악은 백제인 미마지에 의해 일본에 전래되었는데, 미마지가 기악을 배웠다는 ‘구레’를 낙동강 유역의 ‘구례’로 해석하는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하타씨와 그 자손에 의해 기악이 습득, 전수되었음을 사료를 통하여 접함으로써, 일본에서 신라식 기악이 연행되었을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어 소노가라신제, 구구쓰인형극, 기온마쓰리와 치고마이 등의 일본고대예능과 하타씨와의 연관, 나아가 신라와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일본최대규모의 고대도래씨족인 하타씨는 일본의 경제, 문화, 예능, 산업 등 다방면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 씨족이다. 도래인 하타씨의 출신지에 대하여 『일본서기』와 『고사기』...

      일본최대규모의 고대도래씨족인 하타씨는 일본의 경제, 문화, 예능, 산업 등 다방면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 씨족이다. 도래인 하타씨의 출신지에 대하여 『일본서기』와 『고사기』는 한반도라고 하고 있으나 『신찬성씨록』에는 중국 진시황제의 후손으로 설명하고 있다. 현재 하타씨는 가야계신라 도래인으로 보는 것이 거의 정설화 되어 가고 있지만 여전히 하타씨를 중국계, 또는 한반도 경유 중국계, 유대계로 하는 등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하타씨의 출신지에 대한 연구는 문헌사료 이외의 다각도의 연구방법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고대 예능 또한 연구수단으로서 가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는 하타씨와 고대예능과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하타씨와 예능과의 관련은 노가쿠의 대가 제아미에 의해 하타노가와가쓰가 사루가쿠의 조신이 된 것에서 시작했다고 한다. 하지만 사루가쿠 이전의 다수의 고대 예능이 이미 하타씨와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중에서도 특히 기악, 구구쓰 인형극, 가구라, 마쓰리를 중심으로 하타씨와 신라와의 연관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기악은 백제인 미마지에 의해 일본에 전래되었는데, 미마지가 기악을 배웠다는 ‘구레’를 낙동강 유역의 ‘구례’로 해석하는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하타씨와 그 자손에 의해 기악이 습득, 전수되었음을 사료를 통하여 접함으로써, 일본에서 신라식 기악이 연행되었을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어 소노가라신제, 구구쓰인형극, 기온마쓰리와 치고마이 등의 일본고대예능과 하타씨와의 연관, 나아가 신라와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종길, "한국신을 모시는 일본의 신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2 배소심, "한국고대의 무용고" 1977

      3 제아미, "풍자화전"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8

      4 김성혜, "토우로 보는 신라무용과 그 의미" (6) : 2007

      5 전금선, "처용무와 기온마쓰리의 연관성 고찰-신라와 하타씨를 중심으로-"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5 : 159-186, 2011

      6 이병옥, "제천의식을 통해본 상고시대 무용 고찰" 2004

      7 최재석, "일본정창원의 가면 기악에 대하여" 1994

      8 김현욱, "일본연극의 기원과 도래문화" 일본연구센터 (11) : 131-153, 2009

      9 윤광봉, "일본신도와 가구라" 태학사 2009

      10 소사융길, "일본무용 소사" 세광음악출판사 1989

      1 신종길, "한국신을 모시는 일본의 신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2 배소심, "한국고대의 무용고" 1977

      3 제아미, "풍자화전"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8

      4 김성혜, "토우로 보는 신라무용과 그 의미" (6) : 2007

      5 전금선, "처용무와 기온마쓰리의 연관성 고찰-신라와 하타씨를 중심으로-"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5 : 159-186, 2011

      6 이병옥, "제천의식을 통해본 상고시대 무용 고찰" 2004

      7 최재석, "일본정창원의 가면 기악에 대하여" 1994

      8 김현욱, "일본연극의 기원과 도래문화" 일본연구센터 (11) : 131-153, 2009

      9 윤광봉, "일본신도와 가구라" 태학사 2009

      10 소사융길, "일본무용 소사" 세광음악출판사 1989

      11 박전열, "일본기악의 재발견" 중앙대학교중앙음악연구소 2000

      12 남성호, "일본 민속예능 춤추는 神 연구" 어문학사 2010

      13 伊藤好英, "인형극 무대의 원시적인 형태" 2 : 2000

      14 이송, "신라춤과 산신신앙 연구" 우리춤연구소 4 (4): 9-33, 2008

      15 이종욱, "신라이야기" 김영사 2000

      16 박재희, "미마지의 기악의 재조명(1)" 1999

      17 이윤근, "문화적배경을 통한 삼국시대무용의 양상" 1998

      18 임재해, "꼭두각시 놀음의 역사적 전개와 발전양상" 1997

      19 박규태, "교토와 도래인: 하타씨와 신사를 중심으로"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2009

      20 손태도, "광대 집단에 대한 연 1:경기 이남의 화랑, 무부, 광대의 관계" 판소리학회 2000

      21 김석형, "고대 한일 관계사" 한마당 1988

      22 박규태, "고대 교토의 한반도계 신사와 사원 연구 ─잊혀진 한류의 원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3 : 151-192, 2010

      23 左藤健一郞, "風姿花典" 小學館 2009

      24 村上祥子, "韓国仮面劇と日本伎楽の比較研究" 3 : 1991

      25 水谷千秋, "謎の渡來人 秦氏" 文藝春秋 2009

      26 梅原猛, "翁と河勝" 角川學藝出版 2002

      27 井上滿郞, "秦河勝" 吉川弘文館 2011

      28 大和岩雄, "秦氏の研究" 大和書房 2006

      29 皆神山すさ, "秦氏と新羅王伝説" 彩流社 2010

      30 加藤謙吉, "秦氏とその民" 白水社 2009

      31 谷川健一, "秦楽寺と楽戸, In 四天王の鷹 謎の秦氏と物部氏を追って" 河出書房新社 2006

      32 洪潤基, "神樂歌の韓神と園神の考察" 2000

      33 "祈願祭お祓いについて"

      34 久慈力, "祈園祭と諸宗敎の謎" 批評社 2004

      35 川嶋將生, "祈園祭" 吉川弘文館 1996

      36 淸川理一郞, "猿田彦と秦氏の謎" 彩流社 2003

      37 松前健, "日本神話の謎" 大和書房 1985

      38 松前健, "日本神話と形成" 高書房 1970

      39 和歌森 太郞, "日本民俗學講座4 藝能傳承" 朝倉書店 1976

      40 성은구, "日本書紀" 고려원 1993

      41 今岡謙太郞, "日本古典藝能史" 武藏野美術大學出版局 2008

      42 秋本吉郞, "日本古典文學大系2 風土記" 岩波書店 1980

      43 土橋寛, "日本古典文学大系 3古代歌謡集" 岩波書店 1957

      44 本田安次, "日本の傳統藝能 : 本田安次著作集" 錦正社 1993

      45 大和岩雄, "日本にあった朝鮮王國 謎の秦王國と 古代信仰" 白水社 2009

      46 出羽弘明, "新羅の神がみと古代日本" 同成社 2004

      47 服藤早苗, "傀儡女の登場と変容, In 埼玉学園大学紀要" 10-, 2000

      48 서연호, "人形·인형놀이의 傳承 硏究" 1998

      49 井上滿郞, "京都よみがえる古代" ミネル書房 1991

      50 "www.octnet.ne.jp/~hatahata/tokusyuhatashi.html"

      51 "http://www.town.yoshitomi.lg.jp"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9 0.4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