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들어가며 : "다 괜찮다"라는 괜찮지 않은 말 = 4
- 1장 누구에게나 강해질 권리가 있다
- 강해질 권리, 한 차원 성숙한 권리 = 15
- 위안이 도리어 독이 되기도 = 17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M15866679
서울: 프롬북스, 2021
2021
한국어
158.1 판사항(23)
9791188167470 03810: ₩14,000
일반단행본
서울
강해질 권리: 나약한 삶에서 단단한 삶으로 / 김민후 지음
254 p.; 21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온라인 서점 구매
책소개
자료제공 :
강해질 권리 (나약한 삶에서 단단한 삶으로)
“위로받지 않아도 강해질 수 있습니다!” 자존감, 공감, 욜로, 소확행, 다 괜찮다는 말… 우리 사회에 넘쳐나는 달콤한 유행어와 거짓 위로에 속아 독립과 책임에서 도피한 이들을 향한 정신과 의사의 조언 자존감을 높이라고 한다. 공감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한다고 한다. 화나면 화내고, 하다못해 소리 내어 울어버리라고 한다. 한 번뿐인 인생, 남 시선 신경 쓰지 말고 살고 싶은 대로 살라고 한다. TV에서, 강연에서, 베스트셀러에서 전문가들이 하는 조언이다. 이에 대해 『강해질 권리』의 저자인 현직 정신과의사 김민후는 “이런 식의 달콤한 꼬드김은 얼핏 듣기에 솔깃할 뿐 결국 헛소리”라고 말한다. 저자는 요즘 우리 사회에 유행하는 자존감, 공감, 욜로, 소확행, 온갖 위로의 말들이 정신력이 나약한 사람들에게 ‘약’ 아닌 ‘독’이 되고 있음을 경고한다. 이른바 심리 문제 전문가들의 잘못된 처방으로 인해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필연적으로 찾아오는 고통을 극복하려고 노력하기보다 포기하고, 의지하고, 남 탓, 환경 탓하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