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희원, "「법철학」이라는 말에 대한 법철학적 일고찰" 39 (39): 2005
2 이원상, "한국 법학 교육과 형법학의 위기에 대한 소고"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3 (23): 245-276, 2021
3 이상돈, "전문법: 이성의 지역화된 실천" (39) : 2002
4 심우민, "입법학의 기본관점: 입법논증론의 함의와 응용"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4
5 홍완식, "입법학 연구" 피앤씨미디어 2014
6 梁彰洙, "원시적 불능급부에 관한 계약의 무효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8
7 양천수, "삼단논법과 법학방법" 박영사 2021
8 최병조,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에서의 기초법학의 역할과 기능: 로마법을 위한 변론" (9) : 2019
9 율리우스 헤르만 폰 키르히만, "법학의 학문으로서의 무가치성" 박영사 2019
10 이계일, "법학의 학문성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133-185, 2018
1 강희원, "「법철학」이라는 말에 대한 법철학적 일고찰" 39 (39): 2005
2 이원상, "한국 법학 교육과 형법학의 위기에 대한 소고"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3 (23): 245-276, 2021
3 이상돈, "전문법: 이성의 지역화된 실천" (39) : 2002
4 심우민, "입법학의 기본관점: 입법논증론의 함의와 응용"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4
5 홍완식, "입법학 연구" 피앤씨미디어 2014
6 梁彰洙, "원시적 불능급부에 관한 계약의 무효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8
7 양천수, "삼단논법과 법학방법" 박영사 2021
8 최병조,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에서의 기초법학의 역할과 기능: 로마법을 위한 변론" (9) : 2019
9 율리우스 헤르만 폰 키르히만, "법학의 학문으로서의 무가치성" 박영사 2019
10 이계일, "법학의 학문성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133-185, 2018
11 A. Kaufmann, "법학의 학문성문제에 대한 몇 가지 단상" 6 (6): 2015
12 심헌섭, "법학의 학문성: 도전과 응답의 자취" (51) : 1982
13 이계일, "법학방법론" 세창출판사 2017
14 양천수, "법학과 방법: 민법학을 예로 하여" (28) : 2020
15 김현철, "법철학의 주제 설정" 한국법철학회 22 (22): 7-26, 2019
16 김영환, "법철학의 근본문제" 홍문사 2012
17 구스타프 라드브루흐, "법철학" 박영사 2021
18 헤겔, "법철학" 한길사 2008
19 이영록, "법사학의 의의와 과제" 조선대 7 : 2001
20 이진기, "법사학과 민법학" 한국비교사법학회 22 (22): 1479-1534, 2015
21 김성룡, "법 이론과 실무에 던지는 물음, ‘법학의 학문성’ -법학의 학문성에 관한 논의가 우리에게 던지는 과제" 한국형사소송법학회 7 (7): 1-31, 2015
22 권영준, "민법학의 기본원리" 박영사 2020
23 양천수, "물건 개념 재검토 - 민법의 개정 방향과 관련하여 -" 법조협회 70 (70): 50-79, 2021
24 최병조, "로마법·민법 논고" 박영사 1999
25 프랑크 잘리거, "라드브루흐 공식과 법치국가" 세창출판사 2011
26 유진오, "대학의 위기" 2 (2): 1948
27 양현아, "낙태죄 헌법소원과 여성의 ‘목소리’ [1] - 낙태경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0 (30): 5-40, 2013
28 최종고, "기초법학의 과제와 방법" (69) : 1987
29 이국운, "기초법학교육의 제도적 강화론" 대한변호사협회 (334) : 109-121, 2004
30 박준, "근대법학교육 120년" 박영사 2021
31 루돌프 폰 예링, "권리를 위한 투쟁/법감정의 형성에 관하여" 새물결 2017
32 양천수, "개념법학:형성, 철학적 정치적 기초, 영향" 한국법철학회 10 (10): 2007
33 이철우, "[특집]사회과학으로서의 법학인가, 법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인가" 한국법철학회 9 (9): 59-94, 2006
34 양천수, "[논문]법존재론과 형법상 행위론-베르너 마이호퍼를 통해 본 형법철학의 가능성" 한국법철학회 9 (9): 145-174, 2006
35 W. Hassemer, "Theorie und Soziologie des Verbrechens: Ansätze zu einer praxisorientierten Rechtsgutslehre" 1973
36 P. Nonet, "Law & Society in Transition: Toward Responsive Law" New Brunswick 2005
37 Eugen Ehrlich, "Grundlegung der Soziologie des Rechts" 1989
38 Stanley L. Paulson, "Georg Jellinek: Beiträge zu Leben und Werk" 2000
39 Jürgen Habermas, "Faktizität und Geltung" 1992
40 Claus-Wilhelm Canaris, "Die Vertrauenshaftung im deutschen Privatrecht" 1971
41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 "(입법과 법학에 대한 현대의) 사명"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