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기독교대학 역할에 대한 교수의 인식 = A Study of Perceptions of Christian University Professors about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6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Christian university professors perceive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explore the degree of perceived importance of factors derived by professors. To collect data using concept mapping, personal interviews with 17 Christian university professors were conducted on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50 final statements were confirmed by classifying the interviews, and a concept map resulting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as completed.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professors' perceptions of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and the sub-dimensions of seven clusters. The three dimensions are human nature, education content and method, and practice. The seven clusters for the sub-dimensions are human creation value education, future talent capacity education, community awareness edu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aptive change education, selection and use of knowledge information, practice of Christian values, ​​and community resource provision. Christian university professors' awareness of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was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the four most commonly valued roles were human creation value education, future talent capacity edu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daptive change education. The study findings provide some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Christian university professors perceive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explore the degree of perceived importance of factors derived by professor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Christian university professors perceive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explore the degree of perceived importance of factors derived by professors. To collect data using concept mapping, personal interviews with 17 Christian university professors were conducted on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50 final statements were confirmed by classifying the interviews, and a concept map resulting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as completed.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professors' perceptions of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and the sub-dimensions of seven clusters. The three dimensions are human nature, education content and method, and practice. The seven clusters for the sub-dimensions are human creation value education, future talent capacity education, community awareness edu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aptive change education, selection and use of knowledge information, practice of Christian values, ​​and community resource provision. Christian university professors' awareness of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was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the four most commonly valued roles were human creation value education, future talent capacity edu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daptive change education. The study findings provide some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기독교대학의 역할에 대해 기독교대학 교수자들의 인식을 밝히고, 도출된 요인들 중 교수자들이 중요하게 지각하는 정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7개 기독교대학 교수자 17명에게 4차 산업혁명시대 기독교대학 역할에 대한 개인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결과를 종합․분류하여 최종 진술문 50개를 확정하였다. 50개 진술문은 다차원 척도분석 및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기독교대학 역할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은 인간본질, 교육내용 및 방법, 실천이라는 3개 차원이 도출되었고, 하위 영역으로 인간 창조 가치 교육, 미래인재 역량 교육, 공동체의식 교육, 대인관계 및 변화적응력 교육, 지식 정보의 선택과 사용 교육, 기독교 가치 실천, 지역사회 자원제공 실천이라는 7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기독교대학 교수들은 기독교대학이 수행해야 할 역할에 대해 각각 달리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인간 창조 가치 교육, 미래인재 역량 교육, 대인관계 및 변화적응력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 기독교대학이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한 성찰과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기독교대학의 역할에 대해 기독교대학 교수자들의 인식을 밝히고, 도출된 요인들 중 교수자들이 중요하게 지각하는 정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기독교대학의 역할에 대해 기독교대학 교수자들의 인식을 밝히고, 도출된 요인들 중 교수자들이 중요하게 지각하는 정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7개 기독교대학 교수자 17명에게 4차 산업혁명시대 기독교대학 역할에 대한 개인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결과를 종합․분류하여 최종 진술문 50개를 확정하였다. 50개 진술문은 다차원 척도분석 및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기독교대학 역할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은 인간본질, 교육내용 및 방법, 실천이라는 3개 차원이 도출되었고, 하위 영역으로 인간 창조 가치 교육, 미래인재 역량 교육, 공동체의식 교육, 대인관계 및 변화적응력 교육, 지식 정보의 선택과 사용 교육, 기독교 가치 실천, 지역사회 자원제공 실천이라는 7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기독교대학 교수들은 기독교대학이 수행해야 할 역할에 대해 각각 달리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인간 창조 가치 교육, 미래인재 역량 교육, 대인관계 및 변화적응력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 기독교대학이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한 성찰과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호,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3 : 130-154, 2017

      2 성태제,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한국교육학회 55 (55): 1-21, 2017

      3 지현아,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9-61, 2017

      4 박남기,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한국교육학회 55 (55): 211-240, 2017

      5 이선영,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23 (23): 231-260, 2017

      6 김기숙, "전환기, 기로에 선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위기와 대처방안"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56) : 1-36, 2018

      7 오성주, "오늘날 과학시대와 기독교교육의 역할과 과제" 93 : 197-246, 2018

      8 전병근, "신이 되려는 기술: 위기의 휴머니티" 틔움출판사 2018

      9 이은정, "변곡점에 선 한국의 대학교육과 4차 산업혁명 -지식담론에서 교육담론으로의 전환 필요성" 인문과학연구소 38 (38): 141-181, 2017

      10 김기숙, "미래시대(포스트휴먼) 인성교육의 방향: J. A. Comenius 범지혜론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54) : 1-36, 2017

      1 이주호,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3 : 130-154, 2017

      2 성태제,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한국교육학회 55 (55): 1-21, 2017

      3 지현아,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9-61, 2017

      4 박남기,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한국교육학회 55 (55): 211-240, 2017

      5 이선영,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23 (23): 231-260, 2017

      6 김기숙, "전환기, 기로에 선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위기와 대처방안"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56) : 1-36, 2018

      7 오성주, "오늘날 과학시대와 기독교교육의 역할과 과제" 93 : 197-246, 2018

      8 전병근, "신이 되려는 기술: 위기의 휴머니티" 틔움출판사 2018

      9 이은정, "변곡점에 선 한국의 대학교육과 4차 산업혁명 -지식담론에서 교육담론으로의 전환 필요성" 인문과학연구소 38 (38): 141-181, 2017

      10 김기숙, "미래시대(포스트휴먼) 인성교육의 방향: J. A. Comenius 범지혜론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54) : 1-36, 2017

      11 케이비에스 명견만리 제작팀, "명견만리: 우리가 준비해야 할 미래의 기회를 말하다-윤리, 기술, 중국, 교육 편" 인플루엔셜 2016

      12 김세움, "기술진보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와 대응" 한국노동연구원 2015

      13 조호연, "기독교적 학문연구 @ 현대 학문세계" IVP 2000

      14 허도화,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회복 방안: 기독교인 교수의 책임과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대학선교학회 (28) : 75-112, 2015

      15 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 용어사전" 학지사 2000

      16 Frey, C. B.,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sation?" Oxford Martin School 2013

      17 Ryan, T., "Soul fire: Accessing your creativity" SkyLight Paths Publishing 2008

      18 Giorgi, A.,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University Press 12-28, 1985

      19 Goodyear, R. K., "Ideographic concept mapp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Conceptual overview, methodology, and illustration" 52 (52): 236-242, 2005

      20 Hasker, W., "Faith-learning integration : An overview" 21 (21): 231-248, 1992

      21 Kane, M.,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Sage 2007

      22 Paintner, C. V., "Awakening the creative spirit: Bringing the arts to spiritual direction" Morehouse Publishing 2010

      23 조헌국,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53-89, 2017

      24 윤승태, "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의 역할과 방향" 한국실천신학회 (58) : 601-625, 2018

      25 임종헌,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4 (44): 5-32, 2017

      26 김누리,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7 (17): 101-121, 2017

      27 김성열,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혁신: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5-27, 2017

      28 오인탁,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2) : 417-445, 2017

      29 양성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자동화와 연결성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59) : 567-597, 2018

      30 백승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3-51, 2017

      31 한동숭, "4차 산업 혁명 시대, 대학 교육과 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 (42) : 9-24,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37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