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력저하 여부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6-2018년) 분석 =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hearing impairment in elder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36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hearing impairment on HRQOL in Korean elders. We carry out a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NHANES, 2016-2018.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754 elders who responded to questions about hearing impairment. Quality of life was compared between hearing impaired elders and elders with no hearing impairment using the t‐test and chi‐square test, and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22.0.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etween hearing impaired elders and elders with no hearing impairment. Walking exercise were identified as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elders with hearing impairment, while marriage status, walking exercise and limited movement were found to be related to quality of life among elders with no hearing impairment. In order to improve the HRQOL of elders with hearing impairment, multidisciplinary effort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re requi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hearing impairment on HRQOL in Korean elders. We carry out a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NHANES, 2016-2018.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754 elders wh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hearing impairment on HRQOL in Korean elders. We carry out a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NHANES, 2016-2018.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754 elders who responded to questions about hearing impairment. Quality of life was compared between hearing impaired elders and elders with no hearing impairment using the t‐test and chi‐square test, and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22.0.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etween hearing impaired elders and elders with no hearing impairment. Walking exercise were identified as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elders with hearing impairment, while marriage status, walking exercise and limited movement were found to be related to quality of life among elders with no hearing impairment. In order to improve the HRQOL of elders with hearing impairment, multidisciplinary effort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re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각저하 여부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KNHANES 2016-2018)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청각저하 여부에 따라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4,75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행태, 신체적 건강과 심리사회적 건강 특성(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우울, 걷기운동, 근력운동, 활동제한, 의료 미충족 요구)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2.0를 이용하여 복합표본 분석하였다. 청각저하 여부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행태, 신체적 건강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청력저하가 없는 노인의 경우 결혼상태, 활동제한과 걷기운동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청력저하가 있는 노인의 경우에는 걷기운동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청력저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환경, 신체, 심리적 건강관리 및 운동이 포함된 다학제적 협력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각저하 여부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KNHANES 2016-2018)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청각저하 여부에 따라 분류...

      본 연구는 청각저하 여부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KNHANES 2016-2018)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청각저하 여부에 따라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4,75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행태, 신체적 건강과 심리사회적 건강 특성(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우울, 걷기운동, 근력운동, 활동제한, 의료 미충족 요구)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2.0를 이용하여 복합표본 분석하였다. 청각저하 여부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행태, 신체적 건강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청력저하가 없는 노인의 경우 결혼상태, 활동제한과 걷기운동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청력저하가 있는 노인의 경우에는 걷기운동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청력저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환경, 신체, 심리적 건강관리 및 운동이 포함된 다학제적 협력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현숙, "한국인의 연령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대한주요 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8 (28): 573-584, 2017

      2 하정민, "청력저하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영향요인: 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융합학회 11 (11): 97-104, 2020

      3 이영미,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청력장애가 주관적 기억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1 (11): 277-287, 2016

      4 이영미, "재가노인의 청력장애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571-579, 2019

      5 김석환, "일반인의 청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행정학회 28 (28): 162-167, 2018

      6 김희정, "노인의 시력 및 청력 저하가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2008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한국성인간호학회 23 (23): 584-594, 2011

      7 김기선, "노인의 시각과 청각기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시과학회 17 (17): 415-430, 2015

      8 A. Yu,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sensory impairments and psychosocial health in older adults : a 4-year follow-up study using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169 : 140-148, 2019

      9 S. Moser,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on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with age-related hearing loss" 26 (26): 170-179, 2007

      10 A. Ciorba., "The impact of hearing loss o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adults" 7 (7): 159-163, 2012

      1 오현숙, "한국인의 연령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대한주요 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8 (28): 573-584, 2017

      2 하정민, "청력저하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영향요인: 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융합학회 11 (11): 97-104, 2020

      3 이영미,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청력장애가 주관적 기억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1 (11): 277-287, 2016

      4 이영미, "재가노인의 청력장애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571-579, 2019

      5 김석환, "일반인의 청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행정학회 28 (28): 162-167, 2018

      6 김희정, "노인의 시력 및 청력 저하가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2008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한국성인간호학회 23 (23): 584-594, 2011

      7 김기선, "노인의 시각과 청각기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시과학회 17 (17): 415-430, 2015

      8 A. Yu,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sensory impairments and psychosocial health in older adults : a 4-year follow-up study using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169 : 140-148, 2019

      9 S. Moser,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on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with age-related hearing loss" 26 (26): 170-179, 2007

      10 A. Ciorba., "The impact of hearing loss o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adults" 7 (7): 159-163, 2012

      11 D. S. Dalton, "The impact of hearing loss on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43 (43): 661-668, 2003

      12 A. E. M. Lilj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festyle factors and burden of morbidity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hearing and vision impairments in older British community-dwelling men: A cross-sectional study" 38 (38): e21-e28, 2015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raw data usage guidelin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4 S. Y. Kim, "Severe hearing impairment and risk of depression: A national cohort study" 12 (12): e0179973-, 2017

      15 D. W. Kim, "Risk factors of age-related hearing loss, adults over 65 years in korea: Including the effect of the war participation" 17 (17): 68-73, 2016

      16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Regional gender transitions in later life (66 years old) physical functioning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1 st health screening in older adults" Statistics Korea

      17 Y. C. Tseng,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sensory impairments: a systematic review" 27 (27): 1957-1971, 2018

      18 A. M. Goman, "Prevalence of hearing loss by severity in the United States" 106 (106): 1820-1822, 2016

      19 J. S. Kim,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hearing loss and hearing aid use in korean elders" 44 (44): 308-317, 2015

      20 Statistics Korea, "Population status and prospects of the world and korea" Statistics Korea

      21 E. Domagała-Zyśk, "Older persons with subjectively assessed hearing problems in Poland : Quality of life and coping strategies" 164 (164): 381-394, 2019

      22 C. Z. Carniel, "Implications of using the hearing aids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29 (29): e20160241-, 2017

      23 H. Tsuruoka, "Hearing impairmen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28 (28): 45-54, 2001

      24 A. V. Hyams, "Hearing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74 (74): 1874-1883, 2018

      25 S. Lazzarotto, "Coping with age-related hearing loss: patient-caregiver dyad effects on quality of life" 17 (17): 1-8, 2019

      26 Y. H. Joo, "Association of hearing loss and tinnitus with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0 (10): e0131247-, 2015

      27 D. S. Chen, "Association between hearing impairment and self-reported difficulty in physical functioning" 62 : 850-856, 2014

      28 H. -S. Li-Korotky, "Age-related hearing loss:Quality of care for quality of life" 52 (52): 265-271,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