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코메니우스의 교육관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개혁주의 교육관으로 평가하여 현 시대의 기독교교육에 주는 의미를 찾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코메니우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코메니우스의 교육관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개혁주의 교육관으로 평가하여 현 시대의 기독교교육에 주는 의미를 찾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코메니우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메니우스의 교육관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개혁주의 교육관으로 평가하여 현 시대의 기독교교육에 주는 의미를 찾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코메니우스의 교육관에 대하여 검토 하였고, 이를 칼빈과 신칼빈주의 자들의 교육관으로 평가 하였다.
코메니우스의 교육관을 통하여 얻은 결론 가운데 교육의 목적은 하나님의 창조세계의 모든 사람이 모든 것을 철저하게 배우고 무엇보다 진리를 바르게 배워서 현세뿐만 아니라 영원한 삶속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교육의 내용은 창조세계의 모든 것과, 인간세계의 모든 것, 그리고 하나님의 세계의 모든 것의 통합적이고 복합적인 것으로 자연과 감각에 의한 방법, 동심원적 방법, 분석, 종합, 비교연결 하는 교육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개혁주의 교육관을 구성하고 있는 칼빈과 개혁주의 학자들의 교육관으로 코메니우스의 교육관을 평가해보면 칼빈의 교육목적은 신앙공동체의 모든 사람이 동일한 신앙고백을 통하여 구원을 받고 참된 경건에 이르도록 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칼빈의 교육목적과 모든 사람이 모든 것을 배워서 결국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는 것이라고 한 코메니우스의 교육목적을 비교할 때, 교육의 목적을 최종적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드리는데 둔 점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칼빈의 교육목적은 일차적으로 교회공동체 내의 교리교육에 맞추어졌으나, 코메니우스는 하나님의 창조세계의 모든 사람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더 포괄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코메니우스의 포괄적인 목적은 20세기 신칼빈주의 교육학의 목적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코메니우스의 교육내용은 영성, 덕성, 지성의 전인적이고 복합적인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교육내용은 창조세계의 모든 양상을 다루는 개혁주의 세계관을 잘 반영하고 있다, 칼빈의 교육내용도 영성, 덕성 지성으로 피조세계와 인간 그리고 영의 세계까지 포함하는 것이었다. 신칼빈주의자들도 기독교세계관에 따라 창조세계의 모든 국면과 문화를 교육내용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코메니우스의 교육 내용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코메니우스가 창조세계에 대하여 더 깊은 관심을 가졌다면 개혁주의 신칼빈주의자들은 문화에 더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점이다.
코메니우스가 교육방법으로 제시한 것들은 자연과 감각에 의한 방법, 동심원적 방법, 분석, 종합, 비교연결방법이다. 칼빈의 교육방법은 나선형 방법, 입체문답 방법, 반복학습을 통한 완전학습 방법이다. 코메니우스의 동심원적 방법과 칼빈의 나선형적 방법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코메니우스의 분석, 종합, 비교연결법은 칼빈의 입체문답 방법의 완전학습과 유사성이 있다. 코메니우스의 교육방법은 칼빈에 비하여 근대교육방법으로 발전한 자연적, 심리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더 발전적이었다. 20세기 개혁주의 교육학자들도 코메니우스가 말한 자연의 원리에 맞춘 교육방법을 창조원리 법칙으로 간주했다. 그래서 발달에 맞는 교육방법, 심리적 방법의 교육방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종합적으로 보면 코메니우스의 교육론은 칼빈과 신칼빈주의 자들의 교육론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도 칼빈과 코메니우스처럼 ...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llowing research explores the impact of John Amos Comenius and his theory on education on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ion by evaluating it through the lens of Reformed theology. To this end, it first investigates his theory on education and pro...
The following research explores the impact of John Amos Comenius and his theory on education on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ion by evaluating it through the lens of Reformed theology. To this end, it first investigates his theory on education and proceeds to evaluate it from that of Calvin and the followers of New Calvinism.
Conclusions that can be drawn from examining Comenius' theory on education include the purpose of education, that all are called by God to learn thoroughly about everything within God's creation. All are especially called to learn about the truth so that they are able to glorify God in not only this life but the next. A comprehensive look at the content of education reveals that one needs to be instructed in the areas of creation, the human, and the kingdom of God. Therefore, an integrative and complex methodology on education is suggested, one that analyzes, synthesizes and compares such concentric theory on nature and sense.
When one evaluates Comenius' theory on education against that of Calvin and other Reform theologians, it can be discovered that the purpose of Calvin's theory on education focuses on all being instructed in the ways of faith so that they are led to a confession of faith, salvation, and true sanctification, glorifying God in all they do. When one compares such theory with that of Comenius, who asserted that all are called to glorify God through instruction, it is apparent that both agree on the glorifcation of God as being the end-goal of all education.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Calvin's undertanding on the purpose of education at once focuses on the instruction of theology for the congregation within the church while the subject of Comenius' theory is education for all of the creation. Therefore, Comenius' comprehensive purpose of education falls more in line with the New Calvinists of the 20th century.
The content of Comenius' understanding of education can be said to be a holistic and complex approach to spirituality, virtue, and intellect. This content reflects a reformist worldview that covers all aspects of the created world as Calvin's understanding of education also included spirituality, virtue, and intellect, one that did not neglect all aspects of creation as well as those of the spiritual world. The new Calvinists are also similar in that their education seeks to encompass all aspects and cultures of the created world in accordance with the Christian worldview. The difference between them may be that Comenius had a deep interest in the created world while the reformist New Calvinists had a deeper interest in culture.
What Comenius has suggested in terms of the method of education include those of the natural and sensory, concentric, analytic, synthetic, and comparative. Calvin, on the other hand, focused on the methods of the spiral, three-dimensional, and the iterative, aiming at a complete learning experience. The concentric method of Comenius and the spiral method of Calvin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However, Comenius' teaching method was more developed in that it was more natural and psychological that can align more effective with modern education. Twentieth-century reformist educators also regarded the teaching methods that match the principles of nature that Comenius discussed as the principle of creation. Therefore, it must be concluded that the methods of education and psychology as outlined by Comenius' theory are in tune with that of Calvin as well as the New Calvinists.
Even in the mids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predicted to undergo rapid changes, once one clarifies one's purpose in life as well as the purpose of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Reformist worldview, one will be able to acquire a holistic understanding of a biblical worldview in all aspects of education. As the Cultural Mandate is still valid in the age of change, all aspects of the created world must be present in the content of education. Spiral, ster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숙, "현대 인간성 교육을 위한 코메니우스와 그룸의 교육론 비교 연구 : 현대교육에 있어서 인간성 교육의 문제와 관련하여"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0
2 James K. A. Smith, "하나님나라를 욕망하라"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11
3 정일웅, "코메니우스의 범지혜와 범교육의 의미" 274 : 9-32, 2003
4 정일웅,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 이론에 대한 연구(Ⅰ)" 276 : 55-83, 2003
5 김현우,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으로 본 청소년 교육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6 이숙종,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교육과학사 1999
7 이숙종, "코메니우스 자연관과 새 교수법에 관한 연구" 67 : 944-983, 1989
8 천정식, "코메니우스 신앙교육 방법의 주일학교 교육에의 적용 연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0
9 Kistemaker, S., "칼빈주의 역사. 원리. 조망" 성광문화사 1966
10 조성국, "칼빈의 신앙교육에 있어서의 경건" 9 : 577-597, 2003
1 김기숙, "현대 인간성 교육을 위한 코메니우스와 그룸의 교육론 비교 연구 : 현대교육에 있어서 인간성 교육의 문제와 관련하여"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0
2 James K. A. Smith, "하나님나라를 욕망하라"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11
3 정일웅, "코메니우스의 범지혜와 범교육의 의미" 274 : 9-32, 2003
4 정일웅,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 이론에 대한 연구(Ⅰ)" 276 : 55-83, 2003
5 김현우,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으로 본 청소년 교육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6 이숙종,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교육과학사 1999
7 이숙종, "코메니우스 자연관과 새 교수법에 관한 연구" 67 : 944-983, 1989
8 천정식, "코메니우스 신앙교육 방법의 주일학교 교육에의 적용 연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0
9 Kistemaker, S., "칼빈주의 역사. 원리. 조망" 성광문화사 1966
10 조성국, "칼빈의 신앙교육에 있어서의 경건" 9 : 577-597, 2003
11 조성국, "칼빈의 신앙교육서들을 통해본 기독교신앙교육"
12 강용원, "칼빈의 교육활동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 대학원 1978
13 Wolters, A. M., "창조 타락 구속" I.V.P 1910
14 장화선, "종교개혁기의 어린이 신앙교육(요한 칼빈을 중심으로)" 15 : 159-173, 2002
15 Schwab, K.,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7
16 Comenius, J. A., "빛의 길" 여수룬 1999
17 Comenius, J. A., "분석교수학" 교육과학사 1995
18 정일웅, "범지혜론과 범교육론에 관련된 코메니우스의 인간론" 275 : 9-40, 2003
19 Comenius, "범교육학" 여수룬 1965
20 Van Brummelen, H. W., "기독교적 교육과정 디딤돌" I.V.P 2002
21 조성국, "기독교세계관과 기독교학교교육" 고신대학교부설 기독교교육연구소 2003
22 오인탁, "기독교교육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8
23 Calvin, J., "기독교 강요"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2002
24 이숙종, "권두언" 1 (1): 5-7, 2007
25 Van Brummelen, H. W., "교실에서 하나님과 동행하십니까?" IVP 2000
26 김광순, "개혁주의 세계관의 관점으로 본 코메니우스의 세계관" 기독교학문연구회 19 (19): 7-34, 2014
27 Van Dyk J., "가르침은 예술이다" I.V.P 2004
28 Comenius, J. A., "The School of Infancy"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84
29 Wolterstorff, N., "Educating for shalom:Essays on Christian higher education" W.B. Eerdmans Pub. Co 2004
교회학교 영아부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예장 고신 교단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9 | 0.377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